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람 X. 켄디

이브람 X. 켄디(영어: Ibram X. Kendi, 1982년 8월 13일 ~), 본명 이브람 헨리 로저스(영어: Ibram Henry Rogers)는 미국의 작가, 교수, 반인종주의 활동가, 미국의 인종 문제 및 차별 정책을 다루는 역사가이다.[1][2][3] 《Stamped from the Beginning》(2016), 《안티레이시즘》(How to be an Antiracist, 2019), 《Antiracist Baby》(2020) 등의 책을 저술했다. 켄디는 2020년 《타임》지가 꼽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브람 X. 켄디
이브람 X. 켄디(2021년)
본명이브람 헨리 로저스
출생1982년 8월 13일(1982-08-13)(41세)
미국 뉴욕
성별남성
배우자사디카 켄디(2013년 결혼)
학문적 배경
학력플로리다 A&M 대학교(학사)
템플 대학교(석사, 박사)
논문 제목The Black Campus Movement: An Afrocentric Narrative History of the Struggle to Diversify Higher Education, 1965-1972
지도 교수아마 마자마
학문적 활동
분야미국 흑인학
하위 분야미국 흑인사
소속 기관
웹사이트ibramxkendi.com

2020년 7월 켄디는 보스턴 대학교의 반인종주의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현재 소장의 지위를 맡고 있다.[4] 2023년에는 켄디가 연구소의 재정을 부실하게 관리했다는 의혹으로 내사가 시작되었다.[5] 조사 결과 켄디는 재정 관리 부실의 혐의를 벗었지만, 연구소장으로서 그의 리더십과 업무 문화에 대한 감사는 아직 진행 중이다.[6]

생애

편집

켄디는 뉴욕 퀸스자메이카 지역에서 중산층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3][1][7] 어머니 캐롤 로저스(Carol Rogers)는 이전에 보건 기관의 비즈니스 애널리스트로 일했었고, 아버지 래리 로저스(Larry Rogers)는 세무사였다.[3] 현재 켄디의 부모는 모두 은퇴하여 감리교 목사로 일하고 있다.[3][8] 형제로는 형 아킬 로저스(Akil Rogers)가 있다.

3학년부터 8학년 때까지 켄디는 퀸스 지역의 기독교 계열 사립학교들을 다녔다.[9] 1997년 켄디는 존 본 고등학교에서 한 학년을 수료한 뒤에 15살의 나이로 가족들과 함께 버지니아주 머내서스로 이사했다. 이후 켄디는 3년간 스톤월 잭슨 고등학교를 다니고 2000년에 졸업했다.[10][8][9]

2005년 켄디는 플로리다 A&M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전공은 미국 흑인학 및 잡지 제작이었다. 대학 재학 중에 그는 학교 신문 《파무안》에 주간 기고글을 썼고 지역 신문 《탤러해시 디모크랫》에서 인턴을 했다. 켄디가 《파무안》에 기고하던 칼럼은 그가 HIV/에이즈는 백인종의 "멸종"을 막기 위해 유럽인들이 발명한 것이라는 내용의 글을 쓴 이후 《탤러해시 디모크랫》의 요청에 따라 중단되었다.[11] 켄디는 템플 대학교에 진학하여 아마 마자마(Ama Mazama)의 지도를 받아 2007년에는 미국 흑인학 석사학위를, 2010년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12]

2013년 그는 소아응급의학 전문의 사디카 에드먼즈(Sadiqa Edmonds)와 결혼식을 올렸다.[3] 결혼식 말미에 두 사람은 자신들의 새로운 성 "켄디"를 기념하는 의식을 치렀다. "켄디"는 메루어로 "사랑받는 자"라는 뜻이다.[13] 켄디는 자신의 가운데 이름을 "헨리"에서 "올라니"(Xolani)로 바꾸었는데, 이는 코사어줄루어에서 "평화"를 뜻하는 말이다.[9][7]

2018년, 켄디는 간으로 전이된 4기 대장암을 진단받았다.[14] 6개월간의 화학 요법과 수술을 받은 뒤 켄디는 같은 해 여름에 완치되었다.[15]

켄디는 적어도 2015년부터 비건주의를 실천하고 있다.[16]

활동

편집

교육

편집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켄디는 오네온타 대학교 역사학부의 아프리카·라티노학과에서 조교수로 있었다.[12]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올버니 대학교의 아프리카학과 및 역사학교에서 조교수로 있었다.[12]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브라운 대학교의 아프리카학과에 방문교수로 있으면서 2014년 가을학기에는 강의를 진행했다.[12]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켄디는 플로리다 대학교 역사학과 및 미국 흑인학 프로그램의 조교수였다.[12][17][18]

