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저선
첨저선(尖底船)은 길고 좁은 각재 하나만을 바닥에 깔고 그것을 뼈대로 외판을 붙여나가는 배를 말한다
개요와 특징 편집
배의 바닥이 V형으로 뾰족하여 직진 기동력에서 유리하지만 선체 하부의 구조가 좁아서, 화포를 발사할 때의 반동을 흡수하기가 평저선보다 불리하다. [1]세종 16년(1434년)에 갑조선을 검토하면서 함선을 평저선에서 첨저선으로 개혁하기도 했으나 문종 원년(1451년)에 다시 평저선으로 바꾸었다. [2][3][4][5][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조선의 주력함 '판옥선' Archived 2014년 8월 21일 - 웨이백 머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PDF 문서)
- ↑ 김재근 (1989년 1월). 《우리 배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ISBN 897096715X.
- ↑ 김재근 (1996년 6월 20일). 《우리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ISBN 8970967729.
- ↑ 갑조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갑조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다음 백과사전
- ↑ 문종때 평저선으로 건조 방법을 되돌린 연도가 1450년인지 1451년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