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새치
청새치(영어: striped marlin, 학명: Kajikia audax 카이키아 아우닥스[*])는 돛새치목 돛새치과의 한 종으로,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 따뜻한 열대 바다에서 살며, 낮에는 2~3마리가 짝을 지어 해수면 가까이에서 헤엄쳐 다니다가, 밤이 되면 깊은 바다로 내려간다. 최고 무게는 500 kg, 최고 길이는 6m까지 기록이 남아 있다. 수면으로부터 100 m 이내에서 사냥을 하며, 정어리 등을 먹는다.
청새치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돛새치목 |
과: | 돛새치과 |
속: | 청새치속 |
종: | 청새치 |
학명 | |
Kajikia audax | |
Philippi, 1887 | |
보전상태 | |
|
형태
편집몸은 길며 측편되어 있다. 주둥이는 폭이 좁고 창 모양으로 나와 있다. 그 길이는 눈 뒤 머리 길이의 약 2배이다. 위턱 길이는 아래턱보다 2 배나 길다. 이는 작으나 일생 갖고 있다. 꼬리자루에는 2쌍의 세조줄 융기선이 있다.
체색
편집빛깔은 청흑색, 몸 옆구리 중앙은 연한 빛이고 옆에 약 17줄의 연한 청색 가로띠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흑색이고 가슴지느러미는 암흑색으로 변두리는 흑색이다.
분포 및 서식
편집대서양 해역에서는 아프리카 남부 해역에 국한되어 출현하고, 태평양 해역에서는 다른 다랑어류나 새치류와 마찬가지로 분포 범위가 넓으나, 인도양에서는 일반적으로 20 ~ 25 °C의 수온대에서 생활한다. 태평양에서는 서부 해역보다 북반구의 동부 해역에 분포 밀도가 높다. 태평양 서부 해역에서는 이른 여름에, 중부태평양에서는 11 ~ 12월에 출현한다. 청새치는 다랑어류와 같이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지 않으나, 산란기에는 작은 규모의 군집을 이룬다.
식성
편집각주
편집- ↑ Collette, B.B., Di Natale, A., Fox, W., Graves, J., Juan Jorda, M., Schratwieser, J. & Pohlot, B. (2022). “Kajikia audax”.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2: e.T170309A170084118.
외부 링크
편집- (영어) Froese, Rainer; Daniel Pauly, eds. (2013) "Kajikia audax". 피시베이스. 2013년 August월 판.
- Tony Ayling & Geoffrey Cox, Collins Guide to the Sea Fishes of New Zealand, (William Collins Publishers Ltd, Auckland, New Zealand 1982) ISBN 0-00-2169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