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일수호조약

청일수호조약(清日修好条規)은 1871년 9월 13일청나라 톈진에서 일본과 청나라 사이에서 처음으로 맺어진 대등한 조약이다. 일본 측 대사는 재무대신 다테 무네나리, 청나라 측 대사는 직례총독 이홍장이었다.

청일 두 나라의 국새와 대사의 서명이 표시되어 있다.

개요

편집

조선과의 국교 문제가 좌초되고 있는 가운데 청나라와의 국교 체결을 우선시해야한다는 생각에서 1870년 7월 27일 야나기와라 사키미츠,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파견해 예비 협상을 통해 이어 정규 대사로 다테가 보내졌고, 부사가 된 야나기하라와 함께 막바지 협상을 진행했다. 평등 조약이었지만 그 내용은 양국이 함께 구미에서 강요했다 불평등 조약의 내용을 상호 인정할 정도로 매우 특이한 내용이었다. 청일 전쟁 발발 전까지 그 효력이 계속되었다.

내용

편집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

  • 양국은 서로의 ‘영토’에 ‘국경 침범’ 자제 (제1조)
  • 외교 사절의 교환과 영사를 상호 주재하게 한다 (제4조, 제8조)
  • 양국의 협상은 한문을 사용하며, 일문을 이용할 때 한문을 추가한다.(제6조)
  • 제한적인 영사 재판권을 상호 인정한다.(제8조, 제9조, 제13조)
  • 양국의 개항장에서는 도검의 휴대를 금지한다. (제11조)
  • 통상 관계에 대해서는 구미 열강에 준하는 대우(최혜국 대우, 협정 관세율)를 서로 인정한다.

비준

편집

이 협약의 특이성에서 당시 동양에 진출했던 주요 구미 열강의 군사 동맹의 밀약 의혹을 갖게 한 것이나 영사 재판권의 존재 등에 대한 문제점으로 비준이 지연되었지만, 마리아루스 호 사건과 류큐 어용 선박의 대만 표착 사건의 영향으로 비준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일련의 사건을 마무리 짓기 위해 청나라를 방문한 외무경 소에지마 다네오미에 의해 1873년 4월 30일 비준서가 교환되어, 발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