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킥

코너킥은 우리팀이 공을 찼는데 상대팀이 그 공을 막아내고 그공이 경기장 밖으로 나가면 코너킥이헌언된다 그렇지만 골키퍼가 공을 잡으면 골킥이지 코너킥이 아니다.코너킥을 차면 경기장

코너킥(문화어: 구석차기, 모서리차기; 영어: corner kick)은 축구 규칙 중 하나로, 수비 측이 골라인 밖으로 공을 찼을 때, 공격 측이 코너 에어리어에 공을 놓고 차는 것을 말한다. 1872년 2월 17일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채택되었다.

코너킥

역사편집

코너킥은 1867년 셰필드에서 셰필드 규칙(Sheffield Rules)에 의해 고안되었다. 1872년 2월 17일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채택되었다. 코너로부터 직접 득점하는 방식은 1924년 6월 15일 국제 축구 평의회(IFAB) 회의에서 승인되어 그 다음 시즌부터 효력이 발생하게 되었다.[1][2][3]

득점편집

코너킥으로 바로 넣은 득점을 '올림픽 골(Olympic goal, Gol olímpico)'이라고도 부르는데 유래는 1924년 아르헨티나의 세자레오 온사리가 코너킥으로 바로 넣은 득점으로 당시 올림픽 챔피언이었던 우루과이에 승리했기 때문이다.

각주편집

  1. “Getting to grips with the 'gol olímpico'. 《Off the ball》. FIFA. 2015년 1월 2일.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6일에 확인함. 
  2. Barnade, Oscar (October 2004). “El gol olímpico cumple 80”. 《Clarín》 (스페인어). 2009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 “Minutes of the AGM of the IFAB” (PDF). London: SSBRA. 1924년 6월 15일. 3쪽. 201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