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정 (철학자)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이수정(李洙正 1955년 4월 25일 - )은 한국의 철학자, 교육자, 시인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하이데거 전문가의 한 사람이나, 인물 중심의 서양철학사론 및 가치 중심의 공자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자-부처-소크라테스-예수의 사상을 이른바 <궁극의 철학>으로 집대성하는 한편, 특유의 <본연론>, <인생론>, <사물론>, <가치론>을 전개하고, 이른바 <에세이 철학>이라는 형태를 개척하여 철학과 일반인의 간격을 좁히는 데 힘썼다. 한편 간략하고 쉬운 표현에 인생의 진실들을 담아내는 맑고 깔끔한 시세계를 선보였다. 창원대학교 명예교수.

 

학력 및 경력 편집

학력 편집

(일본) 東京大学大学院 人文科学研究科 哲学専門課程 修士-博士課程 수료(文学博士)

 

경력 편집

1987.9 ~ 2021.8 창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일본) 東京大学 文学部 哲学研究室, 硏究員

(독일) Universität Heidelberg, Philosophisches Seminar, Gastprofessor

(독일) Universität Freiburg, Philosophisches Seminar, Gastprofessor

(일본) 東京大学 大学院 総合文化硏究科, 硏究員

(미국) Harvard University, FAS, Dept. of Philosophy, Visiting Scholar

(중국) 北京大学 哲学系,外籍教授

(중국) 北京师范大学 哲学系,外籍教授


한국하이데거학회 회장

하버드 한인연구자협회(HKFS: Harvard Korean Fellow Society) 회장

국립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장, 인문대학장, 대학원장

 

철학 편집

이수정의 철학은 몇 가지 갈래를 갖고 전개된다. 그것은 기본적인 ‘하이데거론’ ‘공자론’ ‘노자론’ ‘철학사’ 외에도 ‘본연론’ ‘인생론’ ‘사물론’ ‘가치론’ ‘에세이 철학’ ‘궁극의 철학’ 등을 포함한다. 그 핵심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본연론> 편집

‘누구누구에 관한 연구’보다 ‘무엇무엇에 관한 연구’를 지향하며 <박종홍철학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여 학부 졸업논문으로 제출한 이수정은 이미 1980년대부터 자신의 고유한 철학을 형성해나가기 시작한다. 그 첫 번째 결과가 ‘본연’론이다. 2011년에 발표한 《본연의 현상학》에서 그는 ‘본래 그런 것’, ‘변하지 않는 것’으로서의 이 ‘본연’을 이지성이라는 가명을 빌려 ‘마련’이라고도 표현한다. 현상성/ 문제성/ 자체성/ 초월성/ 필연성/ 항상성/ 편재성/ 다양성/ 당연성을 그 특징적 성격으로 지적하며, 세상의 존재/ 사물의 존재/ 질서의 존재/ 시공의 존재를 그 내용으로 거론한다. 한편 이 보편적 현상에 대한 인간적-학문적 관심의 사례로서 ‘창세기’ ‘하이데거’ ‘노자’ ‘이지성’의 경우를 주목한다. 

<인생론> 편집

1970년대 후반, 제주도여행을 계기로 이수정은 인생에 대한 철학적 관심을 구체화해나간다. 그 결과물이 1980년대 90년대의 사유를 거쳐 2014년에 발표된 《인생의 구조》이다. 여기서 그는 6하의 원칙에 따라 ‘인생’이라는 큰 철학적 주제에 물음을 던진다. ‘삶의 주체—우리는 누구로 사는가?’ ‘삶의 시간—우리는 언제를 사는가?’ ‘삶의 장소—우리는 어디서 사는가?’ ‘삶의 내용—우리는 무엇을 하며 사는가?’ ‘삶의 성격—우리는 어떠한 인생을 사는가?’ ‘삶의 이유—우리는 왜 사는가?’ 다소 도식적인 느낌이지만, 그것은 그가 ‘새로운 철학-상식의 철학-친근한 철학-쉬운 철학-접근가능한 철학-친절한 철학-부드러운 철학-사랑의 철학-따뜻한 철학-자상한 철학-문화로서의 철학’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소프트한 형식의 뒷면에는 ‘종합철학-제일철학-궁극의 철학’으로서의 ‘철학적 인생론’ 내지 ‘인생의 현상학’을 수립하고자 하는 학문적 지향이 깔려 있다. 특히 여기서 그가 언급하는 독특한 언어론(‘인문학적 대기-정신적 대기-교양의 대기’로서의 ‘질적 언어’의 제공)과 의미론(삶의 동력으로서의 의미)과 ‘세상’론(“‘세상’이라는 것은, 우리 인간들이 태어나면서 그 안에 내던져지는, 거기서 자라고 성숙하고 별의별 현실적 인간관계와 이해관계 속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이기고 지고 뺏고 뺏기고 이루고 놓치고 그러면서 온갖 희로애락을 겪으며 살아가다가 이윽고 거기서 떠나게 되는, 생로병사의 현장 혹은 무대, 삭막하면서도 살벌한 곳, 그러나 때로는 그 어디보다도 따뜻하고 아름다울 수 있는 곳, 가정과 학교와 직장과 국가들을 품고 있는 곳, 친구와 적들이 함께 있는 곳, 기막히게 아름다운 자연과 너저분한 쓰레기장이 함께 있는 곳, 재미있고도 따분한 곳, 여기저기 온갖 종류의 보물 같은 행복들이 흩어져 있고 또한 온갖 종류의 불행들이 지뢰처럼 도사리고 있는 곳이다. 바로 그런 곳이 우리가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진정한 의미의 ‘세상’인 것이다.”)은 주목을 끈다.

