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촐라 전투

쿠르촐라 전투(Battaglia di Curzola, 오늘날은 코르출라섬이며 현재 크로아티아달마티아 남부에 위치해 있음)는 1298년 9월 8일에 제노바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 함대 사이에 벌어진 해전이다. 베네치아는 이 전투를 통해 엄청난 피해를 입었으며, 13, 14세기에 피사 공화국, 베네치아, 제노바 등이 지중해레반트 무역 지배권을 놓고 오랜 기간 동안 벌이던 전쟁 중에 일어났던 사건 중 하나이다.

쿠르촐라 전투
제노바-베네치아 전쟁의 일부

람바 도리아의 개선식
날짜1298년 9월 8일[1]
장소
결과 제노바 공화국의 승리[1][5][6]
교전국
제노바 공화국
[1][2][3][4]
베네치아 공화국
[1][2][3][4]
지휘관
람바 도리아
[5][6][2][7]
안드레아 단돌로
마테오 퀴리니
[6][2][4][8]
병력
갤리선 66–75척[2][4][9] 갤리선 95척[6][3][9][10]
피해 규모
많은 피해 7,000–9,000명 전사
[7][10][11]
5,000–7,000명 포로
[4][7][8][9]
갤리선 65–83 손실
[2][3][9][11]

전투

편집

전투는 쿠르촐라 섬(코르출라섬)과 사비온첼로 반도(펠레샤츠반도) 사이에 해협에서 일어났다. 베네치아군은 도제인 조반니 단돌로의 아들인 안드레아 단돌로가 이끌었고, 제노바군은 람바 도리아가 이끌었다.

 
쿠르촐라에서의 베네치아 갤리선

두 국가 사이의 함대 수는 같았고, 베네치아군이 제노바 함선을 차지하려 들자, 도리아는 뛰어난 전략과 적군을 완전하게 물리쳐내는 모습을 보였다. 이 재앙적인 피해는 베네치아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들은 함선의 95척 중 83척이 침몰하였고 7,000명이 전사하였다. 제노바는 승리를 거뒀고 단돌로는 수감된 첫날에 자결을 하였다.

이후 조반니 바티스타 라무시오가 쓴 전승(16세기)에 따르면, 마르코 폴로는 베네치아군 포로 중에 한 명이였고, 수감 생활을 하던 몇달동안 그의 유명한 저서를 썼다고 전해진다.

각주

편집
  1. Bradbury, Jim (2004).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Warfare》. London. 
  2. Wislicenus, Georg (2007). 《Deutschlands Seemacht》. Leipzig. 
  3. Ersch, Johann Samuel (1846). 《Allgemeine Encyclopädie der Wissenschaften und Künste: 25.Theil》. Leipzig. 
  4. Damberger, Joseph F. (1851). 《Synchronistische Geschichte der Kirche und der Welt im Mittelalter: Vol.12》. Regensburg. 
  5. Kleinhenz, Christopher (2004).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Vol.1》. New York. 
  6. Leo, Heinrich (1829). 《Geschichte der italienischen Staaten: -4. th. Vom Jahre 1268 bis 1492》. Hamburg. 
  7. Bianchi Giovini, Aurelio (1871). 《Storia dei papi da san Pietro a Pio IX.》. Milan. 
  8. Hazlitt, William Carew (1860). 《History of the Venetian republic: Vol.2》. London. 
  9. Smedley, Edward (1832). 《Sketches from Venetian history: Vol.1》. New York. 
  10. Nicol, Donal M. (1992). 《Byzantium and Venice: A Study in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Società ligure di storia patria (1984). 《Genova, Pisa e il Mediterraneo tra Due e Trecento》. Gen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