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寶林寺 四天王像 腹藏 金剛般若論)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강반야론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금강반야론
(寶林寺四天王像腹藏金剛般若論)
대한민국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96호
(1998년 8월 20일 지정)
수량1책
시대조선시대
위치
주소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좌표북위 34° 48′ 29″ 동경 126° 53′ 48″ / 북위 34.80806° 동경 126.89667°  / 34.80806; 126.8966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에 위치한 보림사의 사천왕상 속에 들어있던 유물 중 하나이다.

『금강반야론』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풀어 쓴 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이다.

이 책은 본래 고려대장경에 속해 있었는데, 이 판본만 별도로 조선 전기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간행한 것에 대한 기록은 따로 남아 있지 않지만, 원판은 1236년 해인사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기구인 대장도감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