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치과(Monacanthidae)는 복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물고기과의 하나이다.[1] 열대와 아열대 수역에서 서식하는 해양 어류로 대서양인도양 그리고 태평양에서 발견된다. 26개 속에 약 10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쥐치복류와 참복류, 거북복류와 유연 관계에 있다. 그물코쥐치, 물각쥐치, 쥐치, 흑백쥐치, 가시쥐치, 새앙쥐치, 날개쥐치, 객주리, 별쥐치, 말쥐치, 톱쥐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쥐치과
Stephanolepis hispidus
Stephanolepis hispid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상목: 극기상목
(미분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목: 복어목
과: 쥐치과
(Monacanthidae)
Nardo, 1842
  • 본문 참조

하위 속

편집
  • Acanthaluteres
  • Acreichthys
  • Aluterus
  • Amanses
  • Anacanthus
  • Artrolepis
  • Brachaluteres
  • Cantherhines
  • Cantheschenia
  • Chaetodermis
  • Colurodontis
  • Enigmacanthus
  • Eubalichthys
  • Lalmohania
  • Meuschenia
  • Monacanthus
  • Nelusetta
  • Oxymonacanthus
  • Paraluteres
  • Paramonacanthus
  • Pervagor
  • Pseudalutarius
  • Pseudomonacanthus
  • Rudarius
  • Scobinichthys
  • Stephanolepis
  • Thamnaconus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3]

복어목

Cretatricanthidae

Protricanthidae

Plectocretacidae

Moclaybalistidae

분홍쥐치아목

분홍쥐치과

은비늘치과

Bolcabalistidae

Eospinidae

쥐치복아목

쥐치복과

쥐치과

Protobalistidae

Spinacanthidae

거북복아목

육각복과

거북복과

불뚝복아목

Eoplectidae

불뚝복과

개복치아목

개복치과

참복아목

가시복과

참복과


각주

편집
  1. (영어) "Monacanthidae". FishBase. Ed. Rainer Froese and Daniel Pauly. 2015년 4월 version. N.p.: FishBase, 2015년.
  2. Ricardo Betancur-R., Richard E. Broughton, Edward O. Wiley, Kent Carpenter, J. Andrés López, Chenhong Li, Nancy I. Holcroft, Dahiana Arcila, Millicent Sanciangco, James C Cureton II, Feifei Zhang, Thaddaeus Buser, Matthew A. Campbell, Jesus A Ballesteros, Adela Roa-Varon, Stuart Willis, W. Calvin Borden, Thaine Rowley, Paulette C. Reneau, Daniel J. Hough, Guoqing Lu, Terry Grande, Gloria Arratia, Guillermo Ortí: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PLOS Currents Tree of Life. 2013 Apr 18 [last modified: 2013 Apr 23]. Edition 1. doi:10.1371/currents.tol.53ba26640df0ccaee75bb165c8c26288, PDF
  3. Dahiana Arcila, R. Alexander Pyrona, James C. Tyler, Guillermo Ortí, Ricardo Betancur-R.: An evaluation of fossil tip-dating versus node-age calibrations in tetraodontiform fish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ktober 2014, DOI: 10.1016/j.ympev.2014.1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