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주차장(駐車場, 영어: parking lot, car park, 문화어: 차마당)은 자동차의 주·정차를 위하여 마련된 장소이다.
현황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아시아와 북미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0년 4월) |
대한민국편집
도심지 교통의 혼잡을 막기 위하여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는 노상 주차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되어 가고 있다. 그 한 방편으로 일정 지역에 주차장을 설치하여 주차장 이외의 노상주차를 금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에도 도심지 여러 곳에 유료주차장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도심지 유료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는 주로 자가용 승용차가 대부분이다. 현재 도시건축법에 따라 도심지에 빌딩을 건축할 때에는 일정한 비율의 주차시설을 건물지하나 건물내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이처럼 도심지의 노상주차 금지와 건축법의 강제의무규정에 따라 각종의 주차기계시설이 발달되고 있고 주차전용 건물도 세워지고 있다.
일본편집
일본의 주차장은 대한민국과 비슷한 주차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오토바이 등 2륜 자동차에 대한 주차법까지 개정하려고 준비중에 있다. 주차비용은 엔화로 대부분 지불하며, 평행 주차장이 많이 존재하기도 한다.
중국편집
중국의 주차장은 도로나 노상에서의 주차가 법으로 금지됨에 따라 주차장을 공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일부는 무료로 개방되는 주차장들도 다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다중 이용 시설이 밀집한 구역이나 건축물 안에서 주차하게 되는 경우가 주류를 이룬다.
대만편집
대만도 한국, 중국, 일본과 유사하게 주차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편집
미국의 경우 총기 난사 사건과 코로나 감염병 예방 차원상 드라이브스루 시설을 갖춘 대형 주차장도 있고 일부는 자택 내에도 주차장이 별도로 병설되어 있다. 그 외에도 건물마다 곳곳에서 주차 코너가 체계적으로 완비되어 있다.
주차장의 종류편집
장소에 따른 구분편집
- 실내주차장
- 실외주차장
- 지하주차장
- 옥상주차장
요금에 따른 구분편집
- 무료주차장
- 유료주차장
시설에 따른 구분편집
- 독립주차장
- 부설주차장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이 글은 교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자동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