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 동형
바둑에서 좌우 동형(左右 同形)은 같은 색의 돌로 이루어진 모양이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형태를 뜻하는 말이다. '좌우 동형은 중앙이 급소'라는 바둑 격언도 있으며, 특히 사활 문제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제 중 하나이다.
좌우 동형과 사활
편집위의 그림에서 흑의 급소는 a로 표시된 점으로, 흑이 먼저 돌을 놓으면 살고 백이 먼저 돌을 놓으면 죽는 자리가 된다.
이 모양은 백선이라면 죽지만 흑선이라면 살 수 있다.
위와 같이 대칭의 중앙이 되는 부분에 먼저 가일수하면 백이 양쪽으로 젖혀 궁도가 좁아지더라도 떨어진 두 집을 내고 완생하는 모양이 된다.
만약 흑이 한 집이라도 더 내려고 위 그림처럼 무리하게 덤벼들면, 위 수순과 같이 진행됨으로써 흑이 귀곡사로 되어 실패이다.
이 모양도 좌우 동형이다. 백이 a에 두면 아래 그림과 같은 수순으로 진행되어 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흑의 양자충으로 백을 단수치러 들어갈 수 없다. 양쪽 모두 흑이 a에 두어 안형을 없애고자 해도 촉촉수로 백이 b에 두면 안형이 확보되고, 반대로 양쪽 모두 흑이 b에 두어 이으면 이번에는 백이 a에 두어서 안형을 확보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백의 삶이 된다.
이 모양도 백이 중앙인 a에 급소가 있는 모양이다. 흑이 먼저 a에 두면 백이 죽지만, 백이 먼저 a에 두면 빅으로 흑과 백이 모두 살게 된다.
예제
편집- 제1도 (흑선흑활)
이 모양의 아래쪽은 전형적인 빗형 6궁으로 그 중에서도 옆은 공배가 모두 메워진 형태이다. 이 모양 역시 좌우 동형으로 사활이 갈리는 좋은 예이다. 잘 보면 좌우 동형의 중앙이 되는 점(붉은 동그라미 부분)이 위아래로 있이므로, 흑이 어디로 집어넣어야 백이 다른 한 점에 치중해도 살 수 있는지 잘 생각하고 두어야 한다.
제1도의1 (완생) | 제1도의2 (실패) | ||||||||||||||||||||||||||||||||||||||||||||||||||||||||||||||||||||||||||||||||||||||||||||||||||||||||||||||||||||||||||||||||||||||||||||||||||||||||||||||||||
---|---|---|---|---|---|---|---|---|---|---|---|---|---|---|---|---|---|---|---|---|---|---|---|---|---|---|---|---|---|---|---|---|---|---|---|---|---|---|---|---|---|---|---|---|---|---|---|---|---|---|---|---|---|---|---|---|---|---|---|---|---|---|---|---|---|---|---|---|---|---|---|---|---|---|---|---|---|---|---|---|---|---|---|---|---|---|---|---|---|---|---|---|---|---|---|---|---|---|---|---|---|---|---|---|---|---|---|---|---|---|---|---|---|---|---|---|---|---|---|---|---|---|---|---|---|---|---|---|---|---|---|---|---|---|---|---|---|---|---|---|---|---|---|---|---|---|---|---|---|---|---|---|---|---|---|---|---|---|---|---|---|---|---|
|
| ||||||||||||||||||||||||||||||||||||||||||||||||||||||||||||||||||||||||||||||||||||||||||||||||||||||||||||||||||||||||||||||||||||||||||||||||||||||||||||||||||
흑이 이 그림처럼 가일수하면 백 2로 집요하게 잡으러 들어가려 해도 이와 같이 응수하면 된다. 흑 5일 때 백이 a에 두어 흑을 따면 흑이 b로 두어 두 집을 확보하고, 백이 b에 두어 위쪽의 집을 방해하면 흑이 a에 두어 백 4를 따내고 두 집을 내므로 흑의 삶이 된다. | 언뜻 보면 흑이 이렇게 두어도 완생할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중앙 부분이 급소로 남는다. 곧바로 백 2와 같이 두어 양자충으로 흑의 죽음이다. 흑 3으로 위쪽에 한 집을 내도 아래쪽은 집을 내지 못한다. |
호리병
편집호리병은 아래 그림처럼 줄지어서 이어진 3점의 돌을 포위해 놓고 중앙의 급소로 찔러서 잡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