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적 행동주의

(인지적 행동주의에서 넘어옴)

목적적 행동주의(purposive behaviorism)는 행동을 목적과 결부시켜 이해해야 한다는 행동주의 이론이다.

개요

편집

목적적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이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 따라 인지도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본다.

기본 가정
  • 강화 없이도 학습은 가능하다.
  • 행동과정 연구 = S-R 연합이나 S-S연합에 의한 조건반사로 분해하여 연구
  • 학습의 결과가 반드시 외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 학습에서 학습자의 욕구와 습관의 강도, 유인가 등과 같은 중재 변인을 고려하였다.
  • 행동에는 목적이 있다.
  • 일련의 반응들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정보도 습득 가능하다.

시사점

편집
조작적 조건화에서의 학습의 조건이 강화와 벌(에드워드 손다이크의 쥐의 실험)이었다면 인지적 행동주의에서는 강화 없이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학습 당시 외면 행동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적절한 동기가 주어졌을 때 행위로 나타나는 학습 현상을 잠재학습이라 설명한다.
  • 행동의 인지적, 거시적 측면 강조
행동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목표를 지향하며(거시적), 목표와 관련되는 수단의 사용은 인지적 결과이다(인지적).
  • 인지도(Cognitive map)
유기체가 환경 내에서 활동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그림 형태의 지식체계이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적인 반응을 일으켜 행동하는 것이 아닌 전체적인 상황에 대한 인지지도를 발달시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짧고 효과적인 길을 선택한다(최소 노력의 원리).
  • 대리적 시행착오
실험에서 쥐가 미로 찾는 과정을 관찰한 다른 쥐는 자신이 실제 시행착오를 겪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신이 시행착오를 경험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