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성 (정치인)

이재성(李在星, 1970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재성
출생1970년(53–54세)
대한민국 부산시
국적대한민국
학력부산동일초등학교(졸업)
부산서중학교(졸업)
부산중앙고등학교(졸업)
포항공과대학교(물리학/중퇴)
고신대학교 의과대학(의예과/중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계산통계학 / 학사)
직업정치인
경력한솔PCS(現 KT그룹) 근무
넷마블 이사
CJ인터넷 이사
엔씨소프트 전무
엔씨소프트 문화재단 전무
엔씨소프트서비스 대표이사
러기드코리아 대표
알로이시오기지1968 기지장
퓨쳐스콜레 이사회 의장
새솔테크 대표
부산문화재단 등기이사
(재)마리아수녀회 등기이사
새솔테크 고문
이재성 미래비전 연구소 대표
웹사이트이재성TV https://www.youtube.com/@leejaesungtv

개요

편집

한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 NC소프트 전무이사, 새솔테크 대표이사 등으로 근무하다 부산 사하을 선거구에 민주당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했다.

넷마블 이사, CJ인터넷 이사, 엔씨소프트 전무, 엔씨소프트서비스 대표, NC문화재단 전무, NC다이노스 창단준비TF 대변인, 러기드코리아 대표 에듀테크 스타트업 퓨쳐스콜레 이사회 의장, 자율주행 스타트업 새솔테크 CEO 등을 지냈다.

기업인 이력 외에 부산 소년의집 학원 창의교육센터인 알로이시오기지1968 초대 센터장을 1년간 맡은 이력을 가지고 있다.

국회의원 출마 전 스타트업 경영고문을 맡고 초·중·고, 대학, 복지시설 등을 대상으로 강연활동을 병행했다.

생애

편집

초기 생애

편집

1970년 부산에서 부산항 부두 노동자의 2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했다.[* 고향이 경남 산청인 아버지가 부두 노동 일을 하게 되면서 부산으로 왔다고 한다.] 부산 동일초등학교를 다녔다. 친구들 사이에서 수학귀신으로 통했다.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와 부산 고신의대를 거쳐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를 졸업했고 경제학을 부전공했다.

기업 근무 이력

편집

1997년 한솔PCS를 거쳐 2002년 2월 넷마블에 들어가 이사로 승진했다. 넷마블이 CJ그룹에 인수되어 CJ인터넷 이사가 되었지만 2006년 엔씨소프트로 이직했고 2008년 엔씨소프트 상무로 승진했다.[1]

2010년 프로야구 제9구단 NC 다이노스 창단에 관여해 엔씨소프트의 프로야구단 창단 TF 대변인을 맡아 한국야구위원회에 창단신청 서류를 직접 제출했다.[2]

2013년 엔씨소프트 전무로 승진했고 이후 한국게임산업협회 운영위원장,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운영위원, 게임문화재단 실행이사, 국립중앙박물관 자문위원, 국립어린이도서관 자문위원, 아동복지시설 부산소년의집 시설운영위원 등을 역임했다.

2019년 폐교 활용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창의교육센터 부산 알로이시오기지 1968 설립총괄 PM을 맡았으며, 2021년 1년 5개월간 초대 센터장으로 기반을 잘 조성한 뒤 마리아수녀회 수녀에게 운영을 인계했다.[3]

이후 비대면 교육 솔루션을 자체 개발한 에듀테크 스타트업 퓨쳐스콜레 이사회 의장, 자율주행 스타트업 새솔테크 CEO를 역임했다.[4]

정치 입문

편집

2023년 12월 14일 더불어민주당/인재영입 2호로 영입되었고 같은 날 새솔테크 고문에서 물러났다. 국회의원 후보로써 부산 사하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5]

선거직후 본인 유튜브 커뮤니티에 낙선관련 안내문을 올리면서 정치활동 의지를 표명했고, 이후 2024년 4월 22일부터 활동을 재기한다.

2024년 봄 본인의 페북 등 에서 향후 2026년 6월에 치뤄지는 부산광역시장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서 도전해보겠다는 포부를 밝힌다. 그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부산 사하을 지역위원장에 선출되었고, 2024년 6월 1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7월 예정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에 출마 선언을 하였다.

여담

편집

NC 다이노스 창단의 주역이다. 때 롯데와 어떻게든 좋게 가려고 했다고 한다. 롯데 자이언츠 어린이회원 출신 야구광으로, 서울[* LG, 두산, 키움]처럼 부산경남[* 롯데, NC] 구도가 롯데와 NC 모두에게 좋을 거라 생각했다 한다.[6] 하지만 롯데는 끝까지 NC 창단을 반대했으며 롯데가 괘장을 부릴 때마다 제1선에서 강하게 쉴드를 쳤다. 매일 뉴스에 나오다시피 했다고 한다.[7]

NC 최종 창단 승인 뒤 인터뷰에서 “양보해준 롯데에 감사한다”는 명언(?)을 남겼다.[8]

2009년 지스타 유치에도 큰 역할을 했다. 지스타는 본래 수도권에서 열리던 게임쇼였다. 2009년 부산에서 처음 열린다는 기사에 한국게임산업협회 지스타 담당을 맡았다. 서울 코엑스와 일산 킨텍스가 계속 배짱 영업을 하자 크게 열 받아, 전국 전시회장을 조사해 부산 벡스코 에서 개최하도록 밀어붙여 부산 = 지스타 를 만들어 경제적으로 부산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한다.[9]

부산에 유치한 지스타가 대박이 나자 "지금이 부산시가 지스타를 붙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는 인터뷰를 했다.[10]

각주

편집
  1. “<인사>엔씨소프트”. 《뉴시스》. 2008년 3월 10일.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2. 정재우 (2011년 1월 11일). “[이슈&포커스] 오늘 KBO 이사회…9구단 창단 잘 풀릴까”. 《동아일보》.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3. 남정석 (2020년 1월 29일). “교육놀이터 '알로이시오기지1968', 초대 기지장에 엔씨소프트 이재성 전 전무 선임”. 《스포츠조선》.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4. 소셩렬 (2022년 5월 17일). “자율주행 V2X 보안기술 스타트업 새솔테크, 팁스(TIPS) 선정”. 《전자신문》.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5. 남용희 (2023년 12월 14일). “더불어민주당 2호 인재영입, 엔씨소프트 출신 이재성 [TF사진관]”. 《더팩트》.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6. 김진성 (2011년 3월 18일). "롯데 자이언츠와 공존 지역 라이벌로 붐 기대". 《부산일보》.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7. 이재성 (2010년 12월 23일). “게임업체가 프로야구 구단 창단 선언...엔씨소프트 어떤 회사? [이재성, 상무]”. 《YTN》.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8. 김태만 (2011년 2월 8일). “엔씨 이재성 상무 “양보해준 롯데에 감사””. 《일간스포츠》.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9. 김태만 (2009년 5월 26일). “한국콘텐츠진흥원, 부산에서 열리는 '지스타2009' 참가설명회 실시”. 《베타뉴스》.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10. 황석하 (2009년 11월 30일). "부산시, 지스타 붙잡을 기회". 《부산일보》.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