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국 (야구인)
이원국(李源國, 1948년 5월 10일[1] ~ )은 대한민국에서 출생한 멕시코 국적의 야구 선수이자, 전 KBO 리그 MBC 청룡의 투수이다. 멕시코 국적 취득 이후의 이름은 '에르네스토 카를로스'(Ernesto Carlos)다.
| ||||
기본 정보 | ||||
---|---|---|---|---|
국적 | 멕시코 | |||
생년월일 | 1948년 5월 10일 | (74세)|||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66년 | |||
첫 출장 | NPB / 1967년 LMB / 1972년 KBO / 1983년 4월 5일 | |||
마지막 경기 | NPB / 1967년 LMB / 1982년 KBO / 1983년 9월 28일 | |||
경력 | ||||
선수 경력
| ||||
선수 시절편집
일본 프로야구 시절편집
1966년에 도쿄 오리온스(1969년부터 롯데)에 입단하였으며 1969년 롯데로 넘어간 뒤 최동원이 1980년 말 이 팀의 두 번째 한국인 투수가 될 뻔 했지만[2] 병역 문제 때문에 무산됐다.
미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1968년에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입단하였고 그 이후 몬트리올 엑스포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을 거치며 마이너리그 트리플A까지 올라갔으나[3] 메이저리그 무대를 밟지 못했다.
멕시코 프로야구 시절편집
1972년 2월 피라타스 데 사비나스에 입단하였으며[4] 1981년 최우수선수로 선정되는 등[5] 멕시코 리그(동계 하계 모두 뜀)에서 통산 336경기 149승 128패 8세이브 1126탈삼진 154완투 33완봉 ERA 2.81의 성적을 남겼고 그 당시 29번을 달았으며[6] 한국에 와서도 이 등번호를 선택했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MBC 청룡 시절편집
1983년 3월 18일[7] 입단하였으며 새로 부임했던 김동엽 감독과 훈련 방식의 차이로 갈등을 느껴[8] 8경기 1승 1패 ERA 4.42에 그쳤고 급기야 1984년에는 오른쪽 팔꿈치 부상 등의 이유 탓인지 단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하여[9] 시즌 후 임의탈퇴선수로 은퇴해 멕시코로 돌아갔다.
출신 학교편집
각주편집
- ↑ KBO 홈페이지에서는 1949년으로 나와있으나, Baseball-Reference.com을 포함한 멕시코 및 일본 사이트에서는 1948년으로 나와 있다.
- ↑ “金在博(김재박) 日巨人(일거인)서스카우트교섭”. 동아일보. 1980년 12월 25일.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이석무 (2016년 2월 26일). “[메가페이퍼]'박찬호에서 강정호까지' 코리안 빅리거 역사”. 이데일리.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윤여준 (1973년 9월 3일). “멕시코 最下位(최하위)야구팀 入團(입단) 一躍決勝(일약결승) 進出(진출)시킨 李源國(이원국)선수”. 경향신문.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李源國(이원국) 歸國(귀국)여부 알려달라" KBO,李(이)선수兄(형)통해 確答(확답)요구”. 경향신문. 1982년 12월 30일.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박희송 (1983년 3월 31일). “出戰(출전) 선수 명단 경기 하루전에 발표”. 조선일보.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최민규 (2016년 5월 4일). “원조 '풍운아', 이원국을 아시나요?”. 일간스포츠.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천일평의 야구장 사람들]고국에서 왕따 당한 이원국, 멕시코에서 날다”. OSEN. 2005년 4월 26일.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최민규 (2016년 5월 4일). “원조 '풍운아', 이원국을 아시나요?”. 일간스포츠.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