2017년에 켄디는 아메리칸 대학교의 역사학 및 국제관계학 교수가 되었다.[19] 2017년 9월에 그는 아메리칸 대학교의 반인종주의 연구 및 정책 센터를 설립하고 그 전무이사가 되었다.[3] 2020년 6월에 켄디가 보스턴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로 부임할 것이 공개되었다.[20] 보스턴 대학교의 교수직 제안을 수락하면서, 켄디는 아메리칸 대학교의 반인종주의 연구 및 정책 센터에서 사임하고 보스턴 대학교의 반인종주의 연구소의 창립이사가 되는 데 동의하였다.[21][22] 보스턴 대학교에 고용되면서 켄디는 앤드루 W. 멜론 인문학 교수직을 수여받았는데, 그 이전에 같은 교수직을 수여받은 사람은 엘리 비젤뿐이었다.[23]

2020-2021학년도에 켄디는 하버드 대학교의 래드클리프 연구소에서 프랜시스 B. 캐신 펠로로 활동했다.[24]

각주

편집
  1. O'Neal, Lonnae (2017년 9월 20일). “Ibram Kendi, one of the nation's leading scholars of racism, says education and love are not the answer”. 《Andscape》. 2022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 Schuessler, Jennifer (2019년 8월 6일). “Ibram X. Kendi Has a Cure for America's 'Metastatic Racism'. 《The New York Times》. 2022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23일에 확인함. 
  3. Montgomery, David (2019년 10월 14일). “Historian Ibram X. Kendi has daring, novel ideas about the nature of racism — and how to fight it”. 《The Washington Post Magazine》 (영어). 2022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17일에 확인함. 
  4. “Ibram X. Kendi Joins the History Department at CAS”. Boston University. 2023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29일에 확인함. 
  5. Decosimo, David (2023년 9월 28일). “Opinion | How Ibram X. Kendi Broke Boston University”. 《The Wall Street Journal》. 2023년 10월 1일에 확인함. 
  6. Damiano, Mike (2023년 11월 7일). “Metro | Internal Boston University audit finds no financial mismanagement at Ibram Kendi's antiracist center, BU says”. 《The Boston Globe》. 2023년 3월 24일에 확인함. 
  7. “Bio: Ibram X. Kendi”. Ibram X. Kendi. 2020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5일에 확인함. 
  8. Wescott, David (2016년 12월 2일). “The Chronicle Review: Reframing Racism”.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9. Kendi, Ibram X. (2019). 《How to Be an Antiracist》. New York: One World. ISBN 978-0-525-50929-5. OCLC 1112221532. 
  10. Samuels, Christina A. (2000년 1월 19일). “Students Give New Voice to King's Dream”. 《The Washington Post》. 
  11. Sanneh, Kelefa (2019년 8월 19일). “The fight to redefine racism”. 《The New Yorker》. 만약 "인종주의자"라는 단어가 자랑스러운 노예주들과 버락 오바마를 모두 설명할 수 있을 만큼 폭넓은 뜻을 지녔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정책 연구에 따라 그 뜻이 계속해서 재조정되어야 한다면, 이 단어는 애초에 그것에 힘을 부여한 감정적 울림을 잃기 시작할지도 모른다. 
  12. “Curriculum Vitae: Ibram X. Kendi, Department of History African American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Florida” (PDF). 2016. 2019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3. Penn, Charli (2013년 10월 30일). "Bridal Bliss: Sadiqa and Ibram". 《Essence》. 
  14. Rimer, Sara (2020년 11월 19일). “This is the Calling of My Life” (영어). Boston University. 2021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5. Goodman, Amy; Kendi, Ibram X. (2019년 2월 15일). “Ibram X. Kendi on surviving cancer and his anti-racist reading list for Virginia Governor Ralph Northam”. 《Democracy Now》. 
  16. Rieck, Kami (2020년 6월 20일). “Ibram X. Kendi on how to build an antiracist movement”. 《The Boston Globe》. 2020년 8월 24일에 확인함. 
  17. “Ibram X. Kendi”. Department of History; University of Florida. 2020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8. Stamey, Laura (2017년 4월 1일). “Changemakers: Ibram X Kendi traces the toxin to its source”. 《The Gainesville Sun》. 
  19. Catania, Kaitie (2017년 5월 10일). “Ibram X. Kendi Joins Faculty”. American University. 
  20. Morrison, Jean; Sclaroff, Stanley (2020년 6월 3일). “Dr. Ibram X. Kendi to Join Boston University” (PDF). Office of the Provost, Boston University. 
  21. Most, Doug (2020년 6월 4일). “University News: Ibram X. Kendi, Leading Scholar on Racism, to Join BU”. 《BU Today》 (영어) (Boston University). 
  22. Fernandes, Deirdre (2020년 6월 4일). “Noted scholar will move anti-racist research program to BU: Ibram X. Kendi has been recruited from American University”. 《The Boston Globe》. 
  23. Rimer, Sara (2020년 11월 19일). “This is the Calling of My Life” (영어). Boston University. 2021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4. “Ibram X. Kendi” (영어). 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at Harvard University. 2020년 3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