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경제/번역장/기펜재

경제학에서 기펜재열등재가격이 오름에 따라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구매하는 것으로, 소득 효과 와 관련이 있다. 기펜재가 존자한다는 증거는 제한되어 있지만, 미시경제학에서의 수학적 모델은 이러한 것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기펜재라는 이름은 로버트 기펜에게서 유래되었는데, 알프레드 마셜경제학 원론 에 기펜재에 관한 글을 썼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상품에서, 수요의 탄력성은 반비례한다, 즉 가격과 수요는 정반대로 움직인다; 만약 가격이 상승할경우, 수요는 줄어들고, 그 반대의 상황도 성립한다. 기펜재는 이런 상황에서의 예외적 현상이다. 기펜재의 탄력성은 비례하며, 즉 가격이 오를 경우 이에대한 수요도 오르게 된다. 진정한 기펜재가 되기 위해선, 수요를 결정하는 유일한 힘이 가격에만 있어야하며, 과시적 소비는 여기서 논의되지 않는다 (과시적 소비가 적용되는 상황은 베블런재이다)

마셜이 예로 든것은 열등재인 주식, 즉 우리가 항상 먹는 음식이다, 이들에 대한 요구가 가난으로 인해 증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이 더 좋은 음식을 살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때, 주식(예를 들어 빵, 쌀, 밀가루)의 가격은 올라가고, 가난한 사람들은 다른 음식을 살 수 없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음식만을 먹어야 하며, 이것은 다시금 가격의 상승으로 연결된다.

마셜의 1895년 경제학 원론에서 보면:

기펜이 말한것 처럼, 빵의 가격이 올라 그것이 가난한 자들의 수입을 흡수하고 그들에게 한계효용을 다른 것으로 올릴 수가 없을때, 그들은 고기와 다른 전분음식의 수요를 줄이고 빵이 가장 그들에게 싼 음식이기 때문에 빵의 소비를 늘리고, 줄이지 않는다.[1]

기펜재는 경험재신뢰재와 연관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두가지 모두 종종 가격의 인상에 대해 기펜재와 비슷한 현상을 보이지만, 기펜재와 다른점은 경험재와 신뢰재 둘다 대체품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펜재의 분석 편집

 
The Giffen Paradox

기펜재는 다음 3가지 전제조건을 충족할 경우에 이루어진다.

  1. 의심되는 재화는 열등재여야 한다.
  2. 대체재의 존재가 약해야 한다 (즉 대체할 만한 재화가 없거나 귀하다)
  3. 재화는 수요자의 수입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야 하지만, 다른 보통재를 살 수 없을 만큼의 비율은 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전제조건 #1이 "의심되는 재화가 너무나 열등하여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다" 로 바뀐다면 이 리스트는 다른 조건들을 자동적으로 충족한다. 또한 마지막 전제는 재화 자체보다 수요자의 사정에 따라 바뀌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현상은 "기펜 행동"으로 불릴 수 있겠다.

이것은 도표를 통해 보여질 수 있겠다. 맨 처음 시작할 때의 소비자의 소비패턴은 선분 MN을 통하 나타나듯이 상품 Y나 상품 X을 구입하는데 쓰일 수 있다. (M = 사용 가능한 총 수입을 상품 Y로 나눈 것, N = 사용 가능한 총 수입을 상품 X로 나눈 것) 선분 MN은 소비자의 예산 제약으로 알려져 있다. 점 A는 소비자가 그의 취향에 따라 무차별 곡선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상의 선택이다.

만약 상품 X의 가격이 떨어진다면, 두가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품X의 가격이 떨어짐으로 인해 상품 X의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를 대체 효과라 한다. 이것은 그림에서 보여지듯이, 무차별 곡선에서점 A가 점 B로 옮겨지는 이동에서 보여질 수 있다. (예산 제약 선은 원래의 무차별곡선으로 선회한다). 그와 동시에, 가격의 하락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증가시킨다, 이를 소득 효과라고 한다. (예산 제약의 선이 바깥쪽으로 선회한다). 이것은 새로운 점선 MP (P = 소득을 새 상품가격 X로 나눈 것) 으로 표현이 된다. 대체 효과 (점 A에서 점 B로의 이동)는 상품 X의 수요를 증가시켜 이에 대한 수요는 Xa에서 Xb로 옮겨지게 된다, 하지만 소득 효과로 인해 상품의 수요는 Xb에서 Xc로 옮겨지게 된다. 이를 종합해 봤을때, Xa로부터 Xc의 수요의 감소는 X를 기펜재라고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어떤 재화든 소득 효과가 대체 효과를 능가하는 경우엔 그 재화를 기펜재라고 하는 것이다.

