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공군
중화민국 공군(中華民國空軍 Zhōnghuá Mínguó Kōngjūn[*], Republic of China Air Force (ROCAF))는 중화민국의 영공과 안보를 수호하는 공군 집단이다. 미국제 4세대 전투기와 자국산 4세대 전투기 등 첨단 전투기로 무장한 공군집단이다. 조기경보기로는 E-2 호크아이 등 첨단 고성능 레이다 지원기도 갖추고 있으며, 1세대, 2세대 초계기도 보유하고 있다.
중화민국 공군 | |||||
---|---|---|---|---|---|
中華民國空軍 | |||||
| |||||
활동 기간 | 1920년 ~ 현재 | ||||
국가 | ![]() | ||||
종류 | 공군 | ||||
명령 체계 | 중화민국 국군 | ||||
표어 | "忠勇→충용" | ||||
색 | 파랑 | ||||
장비 | 해당 문단 참조 | ||||
웹사이트 | https://air.mnd.gov.tw/ | ||||
지휘관 | |||||
공군사령관 | 션이밍(沈ㄧ鳴) 대장 | ||||
표장 | |||||
라운델 | ![]() | ||||
라운델 (저시안성) | ![]() |
역사편집
냉전 대치편집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당시, 대만 공군은 F-86 세이버기로 맞서 싸웠다. 예상대로 전투 결과에 대해선 양측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 1961년엔 F-86 세이버기 보유량은 일본 480대, 대만 320대, 한국은 122대를 갖고 있었다. 한국전쟁에서 데이터를 확보한 미국에 의하면, 미그15기 6대~4대가 세이버기 1대와 맞먹는 전력이라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당시 중국은 미그기 계열 전투기를 다 합쳐 3,000대 이상 보유하고 있었는데, 세이버 전력으로 치환하면 500대의 세이버기를 갖고 있었다. 방공 영토를 감안 시, 평화국가였던 일본의 항공자위대보다 전력이 떨어진다.
신냉전 공군 강화편집
2019년 10월,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과 중국에 대한 새로운 F-16 판매를 승인 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만에 수출하기 위해 적당한 시기가 오길 손꼽아 기다렸다는 뉘앙스다. 대만의 노후화한 F-16을 업글하기 위한 품목 리스트는, AN/APG-83 SABR 능동 전자 스캔 어레이 레이더, 완전히 업그레이드 된 조종석 디스플레이 및 임무 컴퓨터, Joint Helmet Mounted Cueing System (JHMCS ), 고급 방어 제품군, 데이터 링크 교체등이 있다. 그런가하면, 신형 부품으로 업글된 잉여 F-15C/D를 대만에게 대여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1]
2020년 9월, 대만 정부는 내년 국방 예산을 사상 최대 규모인 18조원으로 편성했다. 또 미국과 수십억달러(수조원) 규모의 무기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2]
- M1A2T 전차 108대
- M88A2 장갑차 14대
- M1070A1 운반차량 16대
- FIM-92 스팅어 250기
- F-16V 66대(개량이 아닌 추가구매)
- F-16 개량을 위한 제너럴 일렉트릭 F110 및 관련 부품
- 마크 48 어뢰 18발, 관련 지원 및 시설 설비, 기술 이전
- 패트리엇3 관련 부품, 유지 보수, 시험, 장비 지원
F-16을 66대 추가구매하면, 중화민국 공군을 8개 비행대대를 증설하겠다고 밝혔다. 위 목록들의 장비 수준은 웬만한 G20 회원국인 중소국가의 국방력을 상회한다. 그 외에도 향후 무기거래 후보로 거론되는 미국 무기들이 있다.[3]
- SLAM-ER (150 마일 이상 떨어진 목표물에 항공기에서 발사 할 수 있는 장거리 정밀 미사일)
- MQ-9 리퍼
- AGM-84 하푼
- HIMARS (사거리가 190 마일 인 이동식 로켓 포병 시스템)
그런가하면 프랑스도 대만에 무기 수출을 하기로 한다.[4]
- 프랑스산 미사일 교란장치 발사기
F-16V 도입이 의미하는 바편집