<사물론> 편집

한편 2015년에 발표한 《사물 속에서 철학 찾기》에서 이수정은 독특한 사물론을 전개한다. 여기서 그는 ‘하늘-하늘빛-구름-비-번개・천둥-무지개-태양-어둠-오로라-달빛-별-바람-안개-눈-날개, 그리고 땅-물-강변-바다-불-돌-바위-숲-나무-뿌리-향기-풀-화원-알-제비-매화-나비-모기-매미-단풍-낙엽-곰-빙산, 그리고 얼굴-귀-눈-눈물-안경-입-코-손-발자국-의자-옷-방-벽-벽돌-문’등을 거론하며 이 평범한 사물들이 지니고 있는 비범한 철학적 의미들을 천착한다. 특히 사물들의 존재로부터 윤리적 의미를 읽어낸다는 점은 노자의 노선과도 흡사한 면이 있다. 그 자신의 존재는 숨기면서 그 결과는 드러낸다는 ‘향기의 윤리’, 제 눈에 좋은 것이야말로 제대로 좋은 것이고 제 눈에 좋은 것만큼 그것은 좋은 것이다라는 ‘안경의 미학’, 한 장의 낙엽이 천하의 가을을 알린다는 ‘낙엽의 논리’,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는 ‘손의 윤리’ … 등 쉬우면서도 시사 깊은 철학적 통찰을 보여준다.

<가치론> 편집

또 한편 이수정은 2016년 이후 《공자의 가치들》, 《국가의 품격》, 《소크라테스의 가치들》, 《질을 위한 철학》 등을 통해 ‘가치’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전개한다. 공자의 철학을 개改, 경敬, 공恭, 관寬, 낙樂 및 요樂, 노勞, 덕德, 도道, 명明, 문問, 민敏, 붕朋-우友, 사思, 사事, 서恕, 선善, 수脩, 시視-관觀-찰察, 신信, 신愼, 안安, 애愛, 언言, 예禮, 온溫, 외畏, 욕欲, 용勇, 의義, 인仁, 절節, 정正, 정貞, 종從, 주周, 중重-위威, 지知(알아줌), 지知(앎/지혜), 직直, 총聰-청聽, 충忠, 치恥, 태泰, 학學, 혜惠, 호好, 화和, 회懷, 회懷, 효孝 등 50개의 가치로 정리하고,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무지의 지, 준법, 의연한 죽음, 덕, 진, 선, 미, 지혜, 용기, 절제, 정의, 경신, 우정, 사랑, 행복 등 15개의 가치로 정리하여 이를 자신의 가치로 공유하는 한편, ‘질적인 고급국가’를 위한 시민윤리로 고급주의, 너도주의, 지키기즘, 간직하기즘, 철저주의, 해바라기즘, 단합주의, 끌어주기즘, 들어주기즘, 멀리보기즘, 심미주의, 청결주의, 인정주의, 도전주의, 실력주의, 적임주의, 조심주의, 관심주의, 기억주의, 의리주의, 포용주의, 균형주의, 대비주의, 잘-대하기즘, 내탓주의 등 25개의 가치를 제시한다. 

<에세이 철학> 편집

또 한편 이수정은 2013년의 《인생론 카페》를 시작으로 《진리 갤러리》, 《사물 속에서 철학 찾기》, 《생각의 산책》, 《시대의 풍경》, 《하버드의 춘하추동》, 《하이델베르크와 프라이부르크의 사색일지》를 잇따라 내놓으면서 독특한 ‘에세이 철학’을 전개했다. 친근한 에세이의 형식에 철학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것이다.

