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 (언어학)

두 음운이 비슷하게 변하는 현상
(자음동화에서 넘어옴)

동화(同化)는 음운 과정(phonological process)의 가장 보편적인 유형들 가운데 하나로, 음운이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방향으로 바뀌는 작용을 말한다. 반대말은 이화(異化)이다.

이 변화는 조음기관의 위치나 조음방법이 동일하게 동화되거나 또는 어떤 음성적 특징만이 동화되기도 한다. /A/와 /B/의 통합체가 있을 때, 즉 -/A/+/B/- 가 있을 때, /A/와 /B/를 따로따로 발음하는 것보다 /A/를 /B/에 동화시켜 /B+B/ 또는 /B/를 /A/에 동화시켜서 /A+A/로 발음하는 것이 더 쉬운 발음이 될 것이다. 이는 발화 시 조음의 편의(ease of articulation)를 위한다는 노력경제 원칙에 일치하는 현상이다.

동화의 방향

편집

1) 역행동화 (regressive assimilation)

예1) 한국어 '신라'가 '실라'로 발음

예2) 라틴어 lectus > 이탈리아어 letto

2) 순행동화 (progressive assimilation)

예) 한국어 '종로'가 '종노'로 발음.

3) 상호동화 (reciprocal assimilation)

예) 한국어 '독립'이 '동닙'으로 발음

동화의 정도

편집

1) 완전동화: 영향받는 소리가 영향주는 소리를 완전히 닮음

예) 신라 > [실라], /kt/ > [tt]

2) 부분동화: 영향받는 소리가 영향주는 소리를 일부만 닮음

예: 독립 > [동닙]

영향을 주고 받는 두 음운의 위치

편집

1) 인접동화 (contiguous assimilation)

예) /kt/ > /tt/, 신라-[실라]

2) 간격동화 (distant assimilation)

예) 표준 슬로베니아어 Jevnica > 슬로베니아 방언 Vevnica

시차 동화

편집

1) 인접마디에 따른 시차 동화(Lag assimilation to an adjacent segment)

예) 영어 it is [ɪtɪz] / it's [ɪts]

2) 시차 간격 동화(Lag assimilation at a distance)

예) 그리스어 leirion > 라틴어 līlium

참고 문헌

편집
  •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2005)
  • 전상범, '음운론', 서울대출판부(2004)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