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기 (正黄旗, 만주어: ᡤᡠᠯᡠ
ᡧᡠᠸᠠᠶᠠᠨ
ᡤᡡᠰᠠ
, 묄렌도르프: gulu suwayan gūsa, 청: gulu suwayan gvsa)는 청나라 팔기 중 하나이고, 정황기로 이름 붙혀졌다. 양황기, 정백기와 함께 상삼기로 불렸다. 송금전쟁, 팔리교전쟁에 참가한 적이 있다.

정황기 깃발

한족문화의 "정복(正副)" 관념의 영향을 받아, 현대 민중 · 영화 · 드라마는 대부분 정황기를 팔기의 우두머리로 오인한다. 실제로는 양황기가 팔기의 우두머리로, 황제의 호구도 양황기에 등록해, "양황기 제1참령 제1좌령 상어명"이라고 한다.

개요

편집

정황기는 만주 · 몽골 · 한군으로 나뉘어있으며, 별도의 기주를 두지 않고, 황제가 직접 통솔한다. 정황기에 소속된 병사가 가장 많았고, 청나라 말기에는 정좌령 92개, 반좌령 2개 등, 총 3만 명의 기병을 거느렸고, 일가족 모두 포함하면 약 15만명에 이른다.

《광서회전사례(光绪会典事例)》에는 정황기 좌령 정원의 비율이, 종실 3개, 각라 4개, 신만주 4개, 몽골 8개 반, 조선 2개, 번방 1개, 만주 70개로 기록되어있다.

정황기 출신 인물

편집
만주 몽골 한군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