기펜재에 관한 경험적 증거들 편집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Giffen goods has generally been limited. A 2002 preliminary working paper by Robert Jensen and Nolan Miller of Harvard University made the claim that rice and wheat/noodles are Giffen goods in parts of China by tracking prices of goods. A further 2007 working paper by the same author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Giffen goods among humans at the household level by directly subsidizing purchases of rice and wheat flour for extremely poor families. It is easier to find Giffen effects where the number of goods available is limited, as in an experimental economy: DeGrandpre et al (1993) provide such an experimental demonstration. In 1991, Battalio, Kagel, and Kogut proved that quinine water is a Giffen good for some lab rats. However, they were only able to show the existence of a Giffen good at an individual level and not the market level.

Giffen goods are difficult to find because a number of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for the associated behavior to be observed. On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finding Giffen goods is Giffen originally envisioned a specific situation faced by individuals in a state of poverty. Modern consumer behaviour research methods often deal in aggregates that average out income levels and are too blunt an instrument to capture these specific situations. Furthermore, complicating the matter are the requirements for limited availability of substitutes, as well as that the consumers are not so poor that they can only afford the inferior good. It is for this reason that many text books use the term Giffen paradox rather than Giffen good.

Some types of premium goods (such as expensive French wines, or celebrity-endorsed perfumes) are sometimes claimed to be Giffen goods. It is claimed that lowering the price of these high status goods can decrease demand because they are no longer perceived as exclusive or high status products. However, the perceived nature of such high status goods changes significantly with a substantial price drop. This disqualifies them from being considered as Giffen goods, because the Giffen goods analysis assumes that only the consumer's income or the relative price level changes, not the nature of the good itself. If a price change modifies consumers' perception of the good, they should be analysed as Veblen goods. Some economists question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Giffen and Veblen goods, arguing that whenever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rice of a good its perceived nature also changes, since price is a large part of what constitutes a product. However the theoretic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analysis remains clear; which one of them should be applied to any actual case is an empirical matter.

아일랜드 감자 기근 사태 편집

아일랜드 대기근 때의 감자는 오랜 시간 동안 유일한 기펜재의 예로 믿어져 왔다. 하지만 그 이론은 시카고 대학의 셔윈 로젠 교수의 '감자의 역설' 이라는 논문에 의해 뒤집어졌다. 로젠은 이 현상이 평상시의 수요 모델로 설명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였다.

휘발유의 기펜재 가능성 편집

더 네이션의 샤샤 아브람스키는 2005년 그가 쓴 글에서 휘발유가 특정한 상황에서는 기펜재로 변할 수 있다고 썼다. 아브람스키는 주장하기를 휘발유의 가격이 상승할 때 가난한 운전자들은 정기 점검이나 가벼운 수리, 또는 더 효율적인 차를 사는 것보다 휘발유를 구입하는 데 더 돈을 많이 쓸 수밖에 없으며, 이것은 그들 (즉 가난한 운전자들)의 '낡고 비효율적인 차들'이 결국 휘발유의 효용성을 감소시키며 이는 휘발유의 사용량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Abramsky, 2005, 18) 이것은 기펜재의 모델에서, 정비와 업그레이드가 우월재임을 의미하고 휘발유가 열등재임을 의미하지만, 이를 뒷받침해 줄 만한 경험적 증거나 다른 현상이 현재로써는 많지 않다.

함께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Jensen, Robert & Miller, Nolan (2008).Giffen Behavior and Subsistence Consumption
  • DeGrandpre, R. J., Bickel, W. K., Rizvi, S. A., & Hughes, J. R. (1993). Effects of income on drug choice in human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59, 483-500.
  • Abramsky, Sasha. Running on Fumes. [The Nation], October 17 2005, p.15-19.
  • Jensen, Robert & Miller, Nolan (2007). Giffen Behavior: Theory and Evidence. KSG Faculty Research Working Paper RWP07-030. Abstract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