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성 (1692년)

조선의 문신

이종성 (李宗城, 1692년1759년) 은 조선문신이다. 자는 자고(子固), 호는 오천(梧川), 본관은 경주이다. 시호는 효강(孝剛), 뒤에 문충(文忠)으로 개시(改諡)되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이종성
신상정보
출생일 1692년
사망일 1759년
국적 조선
직업 문신
상훈 분무원종공신 1등

소론의 지도자로, 노론 유척기 등과 손잡고 사도세자를 보호하려 하였다. 이항복의 5세손이며 좌의정 이태좌의 아들이다.

생애

편집

숙종 때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27년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정자가 되었다. 1729년 경상도 암행어사가 되어 백성들을 잘 보살폈다. 그 후 이조참의·광주부윤·좌부승지·대사성·병조참판·동지의금부사·도승지·경기도관찰사·이조참판·한성부좌윤·부제학·호조참판·평안도관찰사·이조판서·형조판서·예조판서·공조판서·예문관제학·대사헌·좌의정·영의정 등을 지냈다.

그는 성리학에도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는데, 재직중 장헌세자를 한마음으로 잘 보살펴 그가 살아 있는 동안은 적당들이 간계를 부리지 못했다고 한다. 그는 유척기 등과 함께 장헌세자의 보호자의 한 사람이었다. 저서로 《오천집》이 있다.

후일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종묘의 장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작

편집
  • 《오천집》
  • 속오례의(續五禮儀)》 편찬에 참여하였다.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