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색군(雜色軍)은 조선 초기군사 조직으로 오늘날의 예비군에 해당한다. 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비 등이 소속되었다.

역사 편집

조선의 방어 체계는 주로 국경 지대나 해안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방비가 소홀한 내륙 지방의 방어를 맡기 위해 창설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원종이 재위하던 1268년 이후 잡색군에 관한 몇가지 기록이 존재하지만, 그 성격이 명확하지 않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체계적인 편성이 이루어졌다. 1410년(태종 10년)에 기존의 연호군(烟戶軍)의 제도와 편제를 정비한 것이 시초이다. 그러나 이것은 실질적인 병종(兵種)이라 할 수 없었다. 이어 세종 초기에 향리(鄕吏), 관노(官奴), 향교의 생도 등 군역을 지지 않는 장정을 대상으로 하나의 병종으로 편제하여 1425년 편찬된 《경상도지리지》에 잡색군이 독립된 병종으로 수록되었다. 그러나 세종 말부터는 정규 군사가 늘어나면서 잡색군은 전란이 일어나도 동원조차 되지 않는 이름뿐인 존재가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