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생일

마지막 의견: 2년 전 (양념파닭님) - 주제: 12세 이하의 생일 기재 관련

저기...

편집

저 아직 생일이 안 지나서 만 11세인데 내년에 적어야해요? 아니면 그냥냅두나요? 오리반홧팅2020년 6월 22일 (월) 23:01 (KST)답변

년도는 적어도 되는걸로 압니다. ー 소심 (토론) 2020년 7월 15일 (수) 14:21 (KST)답변

@소심:여기 백:생일에다가 적어도 되냐고 물어본거예요 프리. 제 생일이 지나야 만12세라...평화의 사용자 🕊핑 달아주세요!🔔 2020년 7월 16일 (목) 19:35 (KST)답변

@평화의 사용자:평화님의 생일이 지나면 만12세가 되어 백생일에 적을 수 있습니다.ee 2020년 7월 22일 (수) 23:47 (KST)답변

근데 백생일이 뭐에요??초보라 잘 몰라서요..--서은닝 (토론) 2021년 1월 25일 (월) 15:57 (KST)

12세 이하의 생일 기재 관련

편집

기록 보호 얘기가 나오는데 주소지, 전화번호 같은 개인정보와 일반적으로 묻고 답하기도 하는 생일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는 것은 너무 과하다고 봅니다. 만일 생일을 기록보호 차원에서 적지 말아야 한다면, 김설 (배우)와 같은 만10세도 되지 않은 인물의 생일의 경우에도 삭제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26 (KST)답변

백:기보#사용 정책에도 나와있듯이 만 12세(13세)의 사용자는 기록보호를 해야한다고 나와 있습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8일 (수) 18:28 (KST)답변
논제가 그게 아닐텐데요. 생일을 적지 않도록 한다면 일반 문서의 경우라도 만 12세 이하라면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형평성에 맞다고 주장하고 있는겁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29 (KST)답변
그쪽은 많은분들의 의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다른 사용자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다시 제 의견 말하도록 하겠습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8일 (수) 18:30 (KST)답변
일단, 저는 의견이 확정되지 전까지는 더 이상의 편집취소를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아까 전에도 특수:문서역사/백:생일에서 말씀드렸다싶이, 위키백과:학생 캠프/대화방/보존/2020년/5#요청 사항에 태어난 달, 태어난 날은 기재하지 않고, 기재된다면 기록보호 된다고 정책, 총의 된 상태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김설 (배우) 같은 경우는 위키백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연예인의 기록보호는 다르다고봅니다. -- 조이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31 (KST)답변
연예인이라고 정보가 공개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습니다. 일반인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논리라면, 공인의 정보도 보호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33 (KST)답변
연예인 정보가 공개됬다고 해서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정보 기재를 막을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신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의문입니다. 차라리 연예인의 출생일 항목에는 연도만 기재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 조이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40 (KST)답변
아뇨. 생일 기재를 막는 것 자체가 과합니다. 둘 다 적어도 된다는 것이 맞다는 의견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41 (KST)답변
 의견 생일도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라 그런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생일이 020202이면 그 사람의 생일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까지 유추하여 개인정보를 빼갈수 있기 때문입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8일 (수) 18:44 (KST)답변
생년월일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유추한다는 것은 처음 들어보네요. 근거 있는 사실인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45 (KST)답변
대한민국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체계가 (성별 1자리)+(출생지 3자리)+(일련번호 3자리) 형태로 알고 있으며, 이마저도 이제 강화시킨다고 하는데, 고작 생년월일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유추한다는 것은 너무 공상아닙니까?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47 (KST)답변
(편집 충돌) 어디까지나 제 의견일뿐입니다. 좀 근거없는 말이긴 하지만 너무 공상이라고 해도 생년월일을 알면 알수 있는 개인정보의 범위가 넓어집니다. 예를들어 생년월일을 비밀번호로 설정한다던지 말이죠.
요즘도 비밀번호를 숫자로만으로도 설정이 가능한 보안에 취약한 웹사이트가 있나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20:58 (KST)답변
핸드폰 잠금번호는 생일로 해 놓으시는 분이 많으셔서 예를 그렇게 들었습니다.(PIN)--강주♬ (사토) 2020년 7월 8일 (수) 21:22 (KST)답변
개인 핸드폰 비밀번호 때문에 위키백과에 생일 정보를 올리면 안된다는 발상은 너무 갔는데요? 아까부터 느끼는거지만 귀하의 의견은 너무 억지식 주장이 강한데요. 그런식으로 나오시면 끝도 없습니다. 생산적인 의견 개진 부탁드립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22:33 (KST)답변
밑에 관리자분들이 써 주신 주장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9일 (목) 06:20 (KST)답변
읽었고요. 크게 반대의 의미는 없어보이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9일 (목) 07:02 (KST)답변
(편집 충돌) 그와는 별개로 생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서로 몇월 며칠인지 묻고 답하는 것으로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막을 필요성이 크지 않습니다. 무슨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까지 풀로 공개하는 것도 아니고. 재차 말하지만, 너무 과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32 (KST)답변

