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모일 인산

화합물

카바모일 인산(영어: carbamoyl phosphate)은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음이온이다. 육상 동물에서 카바모일 인산은 요소 회로피리미딘의 합성을 통해 질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카바모일 인산 합성효소 I 은 시르투인이라고 불리는 분자 부류들, NAD 의존성 단백질 탈메틸화효소, ATP와 상호작용하여 카바모일 인산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카바모일 인산은 요소 회로로 진입해서 오르니틴 트랜스카바밀레이스에 의해 오르니틴과 반응하여 시트룰린을 생성한다. 카바모일 인산 합성효소 I 의 결함과 그에 따른 카바모일 인산 생성의 결핍은 사람의 고암모니아혈증과 관련이 있다.[1]

카바모일 인산
Structural formula
Ball-and-stick model
이름
IUPAC 이름
(Carbamoyloxy)phosphon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230.975
KEGG
MeSH Carbamoyl+phosphate
UNII
  • InChI=1S/CH4NO5P/c2-1(3)7-8(4,5)6/h(H2,2,3)(H2,4,5,6)
    Key: FFQKYPRQEYGKAF-UHFFFAOYSA-N
  • C(=O)(N)OP(=O)(O)O
성질
CH2NO5P2−
몰 질량 141.020 g/mol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생성

편집

카바모일 인산은 중탄산염, 암모니아(아미노산에서 유래함), 인산(ATP에서 유래함)으로부터 생성된다. 카바모일 인산의 합성은 카바모일 인산 합성효소에 의해 다음과 같이 촉매된다.

  • HCO
    3
    + ATP → ADP + HO–C(O)–OPO2−
    3
    (카복실 인산)
  • HO–C(O)–OPO2−
    3
    + NH3 + OHHPO2−
    4
    + O–C(O)NH2 + H2O
  • O–C(O)NH2 + ATP → ADP + H
    2
    NC(O)OPO2−
    3

임상적 중요성

편집

카바모일 인산 합성효소 I (CPS I)의 결함과 그에 따른 카바모일 인산 생산의 결핍은 사람의 고암모니아혈증과 관련이 있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akagawa, Takashi; Lomb, David J.; Haigis, Marcia C.; Guarente, Leonard (2009년 5월 1일). “SIRT5 Deacetylates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and Regulates the Urea Cycle”. 《Cell》 (영어) 137 (3): 560–570. doi:10.1016/j.cell.2009.02.026. ISSN 0092-8674. PMC 2698666. 
  2. Nakagawa, Takashi; Lomb, David J.; Haigis, Marcia C.; Guarente, Leonard (2009년 5월 1일). “SIRT5 Deacetylates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and Regulates the Urea Cycle”. 《Cell》 (영어) 137 (3): 560–570. doi:10.1016/j.cell.2009.02.026. ISSN 0092-8674. PMC 2698666. PMID 19410549. 

참고 문헌

편집
  • Nelson, David L.; Cox, Michael M. (2005).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four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978-0716743392. 
  • "SIRT5 Deacetylates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and Regulates the Urea Cycle". Cell. 137 (3): 560-570. 2009-05-01. doi:10.1016/j.cell.2009.02.026. ISSN 0092-8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