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사리기
청도 운문사 사리기(淸道 雲門寺 舍利器)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사리기이다. 2019년 3월 2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33호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533호 (2019년 3월 25일 지정) |
---|---|
수량 | 일괄 |
소유 | 운문사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개요 편집
이 사리기는 운문사 작압전의 석불좌상 밑에서 발견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납석제유개원합, 청동사리소병, 조선시대에 추가된 崇德七年銘사리합 뚜껑, 영락통보, 환옥(5점), 용도미상의 소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특히 납석제유개원합에 새겨진 명문('咸通六年塔治節舍利二身 刻生訓')은 865년에 전탑(작압전)의 중수가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작압전의 내력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통일신라 전탑의 사리봉안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다.[1]
통일신라 전탑의 사리장엄구라는 희소성과 함께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므로 사리기를 일괄하여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1]
지정 내역 편집
번호 | 명칭 | 재료 | 구조·형식·형태 | 규격 | 수량 | 기타특징 |
---|---|---|---|---|---|---|
533호 | 청도 운문사 사리기 (淸道 雲門寺 舍利器) |
一括 | ||||
-1) | 납석제유개원합 | 납석 | 유개원합 | - 높이 8.3cm | 1점 | - 제작연대 : 865년 명문(咸通六年塔治節舍利二身 刻生訓) |
-2) | 숭덕칠년명사리합개 | 황동 | 사리공 뚜껑 |
- 높이 5cm, 구경 16.3cm | 1점 | - 제작연대 : 1642년 명문(∼崇德七年壬午三塔重修∼) |
-3) | 청동사리소병 | 청동 | 소병 | - 높이 3.4cm | 1점 | |
-4) | 환옥 | 옥 | 환옥 | - 직경 3cm 외 | 5점 | |
-5) | 영락통보 | 은 | 방형 구멍 | 1점 | ||
-6) | 소석편 | 석편 | 용도 미상 | 일괄 |
각주 편집
- ↑ 가 나 다 라 경상북도 고시 제2019-76호,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317호, 117~125쪽, 2019-03-25
참고 문헌 편집
- 청도 운문사 사리기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