(편집 충돌) 또한, 요즘 N번방 사건 때문에 더더욱 기록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조이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37 (KST)답변

n번방이 대체 여기서 왜나오는지? n번방이 생일 정보 털려서 생긴 사건인가요? 토론의 본질을 흐리지 말아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8:37 (KST)답변
그나저나 또 의문이 드네요. 백:생일위키백과 사용자의 생년월일을 적는 곳으로, 백:생일의 생년월일 적느냐 마느냐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는데 갑자기 김설 (배우) 문서를 예로 드시는 게 개인적으로 의아합니다. 귀하께서야 말로 토론의 본질을 흐리는 게 아닌가 조심스럽게 의견 내봅니다. -- 조이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51 (KST)답변
지금 토론 주제에서 벗어나는 감이 있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는게 좋을거 같습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8일 (수) 18:53 (KST)답변
전혀요? 토론 발제때부터 김설을 언급했는데요. 뭐가 본질을 흐린다는건지요? 아무리 못해도 n번방 보다야...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9:03 (KST)답변
그리고 12세 이하의 개인정보를 적느냐 마느냐의 문제에 당연히 12세 미만인 인물의 생일이 일반 문서에 적혀있으니 백:생일에 생일을 적지 않도록 한다면, 일반 문서 역시 적지 않는 것이 맞다는 주장이 어째서 본질을 흐린다는거지요? 납득할 수 없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9:07 (KST)답변
 의견 잼 앱같은 경우도 자기결정권 침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생일은 자신이 원한다면 기재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 Gomdoli4696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54 (KST)답변
그렇게 따지면 거주지나 전화번호도 자신이 원한다면 기재해도 된다는 거 아닌가싶습니다. -- 조이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56 (KST)답변
그렇지요. 한번 적은 뒤에 없애고 싶다면 개인적으로 기록보호자에게 연락해도 되겠죠. — Gomdoli4696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8:57 (KST)답변
그렇지요 할게 아닙니다. 거주지는 차치하고 전화번호의 경우에는 만12세 이상일 경우에도 함부로 적으면 안되는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개인정보입니다. 생일과 비교 자체가 안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8일 (수) 19:05 (KST)답변
제 말은 "생일"에 대한 것이며 거주지나 전화번호과는 구별합니다. 뭔가 말이 잘못 전달된 것 같네요. — Gomdoli4696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9:28 (KST)답변

일단 숨기는 것이 원칙입니다. 어린이 개인정보와 관련되어 재정의가 일부 필요하다면 별도로 토론 열어주셔야 합니다.--*Youngjin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23:41 (KST)답변

본 토론 에서도 논의될 수 있는 부분이라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9일 (목) 07:06 (KST)답변
이 문서나, 이 문서에 게시된 사용자의 토론란에 생일 당일의 생일 축하 정도라면, 생일 정도 공개는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허나, 생일 기제를 어느정도 허용하겠다는 총의가 없는 이상 기존 원칙대로 기록보호 처리 할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Youngjin (토론) 2020년 7월 9일 (목) 15:19 (KST)답변

이 문서만 두고 본다면 12세 미만의 아동들이 생일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문제가 없기는 합니다. 게다가 불가피하게 이 문서에서 생일을 쓰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부작용이기도 한데, 문제는 현재 생일을 숨기는 대상으로 규정하는 이유란 12세 미만의 아동들이 부주의하게 여러 정보를 내놓는 경우가 많아서 생일은 실제 존재를 파악하게 만드는 정보의 파편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숨기게 하여 개인을 특정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는 의견이지만 개인정보 보호의 대상에서 생일을 제외하는 문제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입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7월 9일 (목) 00:36 (KST)답변

따지자면 생일도 개인 정보라고 볼 수는 있지만, 그렇게까지 감춰야 할 정도의 레벨은 아니라 봅니다. 생일이야 일상적으로도 서로 정보를 공유할 정도니까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11일 (토) 14:46 (KST)답변
전 생일을 공개해도 괜찮을것같습니다. 위키백과에 생일 공개 한다고 해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크게 문제는 없을것같습니다. 서유 💙 ( D , C ) 2020년 7월 11일 (토) 23:00 (KST)답변

제안하나 하자면 생일 관련해서

  1. 백:생일 기제 목적으로는 만 12세 이하라고 하더라도 X월 Y일 형식의 연도 없는 생일 게시는 가능하도록 함.
  2. 사용자 문서에 기제된 생일은 백:생일에 기제되어 있다면 기록보호 대상에서 제외.
  3. 1~2 기준에 충족한 경우 생일 축하한다 정도의 토론 내용 허용
  4. 다만 연도가 포함되어 나이를 유추할 수 있는 경우 예시) 2019년 9월 9일나, 백:생일에 공개하지 않고 사용자 문서등 다른 장소에만 자신의 생일을 적은 경우 기록보호 대상

