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3읍도총지도

제주3읍도총지도(濟州3邑都摠地圖)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인 1770년대에 제작된 제주도의 옛 지도이다. 1991년 6월 4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제주3읍도총지도
(濟州3邑都摠地圖)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4호
(1991년 6월 4일 지정)
수량1매
위치
제주3읍도총지도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제주3읍도총지도
제주3읍도총지도
제주3읍도총지도(대한민국)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성로 40 (일도이동)
좌표북위 33° 30′ 22″ 동경 126° 31′ 53″ / 북위 33.50611° 동경 126.53139°  / 33.50611; 126.5313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조선 후기인 1770년대에 제작된 제주도의 옛 지도이다. 제주도의 지도는 초기에는 둥근 감자형이었다가 점차 고구마형으로 바뀌는데, 이 지도는 위에 설명한 두가지 형태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한라산과 그 주변의 오름들을 입체화시켜 한라산의 웅장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한라산 봉우리의 명칭들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더욱이 제주가 섬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섬의 위치까지 적어 놓고 있다. 제주목, 대정현의 경계를 붉은선으로 표시하였고, 3읍의 연결도로망도 나타내었으며, 목장·과수원·포구 등의 명칭도 모두 적어 놓았다. 지도 주변에는 24방위가 표시되어 있으며, 전라도의 해남·강진·장흥과 그 주변의 일본·중국의 산동·양주· 항주 등지와 안남까지 자세히 표기하여 해도(海圖)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다.

1700년대의 제주도의 산업과 방위·마을·해상로·지도의 제작기법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