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구멍

나비뼈의 동그란 구멍

원형구멍(foramen rotundum) 또는 정원공(正圓孔)은 나비뼈에 위치한 동그란 구멍이다. 중간머리뼈우묵날개입천장오목을 연결한다. 삼차신경의 가지인 위턱신경이 원형구멍으로 지나간다.

원형구멍
나비뼈 윗면. 원형구멍은 중간 왼쪽에 표시되어 있다.
머리뼈바닥 윗면. 나비뼈는 노란색으로 그려져 있으며 화살표가 원형구멍을 가리키고 있다.
정보
상위 구조나비뼈
기관계골격계
식별자
라틴어foramen rotundum ossis sphenoidalis
영어foramen rotundum of Sphenoid
TA98A02.1.05.035
TA2621
FMA53154

구조

편집
 
원형구멍

원형구멍은 나비뼈의 앞쪽과 안쪽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구멍 중 하나이다.

원형구멍의 평균 면적은 그리 크지 않은데, 이는 머리의 정맥계 순환에 원형구멍의 역할은 미미하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1]

발생

편집

원형구멍의 모양은 태아기 전체와 출생 이후 청소년기까지 발달한다. 태아에서 원형구멍은 임신 중기가 지나면서 완벽한 고리 모양을 이룬다. 태아기에는 대부분 타원형이며, 출생 이후에 원형이 된다. 출생 이후 원형구멍의 길이는 약 2.5mm, 15~17세에는 3mm 정도이다. 성인에서 원형구멍의 평균 직경은 약 3.55mm이다.[2][3]

기능

편집

원형구멍은 삼차신경의 가지인 위턱신경(V2)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4] 한편 원형구멍동맥(artery of foramen rotundum)과 이끌정맥도 원형구멍을 통과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150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Reymond J, Charuta A, Wysocki J (2005).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foramina of the greater wing of the human sphenoid bone”. 《Folia Morphologica》 64 (3): 188–93. PMID 16228954. 
  2. Yanagi S (1987). “Developmental studies on the foramen rotundum, foramen ovale and foramen spinosum of the human sphenoid bone”. 《The Hokkaido Journal of Medical Science》 62 (3): 485–96. PMID 3610040. 
  3. Lang J, Maier R, Schafhauser O (1984). “Postnatal enlargement of the foramina rotundum, ovale et spinosum and their topographical changes”. 《Anatomischer Anzeiger》 156 (5): 351–87. PMID 6486466. 
  4. Barral, Jean-Pierre; Croibier, Alain (2009년 1월 1일). 〈16 - Maxillary nerve〉. 《Manual Therapy for the Cranial Nerves》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129–138쪽. doi:10.1016/B978-0-7020-3100-7.50019-7. ISBN 978-0-7020-3100-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