좀 복잡하긴 하지만 이렇게 하면 될듯 싶네요.--*Youngjin (토론) 2020년 7월 13일 (월) 18:32 (KST)답변

@*Youngjin: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는데, 아예 사용자 문서에서의 기재를 막는 것도 아니고 굳이 백:생일에 적히지 않았을 경우에만 기록보호 대상으로 삼는 이유가 있나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13일 (월) 18:34 (KST)답변
당초 취지대로 "어린이가 무분별하게 개인정보를 본인이 유출함으로서 얻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을 최대한 준수하기 위함입니다. 즉, 새로운 사용자들이 사용자 들이 자신의 홈페이지 인줄 알고 개인정보를 비의도적으로 유출하는 경우 보호 조치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만, 최소한의 예외를 허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작성한 것이다 보니 저렇게 작성하긴 했습니다. 기록보호자 내 논의에서 뭐 아예 뺀다고 의견이 나오면 아예 생일은 기록보호 대상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죠. --*Youngjin (토론) 2020년 7월 13일 (월) 18:44 (KST)답변
사용자 문서를 케이스별로 적용하는 것은 이미 적었기 때문에 굳이 기록보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라고 보면 됩니다.--*Youngjin (토론) 2020년 7월 13일 (월) 18:56 (KST)답변
뭔가 이상해서 그러는데 혹시 국립국어원 정책상 기가 맞나요 기가 맞나요? — Gomdoli4696 (토론) 2020년 7월 13일 (월) 18:36 (KST)답변
여기서 굳이 중요한 부분은 아닌 듯 싶네요. 맞춤법에 문제가 있다면 추후 지침 개정시 수정해서 올리면 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13일 (월) 18:40 (KST)답변
기제인지 기재인지는 중요한게 아닙니다;; --*Youngjin (토론) 2020년 7월 13일 (월) 18:44 (KST)답변

생일 자체는 공개해도 된다 봅니다. 거주지는 별 상관 없겠고 전화번호는 공개 위험하지만 생일과는 개인정보 수준에 관련이 없다 보기에.. ー 소심 (토론) 2020년 7월 16일 (목) 16:45 (KST)답변

@소심: 죄송하지만 거주지는 별 상관 없는게 아니고 전화번호와 같은 등급이 될수 있는 위험한 개인정보입니다..--강주♬ (사토) 2020년 7월 18일 (토) 14:43 (KST)답변

위 내용 참고하자면 이건 어떨까요 ? 물론 자동인증조차 되지않은 이의 의견이긴 하죠. 1. 년도 (예 1890년) 만, 또는 월,일 (예 3월 16일) 만 공개. 2. 생일축하 정도의 메시지 허용 3. 2020년 12월 30일 정도의 생일 전체공개 기록보호 ー 소심 (토론) 2020년 7월 16일 (목) 16:49 (KST)답변

무얼 말씀하고 싶으신건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7월 21일 (화) 11:54 (KST)답변
연도나 월일만 기재하는 건 허용, 생일축하 관련 토론 허용, 생년월일 전체 기재는 기록 보호 라는 뜻으로 보입니다. --Whitetiger (토론/기여/이메일) 2020년 7월 22일 (수) 15:50 (KST)답변
생일은 뭐..딱히 상관 없을 것 같네요. 뭐 생일 같은 사람이 이세상에 한두명인가요? 물론 1월 1일이나 12월 31일같은 희귀한 생일은 몇 안될 수 있겠지만은, 당장 75억이 넘어가는 이 세계에서는 생일만 가지고 누구를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당장 평균적으로만 구해봐도 대충 2천만이 넘네요. 그정도면 북한 인구 수준입니다. 아무 정보도 모르는 상태에서 아무 북한 사람의 신상을 털려고 하는거랑 마찬가지죠. -- Astoria (토론) 2020년 8월 3일 (월) 22:00 (KST)답변

이제 결정합시다

편집

토론이 중단된지 5개월차네요. 이제 슬슬 결정할 때가 온거 같습니다. 위 토론을 보면 대체적으로 생일 자체는 적어도 무방하다는 입장이 많은 듯 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4일 (월) 16:05 (KST)

저는 만 12세 이하의 생일 기재에  찬성하는 바입니다... 띄어쓰기 지킴이 :) (토론) 2021년 1월 8일 (금) 14:47 (KST)

생일 기재 자체에는  찬성합니다만.. 이게 더 많은 개인정보 유출을 허용하는 첫 걸음이 될까봐 걱정됩니다. — Ddxfx 2021년 1월 11일 (월) 10:49 (KST)-

생일 공개 정도야 저는 (이제) 상관 없다고 생각하여  찬성하는 바입니다. ㅡ Gangju (토론) 2021년 1월 14일 (목) 09:19 (KST)
 찬성하긴 합니다만.... Whachadoin (토론) 2021년 1월 19일 (화) 20:38 (KST)
 찬성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월 21일 (목) 15:44 (KST)
전부터 토론에 참여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생일 정도는 알려줘도 된다고 생각하여  찬성 합니다. 하지만 조금 걱정되는 바가 있긴 하네요... MelodyTalk 2021년 1월 22일 (금) 18:03 (KST)
@*Youngjin: 이쯤되면 총의 형성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5일 (월) 16:03 (KST)
12세 이하도 생일 정도는 적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정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0월 27일 (수) 15:25 (KST)답변
"생일" 프로젝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