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대 빌헬름 리스트 외 판례(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 Wilhelm List, et al.) 또는 인질 재판(독일어: Geiselmord-Prozess, 영어: Hostages Trial)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군 군사법정에서 개최한 12차례의 전쟁범죄 재판(뉘른베르크 계속재판) 중 네 번째 재판이다. 독일어로는 남동유럽 방면 장성 재판(독일어: Prozess Generäle in Südosteuropa)이라고도 한다.

기소장을 받아보는 빌헬름 리스트. 오른쪽 사람은 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

피고인들은 모두 발칸 전역 당시 남동유럽 일대에서 군을 지휘하던 독일 국방군 장성들이었다. 이들은 1941년부터 발칸 주둔 독일군이 민간인을 인질로 잡고 때로 그 인질들을 타당한 이유 없이 사살한 것에 대한 책임을 물어 기소되었다.

판사는 찰스 F. 웨너스트럼(재판장), 조지 J. 버크, 에드워드 F. 카터였다. 검사인단 대표는 텔퍼드 테일러였고 이 재판의 검사장은 시어도어 펜스터매처였다. 기소는 1947년 5월 10일 이루어졌으며 공판은 7월 8일부터 이듬해 2월 19일까지 계속되었다. 기소된 피고인 12명 중 프란츠 뵈메기소인부절차가 진행되기도 전에 자살했고, 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는 신병을 이유로 재판에서 빠졌다. 나머지 10 명의 피고인들 중 무혐의 석방 판결을 받은 사람은 2명 뿐이고, 나머지 8명은 7년형에서 종신형 사이의 징역을 선고받았다.

기소 내용 편집

  1. 그리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에서 인질을 잡고 보복성 살해를 함으로써 민간인 수십만 명을 죽인 대량살인의 죄.
  2. 그리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의 촌락과 도시들을 약탈하고 이유 없이 파괴한 죄.
  3. 전쟁포로를 살해 및 학대하고, 전투원들을 "파르티잔"으로 멋대로 분류하여 전쟁포로라는 그들의 신분을 부정하고 그들을 살해한 죄.
  4. 그리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의 민간인들을 살해, 고문, 강제이주 및 강제수용소에 수용시킨 죄.

모든 피고인이 모든 내용에 대해 기소되었고, 모두 무죄를 주장했다.

피고인 목록 편집

사진 성명 기소 내용 양형 비고
1 2 3 4
  빌헬름 리스트 G I G I 종신형 육군 야전원수. 1941년-1942년 남동부 국방군지휘관. 1941년 제12군 지휘관.
1952년 12월 신병을 이유로 석방. 1971년 사망.
  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 I I I I 육군 야전원수. 남작 작위 보유한 구 제국 귀족. 발칸 전역 당시 제2군 지휘관(당시 계급 상급대장).
신병을 이유로 중도 불기소.
  로타르 렌둘릭 G I G G 20년형 육군 상급대장. 1943년-44년 유고슬라비아 방면의 제2기갑군 지휘관.
이후 10년형으로 감형. 1951년 석방. 1971년 사망.
  발터 쿤체 G I G G 종신형 육군 공병대장. 남동부 국방군지휘관 및 제12군 지휘관(1941년 10월 29일 이후)으로서 리스트의 후임.
1953년 석방. 1960년 사망.
헤르만 푀어트슈 I I I I 무혐의 석방 육군 소장. 제12군 장군참모장.
  프란츠 뵈메 I I I I 육군 산악병대장. 1940년-43년 제18산악육군단 군단장. 1944년 이후 렌둘릭의 후임.
1947년 5월 30일 자살.
  헬무트 펠미 G G I I 15년형 공군 항공대장. 남그리스 군집단 지휘관.
1851년 10년형으로 감형, 1965년 사망.
  후베르트 란츠 G I G I 12년형 육군 산악병대장. 1943년-45년 제22산악육군단 군단장.
1951년 석방. 1982년 사망.
  에른스트 데너 G I I I 7년형 육군 소장. 렌둘릭 밑에서 군단장으로 근무.
1951년 석방. 1970년 사망.
  에른스트 폰 라이저 I I G G 10년형 육군 보병대장. 렌둘릭과 뵈메 밑에서 군단장으로 근무.
1951년 석방. 1962년 사망.
  빌헬름 슈파이델 G I I I 20년형 육군 소장. 1942년-44년 그리스 군정청장.
1951년 석방, 1970년 사망.
쿠르트 폰 가이트너 I I I I 무혐의 석방 기사 작위 보유한 구제국 귀족. 세르비아와 그리스 방면 지휘관들의 장군참모장
1968년 사망.

I — 기소됨   G — 기소되었고 유죄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