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 러시아 대사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1948년 남북 분단이 이뤄지면서, 당시 소련은 한반도 이북 지역의 북한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으며, 소련이 남한과 수교 이후에도 이러한 관계는 유지되고 있다. 현재 주북 러시아 대사와 대사관 직원들은 주로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 에서 근무하고 있다.[1] 현재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알렉산드르 마체고라가 맡고 있다., 2014년 12월 26일부터 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2]

러시아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대사
Russian Ambassador in North Korea
주북 러시아 대사 상징
현직: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2014년 취임
관저주조 러시아 대사관
임명자러시아 대통령
임기유동적
설치일1948년

외교 관계의 역사 편집

러시아는 북한 이전에 존재하였던 조선과 1884년에 조로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하며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열었다. 그러나 조선이 일본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이러한 관계는 단절되었고, 소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정부단체로 인정하지 아니하였다. 1948년 한반도 내 남한과 북한으로 분리되면서, 소련은 북한만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였다. 비록 소련은 붕괴 직전 남한과 수교하였지만, 남북한 동시 수교를 유지하고 있다.

역대 대사 편집

주 조선 러시아 제국 공사 편집

주 대한제국 러시아 제국 공사 편집

주북 소련 대사 (1948 - 1991) 편집

이름 지명 신임장 수여 임기 종료 비교
테렌티 스티코프 1948년 10월 16일 1949년 1월 14일 1950년 12월 14일
Vladimir Razuvayev(러시아어판) 1950년 12월 14일 1953년 7월 31일
Sergey Suzdalev(러시아어판) 1953년 7월 31일 1953년 8월 28일 1955년 6월 17일
Vasily Ivanov (diplomat)(러시아어판) 1955년 6월 17일 1955년 7월 26일 1957년 2월 22일
알렉산드르 푸자노프 1957년 2월 22일 1957년 4월 8일 1962년 6월 30일
Vasily Moskovskiy(러시아어판) 1962년 6월 30일 1962년 8월 13일 1965년 5월 15일
Andrey Gorchakov (diplomat)(러시아어판) 1965년 5월 15일 1965년 6월 4일 1967년 4월 15일
니콜라이 수다리코프 1967년 4월 15일 1967년 5월 18일 1974년 8월 8일
Gleb Kriulin(러시아어판) 1974년 8월 8일 1974년 10월 25일 1982년 12월 24일
Nikolai Shubnikov(러시아어판) 1982년 12월 24일 1983년 1월 20일 1987년 10월 13일
Gennady Bartoshevich(러시아어판) 1987년 10월 13일 1990년 10월 10일
알렉산드르 캅토 1990년 10월 10일 1991년 12월 25일

주북 대사(1991~현재) 편집

이름 지명 신임장 수여 임기 종료 비고
알렉산드르 캅토 1991년 12월 26일 1992년 1월 24일
Yury Fadeyev(러시아어판) 1992년 1월 24일 1996년 8월 12일
Valery Denisov(러시아어판) 1996년 8월 12일 2001년 7월 9일
안드레이 카를로프 2001년 7월 9일 2006년 12월 20일
Valery Sukhinin(러시아어판) 2006년 12월 20일 2012년 4월 5일
알렉산드르 티모닌 2012년 4월 5일 2014년 12월 26일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2014년 12월 26일 2015년 3월 9일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mbassy of Russia to the DPR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ussia). 2019년 10월 25일에 확인함. 
  2. “Ambassador's Welcome Wor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ussia). 2019년 10월 25일에 확인함. 
  3. “서울주재 러시아공사 베베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2024년 1월 27일에 확인함. 
  4. Korean Mission to the Conference on the Limitation of Armament, Washington, D.C., 1921–1922. (1922). Korea's Appeal to the Conference on Limitation of Armament, p. 32. - 구글 도서; excerpt, "Treaty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dated June 24, 1884"; Kim, Chun-gil. (2005). The History of Korea, p. 107. - 구글 도서
  5. 김계연 (2016년 9월 25일). "아관파천 러시아측 핵심인물은 스페예르". 2024년 1월 27일에 확인함. 
  6. Warner, Denis Ashton. (2002). The Tide at Sunrise, p. 214. - 구글 도서

참고자료 편집

  • 후나바시, 요이치. (2007). 한반도 문제: 제2차 한국 핵위기의 연대기. 워싱턴 DC: 브루킹스 연구소 출판부.ISBN 9780815730101ISBN 9780815730101 ; OCLC 156811113
  • 할렉, 헨리 웨이저. (1861). 국제법: 또는 평화와 전쟁에서 국가 간 교류를 규제하는 규칙 뉴욕: D. Van Nostrand. OCLC 852699
  • 김춘길. (2005). 한국의 역사. 코네티컷주 웨스트포트: Greenwood Press.ISBN 9780313332968ISBN 9780313332968 ;ISBN 9780313038532 ; OCLC 217866287
  • 군비제한회의 한국 대표단, 워싱턴 DC, 1921년~1922년. (1922). 군비제한회의에 대한 한국의 호소. 워싱턴: 미국 정부 인쇄소. OCLC 12923609
  • 워너, 데니스 애쉬튼, 페기 워너. (1974). 일출의 조수: 러일 전쟁(1904-1905)의 역사. 뉴욕: 차터하우스. OCLC 422325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