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영수사 신중도
진천 영수사 신중도(鎭川 靈水寺 神衆圖)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신중도이다. 2011년 2월 1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17호 '진천 영수사 신중탱화'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317호 (2011년 2월 1일 지정) |
---|---|
수량 | 1폭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영수사 |
위치 |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길 60-125 (영구리) |
좌표 | 북위 36° 50′ 7″ 동경 127° 33′ 2″ / 북위 36.83528° 동경 127.55056°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개요편집
신중탱화(神衆幀畵)는 불교(佛敎)와 불교를 믿는 국가(國家)와 개인(個人)을 보호(保護)하고 수호(守護)하는 임무(任務)를 띤 화엄신중(華嚴神衆)을 도설(圖說)한 불화(佛畵)이다. 인도에서 불교 성립이전부터 있어 온 재래의 토속신(土俗神)을 불교의 신으로 받아들여 불교의 체계 속에 흡수하여 신중(神衆)이라 부르고 있다. 신중탱화는 불화의 성격을 규정짓는 상·중·하단의 삼단불화(三段佛畵) 가운데 중단(中段)에 위치한다.[1]
현재 영수사(靈水寺)에 보관되어 있는 신중탱화(神衆幀畵)는 불화 하단부에 적힌 묵기를 통해서 1870년에 영수사에 봉안(奉安)되었다.[1]
가로 121.1cm, 세로 96.5cm의 비단바탕에 진한 채색(彩色)을 사용하여 그려져 있다.[1]
화면(畵面)에는 상단(上段)에는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금강천(金剛天)을 중심(中心)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우(左右)로 일월천자(日月天子)와 동자(童子)가 묘사되어 있다. 중(中)·하단(下段)은 팔부중(八部衆)이 자리하고 있다. 전체적(全體的)으로 화면(畵面)을 이등분(二等分)하여 존상(尊像)의 크기를 비슷하게 그려 화면 내에 위계가 반영되지 않았다.[1]
이 탱화의 특징은 제석천·범천·금강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조선후기 신중탱화의 형식과 양식이 잘 갖추어져 있다. 불화(佛畵)를 그린 화사(畵師)의 기록(記錄)이 남아 있고 절대편년(絶代編年)이 나오는 중요한 자료(資料)이다.[1]
진천(鎭川) 영수사(靈水寺) 신중탱화(神衆幀畵)는 조선후기(朝鮮後期) 형식(形式)과 양식(樣式)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화기(畵記)에 불화(佛畵)를 그린 화사(畵師)의 기록(記錄)이 남아 있고 절대편년(絶代編年)이 나오는 중요한 자료(資料)이다.[1]
불화를 그린 화사(畵師)는 수화사(首畵師)인 금어(金魚)로 상월(尙月), 천여(天如), 편수(片手)는 학능(學能), 출초(出草)는 재근(在根), 체훈(體訓)이 맡아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경기도와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 19세기 후반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화사들이다.[1]
또한 신중탱화(神衆幀畵)를 그린 화사(畵師)들은 조선후기(朝鮮後期) 불교회화사(佛敎繪畵史)에 있어서 저명(著名)한 인물들이며, 현재 불화(佛畵)의 보존상태(保存狀態)가 매우 양호(良好)하다.[1]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 진천 영수사 신중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