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현 (1793년)

윤정현(尹定鉉, 1793년 ~ 1874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계우(季愚), 호는 침계(梣溪).

생애

편집

삼학사(三學士) 가운데 한 사람인 윤집(尹集)의 후손이며, 의정부 이조판서를 지낸 윤행임(尹行恁)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성균관에서 행한 특별시험 황감응제(黃柑應製)에 뽑히고, 1843년(헌종 9) 식년시 문과(式年試文科)의 전시(殿試)에 급제하였다.

문관 활동

편집

침계는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고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다. 1846년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듬해 정월 재신(宰臣)의 반열에 올라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역임하고, 1848년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로 나갔다가 1년 만인 1849년 의정부 병조판서가 되었다.과거급제 후 6년만에 판서에 올라 이조,예조,형조 판서를 두루 거쳤다.

금교령을 부른 저택

편집

조선조의 고위요직을 두루 걸쳤으나 워낙에 청빈한 삶을 꾸려와 가난한 삶을 꾸려가자 고종 황제가 감동하여 그에게 지금의 명동성당 일대의 부지와 60칸 저택을 선물한다. 그러나 이 집과 집터는 후일 천주교회 손에 넘어가 헐리게 되고 그 자리에 지금의 명동성당이 들어섰다. 고종황제는 조선의 왕궁보다 높은 곳에 높이 건축되는 성당 건물에 심기가 상했다. 특히나 그가 아끼는 신하에게 친히 하사한 건물이 부서지고 그 위에 성당 건물이 세워진 것에 분개했다.이에 고종 황제는 천주교 측에 공사 중단을 요구하지만 프랑스를 등에 업은 천주교는 이를 무시하고 공사를 강행했다.[1] 결국 이 사건으로 고종 황제는 조선에 천주교의 포교를 금지하는 금교령을 내렸다.

김정희와 침계(梣溪)

편집

무엇보다 그를 유명하게 한 것은 추사 김정희와의 인연 때문이다. 침계는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서 추사는 그에게 아호인 '침계(梣溪)'라는 서예작품을 써주었다. 이 작품은 추사체를 이룩한 추사 김정희가 제자인 침계 윤정현의 부탁을 받았으나 '침(梣)'자의 예서 전형을 찾지 못해 30여년 고심 끝에 예서·해서 합체로 썼다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 적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梣溪' 以此二字轉承疋囑, 欲以隸寫, 而漢碑無第一字, 不敢妄作, 在心不忘者, 今已三十年矣, 近頗多讀北朝金石, 皆以楷隸合體書之, 隋唐來陳思王, 孟法師諸碑, 又其尤者, 仍仿其意, 寫就, 今可以報命, 而快酬夙志也. 阮堂幷書.

해석: 침계(梣溪) 이 두 글자를 사람을 통해 부탁받고 예서(隸書)로 쓰고자 했으나, 한비(漢碑)에 첫 째 글자가 없어서 감히 함부로 쓰지 못해 마음속에 두고 잊지 못한 것이 지금 이미 30년이 되었다. 요즈음 북조(北朝) 금석문을 꽤 많이 읽었는데, 모두 해서(楷書)와 예서의 합체로 쓰여 있다. 수당(隋唐) 이래의 진사왕(陳思王)이나 맹법사비(孟法師碑)와 같은 여러 비석들은 또한 그것이 더욱 뛰어난 것이다. 그대로 그 필의(筆意)를 모방하여 썼으니, 이제야 부탁을 들어 쾌히 오래 묵혔던 뜻을 갚을 수가 있게 되었다. 완당(阮堂) 김정희 짓고 쓰다.

이 작품은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작품

편집

그는 침계유고(梣溪遺稿) 등의 문집을 남겼다.[2]

각주

편집
  1. “명동성당 재개발 현장에 고종 하사 옛 집터” (MBN). 2011년 12월9일에 확인함.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