이 에세이들은 진리의 창고다. 그 속에는 이를테면 ‘눈은 제 눈을 보지 못한다. 그것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바깥에다 그것을 비춰 보는 것이다.’ ‘관심이라는 것에 한 인간의 정체가 숨어 있다. 그 관심이 인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인생을 결정한다.’ ‘말의 양이 그 질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마디의 말이 백권의 전집을 능가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진정한 언어는 언젠가 어디선가 반드시 그것을 들어주는 귀를 만나게 된다.’ ‘대부분의 명성은 모래 위에 쓰여진다. 아주 드믄 이름들만이 바위 위에 새겨져 저 역사의 풍화를 견디어낸다.’ ‘모든 발걸음에는 방향이 있다. 그리고 그 발걸음들은 인품이라는 이름의 발자국을 남긴다.’ ‘사람이 사람에게 준 따뜻한 마음은 언젠가 그것을 받은 사람의 마음속에서 그리움이라는 이름의 꽃으로 핀다.’ ‘나에게 좋은 이것이 남에게도 그대로 좋은 것인지를 물어보지 않고는 진정한 좋음의 문턱을 넘을 수 없다.’ ‘합리성과 철저성, 도덕성과 심미성이 선진국이라는 건축물의 네 기둥들이다. 그 기둥들은 칼, 돈, 붓, 손이라는 네 초석들이 받치고 있다.’ ‘언어는 마치 물감과 같아서 우리의 정신 속을 드나들면서 자신의 색깔로 정신의 색깔을 물들이게 된다.’ ‘따뜻한 마음 몇 조각이면 누군가의 천 가닥 상처 중 적어도 몇 가닥은 보듬을 수 있다.’ ‘꿈은 오직 그것을 꾸는 자에게만 하나의 금빛 가능성을 제공한다. 꿈꾸지 않는 자에게는 애당초 꿈같은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인간이 진리에게 ‘꼴찌’를 매기는 순간, 그 인간은 진리 앞에서 꼴찌가 된다.‘ ’세상이라는 커다란 책에는 무수한 진리들이 적혀 있다. 단, 대개는 투명잉크로 적혀 있어서 오직 ‘시련’이라는 안경으로만 그 글자를 읽을 수 있다.‘ ’자신의 아픔/기쁨보다 그/그녀의 아픔/기쁨이 더 아프고 기쁜 경우가 있다. 바로 그것이 ‘사랑’의 가장 확실한 증좌가 된다.’ ... 같은 철학적 메시지들이 담겨 있다. 

<궁극의 철학> 편집

또 한편 이수정은 2014년의 하버드 한인연구자협회 강연, 2015년의 교토대학 강연을 통해 이른바 ‘궁극의 철학’에 대한 지향을 피력했다. 공자-부처-소크라테스-예수(가나다순)의 사상이야말로 모든 철학의 저편에 있는 궁극의 철학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 4대 성인의 사상에서 각각 ‘정(正)’ ‘도(度)’ ‘지(知)’ ‘애(愛)’라는 네 글자를 핵심으로 지목한다. 이는 각각 “반드시 이름을 바로잡겠다” “일체 고액을 건너갔다” “너 자신을 알라” “서로 사랑하라”는 저 유명한 말에 기초한다. 그는 문맥이 서로 다른 이 사상들의 공통점을 “선에의 지향” “가치에의 지향”이라고 단정한다. 그리고 그 ‘문제성의 기반’이 갖는 ‘진정성’을 손꼽는다. 그리고 그는 이 ‘선/좋음’을 궁극의 가치로, 창조의 원리로, 최상위의 존재로 인정한다. 단 그는 단순한 논의로 만족하지 않고 ‘앎’에서 ‘함’으로, 그리고 ‘함’에서 ‘됨’으로, 라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방법론> 편집

한편 이수정은 철학적 현상 내지 진리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위해 ‘현장탐사’ ‘원점회귀’ ‘원음청취’ ‘빙의’ ‘뒤집어 읽기’ ‘결여가정’ 등의 독특한 방법론들을 제시했다. 이는 《철학이 보는 시대의 풍경》 《하버드의 춘하추동》을 비롯한 여러 저서에서 확인된다.