F-16V 8개 대대는 중국으로부터 대만을 지키기에 충분한 전력으로 군사전문가들이 평가한다. 중국이 5세대라고 주장하는 청두 J-20도 인도의 일반 레이더에 간단히 탐지되어서 스텔스기가 아니라는 논란도 있었고, FC-1기, 청두 J-10기와 비슷한 공중전 능력을 가진 구형 F-16과 달리, F-16V는 '미국 기준의' 4.5세대 전투기이기 때문에 선양 J-11, 수호이 Su-35에도 대응할 수 있는 전투 성능을 갖고 있다. 중요한 것은 제공권 장악에서 대만 공군이 중국 동부전구에게 빼앗길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계층구조편집
- 공군사령부(空軍司令部)
- 작전지휘부(作戰指揮部)
- 방공 및 미사일 지휘부(防空暨飛彈指揮部)
- 교육 훈련 및 준칙발전지휘부 (敎育訓練暨準則發展指揮部)
- 정비사령부 (保修指揮部)
- 작전비행단(作戰聯隊)
- 기지지휘부(基地指揮部)
- 파일:中華民國空軍軍官學校校徽.png 공군곤관학교(空軍官校)
계급장편집
장성급(장군) | 영관급 | 위관급 | ||||||||
---|---|---|---|---|---|---|---|---|---|---|
계급 | 상급대장 一級上將 |
대장 二級上將 |
중장 中將 |
소장 少將 |
대령 上校 |
중령 中校 |
소령 少校 |
대위 上尉 |
중위 中尉 |
소위 少尉 |
계급장 | ||||||||||
사관후보생 | 부사관 | 병 | ||||||||
계급 | 사관생도 軍校生 |
1등원사 一等士官長 |
2등원사 二等士官長 |
3등원사 三等士官長 |
상사 上士 |
중사 中士 |
하사 下士 |
상병 上等兵 |
일병 一等兵 |
이병 二等兵 |
계급장 |
장비편집
중화민국 공군은 300대의 4세대 전투기와 50대의 3세대 전투기, 6대의 호크아이 조기경보기를 운용하는 강력한 공군으로, 동북아시아에서 일본 항공자위대,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다음가는 보유량이다.
고정익 항공기편집
그림 | 이름 | 보유량 | 비고 |
---|---|---|---|
F-CK-1 | 127대 | 4세대 전투기 | |
F-16A/B | 143대 | 4세대 전투기 (2023년까지 전체 F-16V로 개량사업중 | |
Mirage-2000-5 | 54대 | 4세대 전투기 | |
F-5 | 48대 | 3세대 전투기 | |
E-2K 호크아이 | 6대 | 조기경보기 | |
C-130 | 19대 | 수송기 | |
AT-3 | 49대 | 고등훈련기 |
유도탄편집
이름 | 보유량 | 비고 |
---|---|---|
AIM-9 | 300발 | 사거리 18km |
스팅어 미사일 | 170발 | 아파치에서 운용 |
천검-1 | ??? | |
천검-2 | ??? | 사거리 60km |
이름 | 보유량 | 비고 |
---|---|---|
AGM-114L | 1,000발 | AH-64E에서 운용 |
AGM-114K3 | 240발 | AH-1W 혹은, OH-58에서 운용 |
AGM-114C | 680발 | AH-1W 혹은, OH-58에서 운용 |
토우 대전차 | 발사기 160대, 3100발 | AH-1W 혹은, OH-58에서 운용 |
윈펑 | 50발 | 사거리 1,200km 순항미사일 |
헬파이어 대전차 | 450발 | AH-1W 혹은, OH-58에서 운용 |
참고편집
- ↑ “Trump Admin Will Reportedly Approve Sale Of New F-16s To Taiwan And China Will Absolutely Freak” (미국 영어). 2019년 10월 10일. 2020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유광종의 중국 돋보기] 미국, ‘중국의 급소’ 대만을 찔렀다”. 2020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Woody, Christopher. “As China gets more aggressive, the US wants to sell Taiwan new weapons to fend off Beijing”. 2020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김용래 (2020년 5월 13일). “대만, 프랑스산 무기수입 추진…중국 "중·불관계 훼손" 경고”. 2020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중국어 (타이완)/영어) 중화민국 공군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