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해양경찰 헬리콥터 추락 사고
(제주도 해양경찰헬기 추락 사고에서 넘어옴)
제주도 해양경찰헬기 추락 사고는 2011년 2월 23일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헬기 추락 사고이다. 제주해경이 AW-139를 2011년2월18일 도입한 후 불과 5일이 경과한 싯점에서 일어난 기체손실 사고이다.
제주도 해양경찰헬기 추락 사고 | |
---|---|
개요 | |
발생일시 | 2011년 2월 23일 |
발생유형 | 추락 |
발생원인 | 비행착각[1] |
발생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인근 해상[2] |
사망자 | 2명[3] |
실종자 | 3명[3] |
생존자 | 없음 |
첫 번째 항공기 | |
기종 | AW-139 |
소속 |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제주항공대 |
등록번호 | B516[4] |
출발지 | ![]() |
경유지 | 국가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제민급 1502함[5] |
목적지 | ![]() |
탑승승객 | 1명(해양경찰) |
승무원 | 4명 |
세 번째 항공기 |
개요
편집제민급 1502함에서 근무하던 이모 순경이 복통과 고열로 인해 쓰러지자[2], 사고 헬기가 출동하여 이송하던 도중 조종사가 비행착각을 일으켜 일시적으로 고도감을 상실, 추락하였다.[1] 본래 제주대학교병원에 착륙할 예정이었으나, 야간비행으로 인해 제주국제공항으로 경로를 변경한 상태였다.[5]
결과
편집출동한 조종사 2명, 정비사 2명과 탑승자 1명 중에서 탑승자 1명과 정비사 1명의 사망이 확인되었고[3], 나머지 3명은 실종되었다.[6]
사고 원인
편집해양경찰청 사고조사위원회와 국토해양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사고 원인은 조종사의 공간정위상실(비행착각)이다.[7]
각주
편집- ↑ 가 나 고성식 (2012년 1월 16일). “"작년 제주 해경헬기 추락 '비행 착각' 때문"”. 연합뉴스.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제주에 배치됐다하면 추락하고 침몰하고…”. 노컷뉴스. 2011년 2월 24일.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2000년 이후 19번째 헬기사고…대책 없나”. MBN. 2015년 3월 15일.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동료 경찰관을 떠나 보내며…”. 제주일보. 2011년 3월 16일.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제주 해상서 해경 주검·추락헬기 잔해 찾아”. 한겨레. 2011년 2월 24일.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제주 추락 해경헬기 실종자 수색 진전없어”. 연합뉴스. 2011년 3월 14일.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작년 제주 해경헬기 추락 '비행 착각' 때문”. 연합뉴스. 2012년 1월 16일.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이 글은 항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사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