‘현장탐사’와 ‘원점회귀’ 내지 ‘원음청취’는 각각 문제가 문제로서 드러나는 그 현실적 지점과 역사적 지점에 직접 가본다는 것이고,

‘빙의’는 현실 속의 문제적 타자 및 역사 속의 텍스트 주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일종의 역지사지로서 그 사람 자신이 되어본다는 것이고,

‘뒤집어 읽기’는 눈앞에 현실로서 전개되어 있는 현상으로서의 결과를 보고 그것이 가능하도록 작용한 원인 내지 그 배면을, 즉 그 ‘왜?’를 짐작해본다는 것이고,

‘결여가정’은 어떤 대상 x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 그것의 결여를 즉 ‘만일 그것이 없다면...’ ‘만일 그렇지 않다면...’을 의도적으로 가정해본다는 것이다.

저서 편집

<철학서> 편집

* 《ハイデガーにおける「存在」と「時間」》, 미간, 1990

* 《하이데거―그의 물음들을 묻는다》, 생각의나무, 2010

* 《본연의 현상학》, 생각의나무, 2011

* 《인생의 구조》, 철학과현실사, 2014

* 《공자의 가치들》, 에피파니, 2016

* 《편지로 쓴 철학사 I・Ⅱ》, 에피파니, 2017

* 《시로 쓴 철학사》, 에피파니, 2017

* 《하이데거―'존재'와 '시간'》, 철학과현실사, 2020

* 《노자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과현실사, 2020

* 《예수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과현실사, 2020

* 《부처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과현실사, 2020

* 《명언으로 돌아보는 철학세계 일주》, 철학과현실사, 2021

* 《소설로 쓴 인생론》, 철학과현실사, 2022

* 《소크라테스의 가치들》, 철학과현실사, 2022

* 《공자 어록―그의 소문난 말들》, 서광사, 2023

<철학에세이> 편집

* 《인생론 카페》, 철학과현실사, 2013

* 《진리 갤러리》, 철학과현실사, 2014

* 《사물 속에서 철학 찾기》, 철학과현실사, 2015

* 《생각의 산책》, 철학과현실사, 2017

* 《알고보니 문학도 철학이었다》, 철학과현실사, 2018

* 《국가의 품격》, 철학과현실사, 2019

* 《시대의 풍경》, 철학과현실사, 2021

* 《하버드의 춘하추동》, 철학과현실사, 2022

* 《하이델베르크와 프라이부르크의 사색 일지》, 철학과현실사, 2023

* 《질을 위한 철학》, 철학과현실사, 2023

<시집> 편집

* 《향기의 인연》, 생각의나무, 2005

* 《푸른 시간들》, 철학과현실사, 2012

<번역> 편집

* 《현상학의 흐름》, 이문출판사, 1989 (木田元、『現象学』)

* 《해석학의 흐름》, 이문출판사, 1995 (麻生健、『解釈学』)

*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今村仁司、『近代性の構造』)

* 《일본근대철학사》, 생각의나무, 2001 (宮川徹ほか、『日本近代哲学史』)

* 《레비나스와 사랑의 현상학》, 갈라파고스, 2013 (内田樹、『レヴィナスと愛の現象学』)

* 《사랑과 거짓말》, 철학과현실사, 2016 (Clancy Martin, “Love and Lies”)

* 《헤르만 헤세 그림시집》, 에피파니, 2018 (Hermann Hesse, “Gedichte”)

* 《라이너 마리아 릴케 그림시집》, 에피파니, 2018 (Rainer-Maria Rilke, “Gedichte”)

* 《하인리히 하이네 그림시집》, 에피파니, 2018 (Heinrich Heine, “Gedichte”)

* 《중국 한시 그림시집I・Ⅱ》, 에피파니, 2018 (편역)

* 《와카-하이쿠-센류 그림시집》, 에피파니, 2018 (편역)

<공저 및 기고> 편집

* 《달려라 플라톤 날아라 칸트》, 해냄출판사, 1995(감수 및 공저)

* 《하이데거―그의 생애와 사상》, 서울대출판부, 1999(공저)

* 「フッサールの言語論」:《言語と現実(哲学雑誌)》, 日本 有斐閣, 第106卷 第778号, 1991(기고)

* 「열암철학의 이해와 계승」:《현실과 창조》, 천지, 1998(기고)

* "Zeitkritik bei Heidegger", in:Vom Rätsel des Begriffs, (Duncker & Humblot - Berlin) 1999(기고)

* 「생명윤리의 철학적 기초:특히 기준의 문제」:《인문논총》, 창원대학, 2001(기고)

* 「日本の価値」:《国士舘哲学》, 国士舘大学哲学会, 2003(기고)

* 「究極の哲学」:《人間存在論》, 京都大学, 2016(기고)

* 「다시 불교를 보다―서양철학 쪽에서」:《월간불교문화》, 대한불교진흥원, 2021(기고)

외부 링크 혹은 관련기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