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즈베키스탄의 최상위 남자 리그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우즈베크어: O'zbekiston Superligasi / 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러시아어: Суперлига Узбекистана)는 우즈베키스탄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소련이 붕괴되고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건설된 1992년에 개설 되었다. 1992년부터 2008년까지는 우즈베키스탄 상위 리그(러시아어: Высшей лигой Узбекистана)라 불렸으며 2009년에는 우즈베키스탄 프로축구 리그(러시아어: Высшей лигой ПФЛ Узбекистана)로 리그 명칭을 교체하였다. 2018년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로 명칭을 다시 한번 개칭했고 이 리그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의 원조 하에 운영되고 있다. 1992년 리그 개시 이후 시즌 첫번째 해에는 17개팀이 참가 했다가 16개팀으로 운영되기 시작했고 2018년부터 12개 팀으로 축소 운영을 하게 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
---|---|
대륙 | AFC |
국가 | ![]() |
참가 구단 수 | 14 |
하위 리그 | 우즈베키스탄 1부 리그 |
대륙 대회 | AFC 챔피언스리그 |
국내 대회 | 우즈베키스탄 컵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역사 | |
설립 | 1992년(전국리그) 2008년(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2018년(슈퍼리그) |
최다 우승 | FK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6회) |
최근 우승 | 나사프 카르시 (2024) |
![]() |
리그 역사상 첫 우승은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FK 네프치 페르가나가 공동 우승으로 처리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의 우승 팀과 준우승 팀, 컵 대회 우승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진출하게 되고 리그 3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된다. 리그 최하위를 기록한 2팀은 우즈베키스탄 1부 리그로 강등된다.
현재 클럽
편집2025시즌 참가 클럽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클럽 | 연고지8 | 경기장 | 수용인원 | 감독 | 창단 |
나브바호르 나망간 | 나망간 | 세르게이 루쉬찬 | 1978 | ||
나사프 카르시 | 카르시 | 마르카지 스타디움 | 21,000 | 루지쿨 베르디예프 | 1986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 타슈켄트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35,000 | 페드루 모레이라 | 1956 |
FC 디나모 사마르칸트 | 사마르칸트 | 디나모 사마르칸트 스타디움 | 13,820 | 바딤 아브라모프 | 1960 |
FC 부뇨드코르 | 타슈켄트 | 밀리 스타디움 | 34,000 | 세르게이 아르슬라노프 | 2005 |
FC 소그디아나 지자흐 | 지자흐 | 소그디아나 스타디움 | 11,650 | 이반 보슈코비치 | 1970 |
FC 키질쿰 자라프샨 | 자라프샨 | 요쉴라 스타디움 | 12,500 | 잠시드 사이도프 | 1967 |
FC AGMK | 알말리크 | AGMK 스타디움 | 12,000 | 미르잘랄 카시모프 | 2004 |
FK 네프치 페르가나 | 페르가나 | 이스티크롤 스타디움 | 20,000 | 비탈리 레브첸코 | 1962 |
FK 수콘 테르메즈 | 테르메즈 | 알파미시 스타디움 | 6,000 | 페브지 다블레토프 | 1968 |
FK 안디잔 | 안디잔 | 보부르 아레나 | 18,630 | 알렉산디르 솜야코프 | 1964 |
FK 올림피크 타슈켄트 | 타슈켄트 | JAR 스타디움 | 8,500 | 데니스 코로스티첸코 | 2021 |
FK 코칸트 1912 | 코칸트 | 코칸드 마르카지 스타디움 | 10,500 | 누몬 카사노프 | 1912 |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타슈켄트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 8,000 | 세르베르 제파로프 | 2002 |
역대 우승 팀
편집
|
이 글은 축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우즈베키스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