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소련-핀란드 전쟁(러시아어: Советско-финская война) 혹은 계속 전쟁(핀란드어: jatkosota 야트코소타[*])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면서 핀란드가 독일의 동맹군이 되어 소련을 공격하면서 시작하였다. 핀란드에서는 1940년에 종전한 겨울 전쟁(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에 이어 1년 만에 양국이 다시 전쟁에 들어갔다고 하여 계속 전쟁이라고 한다. 그러나 소련 측의 입장에서 보면 독소전 전선들 중 하나였을 뿐이다. 1941년 6월에 발발, 1944년 9월에 끝났다. 1947년파리 조약으로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계속 전쟁
제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의 일부

1944년 비보르크-페트로자포츠크 공세 시기, 바메술-타이팔레 선을 지키고 있는 핀란드군 병사.
날짜1941년 6월 25일 ~ 1944년 9월 14일
장소
결과

소련의 승리[1][2][3]

교전국

핀란드의 기 핀란드
나치 독일의 기 나치 독일


소규모 지원국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왕국1

소련의 기 소련


소규모 지원국

영국의 기 영국2
지휘관

핀란드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나치 독일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1941년 11월 7일)
나치 독일 에두아르트 디틀 (1941년 11월 7일~1944년 6월 23일)

나치 독일 로타르 렌둘릭 (1944년 6월 28일~)

소련 마르키안 포포프
소련 미하일 코친
소련 발레리안 프롤로프
소련 키릴 메레츠코프

소련 레오니트 고보로프
병력
핀란드군 53만명[Note 1][4]
독일군 22만명[Note 2]
1941년 6월: 450,390명 (북부 전선군발트 함대)[5]
1944년 6월: 650,000명[6]
피해 규모

핀란드군:
63,204명 사망 또는 실종
158,000명 부상
민간인 939명 공습 사망
민간인 190명 소련 파르티잔에게 사망
2,377~3,500명 포로
독일군:
14,000명 사망 또는 실종
37,000명 부상
총 합:

사상자 275,000명 이상

305,000명 사망
385,000명 부상
민간인 4,000~7,000명 사망
총 합:

사상자 ~835,000명

핀란드군의 임무는 핀란드로 진주한 독일 산악 군단과 더불어 북부 소련의 무르만스크를 점령하여 바렌츠해를 통해 서방 연합군이 소련을 지원하는 것을 막는 일이었으나, 다른 전선에 비해 전력이 열세였던 탓에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대신 겨울 전쟁 때 잃었던 동카렐리야 땅을 다시 점령하였다. 하지만 레닌그라드 전투에 지원군을 보내달라는 독일의 요청은 거절하였다.

1944년 이후 전세가 바뀌어 소련이 거꾸로 핀란드로 침공해오자 핀란드는 독일과 맺었던 동맹을 파기하고 독일군을 공격하게 된다. 두 강대국 사이에 낀 핀란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더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1. 핀란드군의 거의 대부분은 1941년 핀란드군의 공세 시기(약 50만명)와 1944년 소련의 공세 시기(528,000명)에 동원되었다. 이 중 육군에는 26만~36만명이, 공군에는 8천~2만 2천명이, 해군에는 1만 4천~4만명이 있었고 지휘부 장교는 15,000~36,000명이 있었다. 여기에 노동자 19,000명이나 대공방어군 25,000명(소방대, 방공호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 다양한 비전투 업무에 종사했던 여성 43,000명 등 전쟁 지원 업무를 맡았던 사람들도 상당히 있었다.
  2. 핀란드 라플란드 지역에서 은여우 작전을 수행하던 병력이다.
출처주
  1. Mouritzen, Hans (1997년). 《External Danger and Democracy: Old Nordic Lessons and New European Challenges》. Dartmouth. 35쪽. ISBN 1-85521-885-2. 
  2. Nordstrom, Byron (2000년). 《Scandinavia Since 1500》.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16쪽. ISBN 978-0-8166-2098-2. 
  3. Morgan, Kevin; Cohen, Gidon; Flinn, Andrew (2005년). 《Agents of the Revolution: New Biographical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Communism in the Age of Lenin and Stalin》. Bern: Peter Lang. 246쪽. ISBN 978-3-03910-075-0. 
  4. Maanpuolustuskorkeakoulun historian laitos, Jatkosodan historia 1–6 ("The History of the Continuation War, 1–6"), 1994
  5. Кривошеев, 편집. (2001년).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ХХ века (러시아어). Олма-Пресс. 269–271쪽. ISBN 5-224-01515-4. 
  6. Manninen (1994) pp. 277–282

참고 문헌 편집

핀란드어 서적 편집

  • Finnish National Archive Luovutukset: Research on prisoner-of-war deaths, extraditions and deportations from Finland between 1939–55, Research project, See
  • Krosby, H. Peter (1966). 《Nikkelidiplomatiaa Petsamossa 1940-1941》. Kirjayhtyma. 
  • Krosby, H. Peter (1967). 《Suomen valinta 1941》. Kirjayhtyma. 
  • Polvinen, Tuomo I. (1979). 《Suomi kansainvälisessä politiikassa 1941–1947, osa 1: 1941–1943: Barbarossasta Teheraniin》. WSOY. 
  • Polvinen, Tuomo I. (1980). 《Suomi kansainvälisessä politiikassa 1941–1947, osa 2: 1944: Teheranista Jaltaan》. WSOY. 
  • Polvinen, Tuomo I. (1981). 《Suomi kansainvälisessä politiikassa 1941–1947, osa 3: 1945–1947: Jaltasta Pariisin rauhaan》. WSOY. 
  • Sana, Elina (1994). 《Luovutetut/ The Extradited: Finland's Extraditions to the Gestapo》. WSOY. ISBN 951-0-27975-7. 
  • Seppinen, Ilkka (1983). 《Suomen Ulkomaankaupan ehdot 1939–1944》. ISBN 951-9254-48-X. 

러시아어 서적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Stavka directive of 24 June 1941 "on measures to foil a possible enemy strike from the territory of Finland against Leningrad", authorising the Soviet air offensive of 25 June 1941 (page 1, page 2)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