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선량(effective dose)은 인체의 여러 조직이 방사선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조사된 경우, 조직별 상대적인 위험도의 차이를 반영하여 전체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양이다. 조직 또는 장기의 등가선량조직가중치(계수)(Tissue weighting factor, WT)를 곱하여 합한 값이다.[1]

수식 편집

 

여기서

  •   : 유효선량
  •   : 등가선량
  •   : 조직의 가중계수

단위 편집

단위는 등가선량과 같이 시버트(Sv) 또는 (rem)을 사용한다.[2]

 
이온화 방사선의 SI 선량단위 관계도
조직 가중치(계수)
구분 2007년 권고
(ICRP 103)
1990년 권고
(ICRP 60)
1977년 권고
(ICRP 26)
생식샘 0.08 0.20 0.25
적색골수 0.12 0.12 0.12
결장 0.12 0.12 -
0.12 0.12 0.12
0.12 0.12 -
방광 0.04 0.05 -
유방 0.12 0.05 0.15
0.04 0.05 -
식도 0.04 0.05 -
갑상샘 0.04 0.05 0.03
피부 0.01 0.01 -
골표면 0.01 0.01 0.03
침샘 0.01 - -
0.01 - -
*나머지 조직 0.12 0.05 0.30

*나머지 조직 : 부신, 흉외기도, 담낭, 심장, 신장, 림프샘, 근육, 구강점막, 비장, 소장, 췌장, 흉선, 남자:전립선/여자:자궁경부의 13개 조직의 평균선량에 0.12의 통합가중치 적용

방사선위험도 편집

방사선위험도는 장기나 조직의 유효선량( )과 전 인구 발생가능계수의 곱의 총합인데, 저선량의 방사선 피폭으로 야기되는 확률적 효과의 전 인구 발생가능계수는 치명적 암, 유전효과, 그리고 비치명적 암의 추정치를 합해서 구한다.[3]

  • 방사선위험도
= 치명적 암 추정치 + 유전효과 + 비치명적 암 추정치
=  
=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근선∙김진수∙김재덕 (2010). “직∙간접디지털 파노라마 방사선촬영시 흡수선량과 유효선량”.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방사선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40 (1). 
  2. 국제원자력안전학교. “방사선 단위”. 2013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8일에 확인함. 
  3. 논문상세정보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시 주요 장기의 등가선량, 유효선량 및 위험도강성숙 조봉혜 김현자 (1995년).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시 주요 장기의 등가선량, 유효선량 및 위험도”. 《齒科放射線》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