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가어(-語, 영어: Tsonga, 총가어: Xitsonga)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 언어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약 165만 명의 화자가 존재하고 11개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모잠비크에서는 약 150만 명이 사용한다.(모잠비크 공용어는 포르투갈어만 해당). 그 외에 짐바브웨에서 약 10만 명, 에스와티니에서 약 1만 9000명이 모어로 사용한다.
|
전설
|
중설
|
후설
|
고모음
|
i, ii(/iː/)
|
|
u, uu(/uː/)
|
중모음
|
e(/ɛ/), ee(/ɛː/)
|
|
o(/ɔ/), oo(/ɔː/)
|
저모음
|
|
a, aa(/aː/), ã
|
|
|
무성음
|
무성 유기음
|
순음화 무성 유기음
|
유성음
|
순음화 유성음
|
치음
|
q(/ᵏǀ/)
|
qh(/ᵏǀʰ/)
|
qhw(/ᵏǀʷʰ/)
|
gq(/ᶢǀ/)
|
gqw(/ᶢǀʷ/)
|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유기음
|
순음화 유기음
|
양순음
|
m
|
my(/mʲ/)
|
|
mh(/mʱ/)
|
|
치경음
|
n
|
|
nw(/nʷ/)
|
nh(/nʱ/)
|
nhw(/nʷʱ/)
|
경구개음
|
ny(/ɲ/)
|
|
nyw(/ɲʷ/)
|
|
|
연구개음
|
n'(/ŋ/)
|
|
n'w(/ŋʷ/)
|
n'h(/ŋʱ/)
|
n'hw(/ŋʷʱ/)
|
|
평음
|
유기음
|
순음화
|
경구개음
|
y(/j/)
|
yh(/jʱ/)
|
yw(/jʷ/)
|
순음화 연구개음
|
w
|
wh(/wʱ/)
|
|
|
평음
|
순음화
|
유기음
|
순음화 유기음
|
전동음
|
r
|
rw(/rʷ/)
|
rh(/rʱ/)
|
rhw(/rʷʱ/)
|
설측음
|
l
|
lw(/lʷ/)
|
|
|
|
평음
|
순음화
|
유기음
|
휘파람 소리
|
순음화 유기음
|
순치음
|
무성음
|
pf(/p̪f/)
|
|
pfh(/p̪fʰ/)
|
|
|
유성음
|
bv(/b̪v/)
|
|
bvh(/b̪vʱ/)
|
|
|
치경음
|
무성음
|
ts
|
tsw(/tsʷ/)
|
tsh(/tsʰ/)
|
tsw(/tsᶲ/)
|
|
유성음
|
dz
|
|
dzh(/dzʱ/)
|
dzw(/dzᵝ/)
|
dzhw(/dzʷʱ/)
|
설측음
|
dhl(/dɮ/)
|
|
|
|
|
후치경음
|
무성음
|
c(/tʃ/)
|
cw(/tʃʷ/)
|
ch(/tʃʰ/)
|
|
chw(/tʃʷʰ/)
|
유성음
|
j(/dʒ/)
|
jw(/dʒʷ/)
|
jh(/dʒʱ/)
|
|
|
|
평음
|
구개음화
|
유기음
|
구개음화 유기음
|
순음화
|
순음화 유기음
|
양순음
|
무성음
|
p
|
py(/pʲ/)
|
ph(/pʰ/)
|
phy(/pʲʰ/)
|
|
|
유성음
|
b
|
by(/bʲ/)
|
bh(/bʱ/)
|
bhy(/bʲʱ/)
|
|
|
치경음
|
무성음
|
t
|
ty(/tʲ/)
|
th(/tʰ/)
|
thy(/tʲʰ/)
|
tw(/tʷ/)
|
thw(/tʷʰ/)
|
설측 무성음
|
tl(/tˡ/)
|
|
tlh(/tˡʰ/)
|
|
tlw(/tˡʷ/)
|
tlhw(/tˡʷʰ/)
|
유성음
|
d
|
dy(/dʲ/)
|
dh(/dʱ/)
|
|
dw(/dʷ/)
|
|
설측 유성음
|
dl(/dˡ/)
|
|
|
|
dlw(/dˡʷ/)
|
|
연구개음
|
무성음
|
k
|
|
kh(/kʰ/)
|
|
kw(/kʷ/)
|
khw(/kʷʰ/)
|
유성음
|
g(/ɡ/)
|
|
gh(/ɡʱ/)
|
|
gw(/ɡʷ/)
|
ghw(/ɡʷʱ/)
|
- 위키미디어 공용에 총가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