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효왕 유장려(齊孝王 劉將閭, ? ~ 기원전 154년)는 중국 전한의 황족 · 제후왕이다. 전한 고제의 손자며 제도혜왕 유비의 아들이다.

일대기 편집

문제 4년(기원전 176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켰다 자살한 이듬해에, 문제에게서 형제들과 함께 열후로 봉해져 양허후(楊虛侯)가 되었다.[1][2][3]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전년 제문왕 유칙이 후사 없이 죽어 폐지된 제나라를 제, 교서, 교동, 치천, 제북, 제남 여섯 나라로 나누어 제도혜왕의 아들들을 봉하면서 제나라 왕이 되었다.[4][3]

경제 전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일어나자 교동왕 유웅거, 교서왕 유앙, 치천왕 유현, 제남왕 유벽광이 호응하고 제나라와도 함께하고자 했으나 의심하여 거부했다. 이 때문에 교서왕, 치천왕, 제남왕의 공격을 받아 서울 임치에서 포위당했다. 제효왕은 중대부 노앙(路卬)을 보내 조정에 구원을 요청했다. 사세가 위급해지자 세 나라와 은밀히 함께하려 했으나 아직 약속이 정해지지 않은 차에 노앙이 돌아왔는데, 교서 · 치천 · 제남 연합군에 사로잡혀 조정이 이미 반란군에 굴복했다고 말하라는 협박을 받았음에도 조정에서 굳게 지키고 있으라고 한 말을 전하고 죽었다. 또 여러 신하들이 항복하지 말자고 했다. 때마침 주아부가 이끄는 진압군이 반란군 중 가장 세력이 큰 오나라와 초나라를 무찔렀고, 한편으로 제나라를 구원하러 난포와 조양이 와서 세 나라의 군대를 무찌르고 포위를 풀었다. 그런데 제효왕이 세 나라와 함께하려 했다는 말을 듣자 진압군은 제나라도 공격하려 했고, 제효왕은 두려워 약을 먹고 죽었다. 경제는 원래 제나라가 착하였고 협박에 못 이겨 가담한 것은 죄가 아니라 하여, 태자 유수(제의왕)에게 제왕을 계승하게 했다.[3]

가계 편집

박양경후는 원삭 3년(기원전 126) 3월 을묘일에, 피양경후 ~ 시원후는 이듬해 4월 을묘일에 봉해졌다. 고락강후는 《한서》에만 보이며, 이름과 봉작 시기 모두 알 수 없다.

각주 편집

  1. 사마천: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제7
  2. 반고: 《한서》 권15상 왕자후표제3상
  3. 위와 같음, 권38 고오왕전제8
  4. 사마천, 전게서, 권17 한흥이래제후왕연표제7
선대
(1년 전)조카 제문왕 유칙
제5대 전한제왕
기원전 164년 ~ 기원전 154년
후대
아들 제의왕 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