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정당수는 정당체제의 정당수를 측정하는 개념으로, 정당의 상대적 크기로 가중치를 부여해 정당의 수를 측정한다. 정당의 상대적 크기는 정당별 득표수나 정당별 의석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러한 측정은 국가선거제도를 비교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모든 정당의 상대적 크기가 같으면 실제 정당수와 유효정당수가 같아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유효정당수는 실제 정당수보다 작아진다. 유효정당수는 정당체제의 분절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효정당수에 대한 대안개념은 크게 2가지가 있다.[1] 하나는 소수 정당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존 와일드전(John K. Wildgen)의 초분절화 지수(index of hyperfractionalization)이고[2], 다른 하나는 거대 정당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후안 몰리나르 지수(Juan Molinar's index)이다.[3]

공식 편집

락소(Laakso)와 타게스페라(Taagepera) (1979)[4]가 제시한 방법에 의하면 유효정당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n은 최소 1석이나 1표를 얻은 정당의 수이다.  는 해당 정당의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의 제곱이다.

최근 골로소프(Golosov,2010)[5]가 제시한 새로운 계산법에 의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위의 공식은 다음과 같이 변환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n은 정당의 수이고,  는 각 정당의 득표율이나 의석점유율의 제곱이고,  은 제1당의 득표율이나 의석점유율의 제곱이다.

결과 비교 편집

두 계산방식에 따라 8개의 가상상황에서 유효정당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상황 제1당 득표율/점유율 기타 정당 득표율/점유율 N, 락소-타게스페라 N, 골로소프
A 0.75 0.25 1.60 1.33
B 0.75 0.1, 15개의 0.01인 정당 1.74 1.42
C 0.55 0.45 1.98 1.82
D 0.55 3개의 0.1인 정당, 15개의 0.01인 정당 2.99 2.24
E 0.35 0.35, 0.3 2.99 2.90
F 0.35 5개의 0.1인 정당, 0.01인 15개 정당 5.75 4.49
G 0.15 5개의 0.15인 정당, 0.1 6.90 6.89
H 0.15 7개의 0.1인 정당, 15개의 0.01인 정당 10.64 11.85

각주 편집

  1. http://books.google.com/books?id=Hsz3ML3hgUUC&pg=PA69&dq=%22two+party+system%22+effective+number+of+parties&hl=en&ei=xdXBTJLUC8WSswbp4Ym5CA&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2&ved=0CC4Q6AEwAQ#v=onepage&q=%22two%20party%20system%22%20effective%20number%20of%20parties&f=false
  2. http://cps.sagepub.com/content/4/2/233.extract
  3. http://www.jstor.org/pss/1963951
  4. Laakso, M.; R. Taagepera (1979):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12:3-27.
  5. Golosov, Grigorii V. (2010): The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New Approach. Party Politics 16:171-19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