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당
아이신 교로 윤탕(愛新覺羅允禟, 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ᠶᡡᠨ
ᡨᠠᠩ Aisin Gioro Yūn Tang, 1683년 10월 17일 ~ 1726년 9월 22일)은 청 제국의 혁군왕(奕郡王)으로 황족 종실이다. 제4대 황제 강희제의 서자이며, 제5대 황제 옹정제의 이복 동생이기도 하다. 아명은 인탕(胤禟, 만주어: ᡳᠨ
ᡨᠠᠩ In Tang)이다.
윤탕
ᠶᡡᠨ ᡨᠠᠩ | |
---|---|
![]() | |
군왕 | |
이름 | |
휘 | 아이신 교로 윤탕 |
별호 | 아이신 교로 인탕·서스허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83년 10월 17일 |
출생지 | ![]() |
사망일 | 1726년 9월 22일 | (42세)
사망지 | ![]() |
왕조 | ![]() |
가문 | ![]() |
부친 | 강희제 |
모친 | 의비 고로로씨 |
배우자 | 본부인 1명, 측실 8명 |
자녀 | 슬하 8남 6녀 |
기타 친인척 | 항온친왕(동복 형) 직군왕(이복 형) 이밀친왕(이복 형) 옹정제(이복 형) 염친왕(이복 형) 윤지(동복 아우) 순치제(할아버지) 뇨뇨(이복 백부) 유헌친왕(이복 중부) 영친왕(이복 숙부) 화석공친왕(이복 숙부) |
종교 | 티베트 불교 |
생애편집
그는 일찍이 혁군왕(奕郡王)으로 책봉되었고 이복 형 염친왕(廉親王)과 뜻을 같이하여 부황 강희제의 서자인 이복 형 옹친왕(雍親王, 훗날 옹정제)과 대립하였으나 부황 강희제가 붕어한 후 옹친왕이 옹정제로 즉위하자 공명(空明)이라는 법명으로써 불교 승려로 출가한 이복 형 염친왕 윤사(廉親王 胤禩)와 계속 내통하여 이복 형 옹정제의 정책을 방해하다가 끝내 옹정제의 노여움을 사서 이후 종인부에 유폐되었고 만주어로 "귀찮다(혹은 돼지새끼)"라는 뜻의 서스허(만주어: ᠰᡝᠰᡥᡝ, 한국 한자: 塞思黑 새사흑)로 개명되는 수모를 겪는다. 그러다 1726년 9월 22일을 기하여 죽었고 이복 형 염친왕도 서인으로 강등되어 같은 해 1726년 10월 5일에 죽었다.
가족관계편집
- 부황 : 청나라 4대 황제 강희제 (康熙帝)
- 친모 : 의비 곽락라씨 (宜妃 郭絡羅氏)
- 형 : 화석항온친왕 윤기 (和碩恒溫親王 允祺)
- 동생 : 윤자(胤禌)
혁군왕부편집
- 정실 : 적복진 동악씨 - 칠십의 딸
- 첩 : 유씨 - 유대의 딸
- 첩 : 주씨 - 주대(周大)의 딸
- 첩 : 주씨 - 주대(朱大)의 딸
- 첩 : 동가씨 - 동대의 딸
- 첩 : 진씨 - 진대의 딸
- 첩 : 조가씨 - 마납합의 딸
- 첩 : 낭씨 - 낭도의 딸
- 첩 : 완안씨 - 왕달의 딸
같이 보기편집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