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명 어피인장함

임오명 어피인장함(壬午銘 魚皮印章函)은 정방형 몸체에 제형(梯形) 뚜껑이 있는 인장을 보관하기 인궤(印櫃)이다.

임오명 어피인장함
(壬午銘 魚皮印章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95호
(2019년 2월 13일 지정)
수량1점
소유부산광역시
위치
주소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시립박물관)
좌표북위 35° 07′ 47″ 동경 129° 05′ 39″ / 북위 35.12972° 동경 129.09417°  / 35.12972; 129.0941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2018년 12월 5일 문화재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1], 2019년 2월 13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95호로 지정되었다.[2]

지정 사유

편집

부산박물관 소장 어피인장함(魚皮印章函)는 정방형 몸체에 제형(梯形) 뚜껑이 있는 인장을 보관하기 인궤(印櫃)이다. 특히 오동나무 백골에 상어가죽인 사어피(沙魚皮)를 입혀서 만든 어피함이기도 하다.

인장함의 앞면에는 제비초리형태의 자물쇠 앞바탕을 부착하고 바닥까지 닿는 넝쿨문이 음각된 긴 뻗침대를 내렸는데 끝이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갈라져있다. 앞바탕과 뻗침대 및 귀싸개 등의 장석에 넝쿨문 혹은 어자문을 조이질 시문하여 장식성을 가미하였다. 모서리와 각이 지는 전체를 화염문이 장식된 귀싸개로 감싸고 못을 박아 화려하고 견고하게 제작하였다. 제형 뚜껑은 정상부에 원형 및 화형(花形)의 이중 받침 위에 13각으로 이루어진 율각형 꼭지가 달려 있으며 바닥 네 귀에는 나무로 깎은 유두형 발이 있다.

황동으로 제작된 장석 중 앞바탕의 경우 일본민예관 소장 18~19세기 홍칠함의 앞바탕과 형태 및 조이질 등에서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조선시대 홍칠은 중국에서 수입한 당주홍으로 칠한 것으로 工典 등에 진상하는 목공예품에 쓰였다. 또한 붉게 주칠되어 있는 뚜껑 내면에는 명문이 묵서되어 있는데 적외선 사진 촬영결과 그 중 ‘道光二年(1822) 壬午 ■印室’이라는 글과 연화질(緣化秩)인 ‘僧統 玆■ 片手 黃■ 古阜 聖元’ 등의 글이 판독된다. 따라서 이 인장함은 사찰의 승인(僧印)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1882년에 3인의 승려가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부산박물관 소장 어피인장함은 사찰에서 승인을 보관하기 위해 제작한 인장함이다. 특히 뚜껑 내부에 묵서되어 있는 명문에 의해 1822년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어 이러한 사찰 인장함 양식의 절대연대를 제공해 주고 있는 등 그 가치가 매우 큰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어피인장함은 어피의 갈라짐과 자물쇠의 결실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호한 유물이다.[2]

각주

편집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8-401호《부산광역시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853호, 2018-12-05
  2.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9-36호《부산광역시지정문화재 지정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863호, 2019-02-13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