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오 왕조
오조(베트남어: Nhà Ngô/
930년 경 응오 꾸옌이 봉기했을 때, 북베트남 지역에는 중국 정부가 직접 관할하는 교지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홍 강 계곡의 쟈오치의 성주는 매년 중국에 공물을 바쳐야 했다. 900년 대 초기에 당나라가 역병과 오대 십국의 내전으로 권력이 약해지고 결국 멸망하자, 북베트남의 통치는 느슨해지게 되었다. 즈응지엔응에(베트남어: Dương Đình Nghệ/
944년 응오꾸옌이 사망하였다. 두 명의 아들인 응오쓰엉응업(베트남어: Ngô Xương Ngập/
950년 응오쓰엉반은 지방 세력의 지지를 얻어 즈엉땀카를 타도하고, 왕위를 회복한다. 그리하여 형 응오쓰엉응업을 불러 왕위를 잇게 하였다. 959년 왕위에 오른 지 9년 만에 형은 응오쓰엉응업이 사망을 하고, 다시 왕위를 이은 응오쓰엉반이 965년 사망하면서, 군웅 할거 세력인 지방의 토호의 발호가 다시 시작된다. 응오 왕조는 열 두 장군이 각 지방을 점거해 서로 싸우는 12 사군의 난(967년)으로 불린 극심한 혼란 상태에 빠지게 된다.
역대 군주편집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
1 | 전오왕(前吳王) | 응오꾸옌(베트남어: Ngô Quyền/ |
939년 ~ 944년 |
2 | 양평왕(楊平王) | 즈엉땀카(베트남어: Dương Tam Kha/ |
944년 ~ 950년 |
3 | 천책왕(天策王) | 응오쓰엉응업(베트남어: Ngô Xương Ngập/ |
951년 ~ 959년 |
4 | 남진왕(南晉王) | 응오쓰엉반(베트남어: Ngô Xương Văn/ |
950년 ~ 965년 |
5 | 오대왕(吳代王) | 응오쓰엉씨(베트남어: Ngô Xương Xí/ |
965년 ~ 96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