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2022년/심사표/호흡근

호흡근
몸의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들
정보
기관계호흡계, 근육계

호흡근(respiratory muscles, muscles of respiration)은 가슴안(흉강)의 확장과 수축을 도와 들숨 과 날숨에 기여하는 근육들이다. 가로막갈비사이근은 평상시의 호흡 동안 호흡을 일으킨다. 이 근육들의 탄력성은 호흡기의 건강과 기능적 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가로막 편집

가로막호흡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으로, 복강과 흉강을 분리하는 얇은 돔 모양의 근육이다. 숨을 들이쉬는 동안 가로막은 수축하여 중심은 아래쪽으로, 가장자리는 위쪽으로 움직인다. 가로막이 이렇게 움직이면 복강을 압박하고 갈비뼈를 위쪽과 바깥쪽으로 올려 흉강을 확장시킨다. 흉강이 팽창되면 허파로 공기가 들어온다. 반대로 가로막이 이완되면 폐의 탄성 반동(elastic recoil)이 흉강을 수축시켜 공기를 폐 밖으로 내보내고 가로막은 도로 돔 모양으로 돌아간다.[1] 가로막은 호흡 이외의 기능에도 관여하는데, 복강 내압을 높여 구토물, 대변소변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 식도가 가로막에 있는 식도구멍을 통과할 때 압력을 가하여 위산 역류를 방지한다.

갈비사이근 편집

가로막과 함께 갈비사이근은 호흡기 근육의 가장 중요한 근육이다. 이 근육들은 갈비뼈 사이에 붙어 있으며 갈비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갈비사이근에는 3개의 층이 있다. 바깥갈비사이근은 호흡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들은 두 갈비뼈 사이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섬유를 가지고 있다.[2] 이 섬유의 수축은 각 갈비뼈를 바로 위의 갈비뼈 쪽으로 끌어올리며, 전체적으로 흉곽을 위로 올려 들숨을 돕는다.

호흡의 보조 근육 편집

보조 근육들은 호흡을 보조하지만 주요 역할은 하지 않는다. 격렬한 운동 없이 쉬고 있는 동안에도 이 근육들을 사용하는 것은 종종 호흡곤란의 징후로 여겨진다.[3] 보조 근육에 대한 명확한 목록은 없지만 목빗근목갈비근(앞, 중간, 뒤)은 일반적으로 갈비뼈를 들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보조 근육에 들어간다.[4] 보조 근육이 호흡에 관여하는 정도는 호흡 노력의 정도에 달려 있다. 조용한 호흡 동안 목갈비근은 지속적으로 활동적인 반면 목빗근은 활동적이지 않다.[5] 호흡량이 증가하면 목빗근도 활성화된다.[6] 최대 유속으로 숨을 들이쉴 때 두 근육이 동시에 활성화된다.[5]

위의 목 근육들 외에도 여러 근육이 호흡에 기여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 예시로는 앞톱니근,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등세모근, 넓은등근, 척주세움근, 엉덩갈비근, 허리네모근, 아래뒤톱니근, 갈비올림근, 가로가슴근, 빗장밑근 등이 있다. 위입술콧방울올림근콧구멍의 측면을 올린다.

호기의 근육 편집

평상시에 조용히 호흡하는 동안에는 호기와 관련된 근육 수축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이 과정은 단순히 폐의 탄력 반동에 의해 일어난다. 강제적인 호기가 필요하거나 폐기종과 같이 폐의 탄력이 감소한 경우, 배벽 근육(배곧은근, 배가로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의 수축에 의해 능동적 호기가 일어날 수 있다. 이들은 수축하면 배의 장기를 가로막 쪽(위쪽)으로 눌러 흉강의 부피를 줄인다.[1]

속갈비사이근은 갈비뼈에서 갈비뼈까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뒤쪽으로 기울어진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2] 따라서 이 근육은 바깥갈비사이근과는 반대로 흉곽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어 호기를 보조한다.[1]

참고 문헌 편집

  1. Ratnovsky, Anat (2008). “Mechanics of respiratory muscles”. 《Respiratory Physiology and Neurobiology》 163 (1–3): 82–89. doi:10.1016/j.resp.2008.04.019. PMID 18583200. 
  2. Kim E. Barrett; Susan M. Barman; Scott Boitano; Heddwen Brooks (2009년 7월 24일). 〈35. Pulmonary Function〉.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3rd Edition》. McGraw-Hill Companies,Incorporated. ISBN 978-0-07-160567-0. 
  3. Bass, Pat. “Signs of Respiratory Distress in Children”.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2015년 5월 11일에 확인함. 
  4. Netter FH. Atlas of Human Anatomy 3rd ed. Icon Learning Systems. Teterboro, New Jersey 2003 - plate 191
  5. Raper, A. J., Thompson, W. T., Shapiro, W., & Patterson, J. L. (1966).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 func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1, 497-502.
  6. Campbell, E. J. M. (1955). The role of the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s in breathing in normal subjects. An electromyographic study. Journal of Anatomy, 89,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