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곰자리 베타(β UMa) 또는 공식명칭 메라크(Merak)[12][13]는 북반구 하늘의 극주위 별자리인 큰곰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거문성(巨門星)이라고도 한다.

큰곰자리 베타
Beta Ursae Majoris

붉은 원이 메라크(Merak)의 위치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큰곰자리 베타 (β Ursae Majoris)
플램스티드 명명법 큰곰자리 48 (48 Ursae Majoris)
밝은 별 목록 HR 4295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95418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7876
소천성표 BD+57°1302
히파르코스 목록 HIP 53910
다른 이름 메라크, 미라크,[1] FK5 416, GC 15145, PPM 32912,[2]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큰곰자리
적경(α) 11h 01m 50.47654s[3]
적위(δ) +56° 22′ 56.7339″[3]
겉보기등급(m) +2.37[4]
절대등급(M) +0.61[5]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2.0 km/s[6]
적경 고유운동 +81.43 mas/yr[3]
적위 고유운동 +33.49 mas/yr[3]
연주시차 40.90 ± 0.16 mas[3]
성질
광도 63.015 ± 1.307 L[7]
나이 500 ± 100 (100만 년)[8]
분광형 A1 IVps[9]
U-B 색지수 +0.00[4]
B-V 색지수 -0.02[4]
변광성 분류 후보
추가 사항
질량 2.7 M[10]
반지름 3.021 ± 0.038 R[7]
표면온도 9377 ± 75 K[7]
자전 속도 46 km/s[11]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메라크의 겉보기등급은 +2.37로[4]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영어권 국가에서 이 별은 큰 국자(Big Dipper) 또는 쟁기(Plough) 별자리(동아시아에서는 북두칠성으로 부름)에서 '지시자 항성들' 중 하나로서 더 유명하다. 메라크에서 출발하는 가상의 직선을 근처 별 두베까지 이은 뒤 이를 연장하면 북극성 폴라리스가 나온다.

관측 편집

 
DSS2가 촬영한 메라크.

메라크는 천구 북반구에 위치한 항성으로 적위가 천구북극에 크게 치우쳐 있기에 북반구 거주자들이 관측하기에 적합하다. 북반구의 온난한 영역 대부분에서 메라크는 주극성으로 보이나 남반구에서는 온난한 영역 중 위도가 낮은 곳과 남회귀선 근처로 관측 가능 영역이 제한된다. 겉보기등급은 +2.34로 광공해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 곳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저녁 하늘에서 이 별을 가장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때는 2월부터 6월까지이다. 북반구에서는 별의 높은 고도 때문에 더 긴 시간 동안 볼 수 있지만 남반구에서는 가을에 해당되는 몇 달로 관측 기간이 제약된다.

특성 편집

1943년 큰곰자리 베타는 A1 V형 항성의 분광표준별로 등재되었다.[14] 이후 관측 도구의 수준이 향상되어 뜨거운 A 분광형 항성들이 광도분류상 준거성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메라크는 분광형 A0 IV를 부여받았고[15] 이후 분광형은 A1 IV로 개정되었다.[9] 메라크는 특정 금속 원소들의 선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화학적으로 특이한 항성의 형태인 Am 별의 성격을 약하게 띠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6]

연주시차 측정 자료에 기초하면 큰곰자리 베타는 지구로부터 약 79.7 광년 (24.4 파섹) 떨어져 있다. 베타는 준거성으로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소진한 뒤 중심핵 바깥쪽 껍질에서 수소 열핵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외포층의 유효온도는 대략 9225 켈빈으로[10] 이 온도에서 메라크는 A형 항성의 전형적인 외관인 흰색 빛을 띤다.[17] 메라크는 태양보다 거대한 별로 질량은 태양의 약 2.7 배, 반지름은 태양의 2.84 배이다. 만약 메라크를 태양과 같은 거리에서 바라본다면 태양보다 훨씬 밝아서 태양 광도의 약 68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복사할 것이다.[10][18]

메라크를 적외선으로 관측한 결과 적외선 초과 방출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포말하우트베가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과 매우 흡사한 별주위 먼지 원반 또는 별을 공전하는 먼지가 메라크 주변에 있음을 보여준다.[10] 이 원반의 평균 온도는 120 켈빈으로[18] 원반이 항성으로부터 47 천문단위 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10] 이 먼지의 질량은 대략 지구의 0.27 %일 것으로 계산된다.[18]

북두칠성의 일곱 별들 중, 헐거운 산개성단큰곰자리 운동성군에 속하는 구성원은 총 다섯으로 이들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가까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성군의 나이는 대략 4억 ~ 6억 년 정도로 추정된다. 성군을 구성하는 별들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뒤 우주 공간을 같은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메라크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8] 메라크로부터 가까운 별로 큰곰자리 37(5.2 광년)과 큰곰자리 감마(11 광년) 둘을 들 수 있다.[19]

명칭 편집

큰곰자리 베타(β Ursae Majoris)는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에 의해 부른 명칭이다.

베타의 전통적 명칭 메라크 Merak아랍어 المراق ('알-마라크', 곰의 허리)에서 유래한 것이다.[1]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20]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로 고유명칭 목록을 고시했으며 메라크가 여기에 포함되었다.[21]

힌두교인들은 이 별을 사프타리쉬 중 하나인 '풀라하'로 불렀다.[1]

동양권에서 큰곰자리 베타는 북두칠성의 구성원으로 베타별 하나만을 부르는 명칭은 북두2(北斗二), 천선(天璇)이다.[22]

명칭 차용 편집

USS 메라크 (1918)와 USS 메라크 (AF-21)는 둘 다 미국 해군의 함선이다.

각주 편집

  1.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G. E. Stechert): 438, Bibcode:1899sntm.book.....A 
  2. “MERAK --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일에 확인함 
  3.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4.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5. Eggen, Olin J. (August 1998), “The Sirius Supercluster and Missing Mass near the Sun”, 《The Astronomical Journal》 116 (2): 782–788, Bibcode:1998AJ....116..782E, doi:10.1086/300465. 
  6. Evans, D. S. (June 20–24, 1966).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57쪽. Bibcode:1967IAUS...30...57E. 
  7. Boyajian, Tabetha S.; 외. (February 2012), “Stellar Diameters and Temperatures. I. Main-sequence A, F, and G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46 (1): 101, arXiv:1112.3316, Bibcode:2012ApJ...746..101B, doi:10.1088/0004-637X/746/1/101 . See Table 10.
  8. Monier, R. (November 2005), “Abundances of a sample of A and F-type dwarf members of the Ursa Major Group”,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2 (2): 563–566, Bibcode:2005A&A...442..563M, doi:10.1051/0004-6361:20053222 
  9. Phillips, N. M.; Greaves, J. S.; Dent, W. R. F.; Matthews, B. C.; Holland, W. S.; Wyatt, M. C.; Sibthorpe, B. (2010). “Target selection for the SUNS and DEBRIS surveys for debris discs in the solar neighbourhoo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3 (3): 1089. arXiv:0911.3426. Bibcode:2010MNRAS.403.1089P. doi:10.1111/j.1365-2966.2009.15641.x. 
  10. Wyatt, M. C.; 외. (July 2007), “Steady State Evolution of Debris Disks around A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63 (1): 365–382, arXiv:astro-ph/0703608, Bibcode:2007ApJ...663..365W, doi:10.1086/518404 
  11. Royer, F.; Zorec, J.; Gómez, A. E. (February 2007),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II. Velocity distribution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3 (2): 671–682, arXiv:astro-ph/0610785, Bibcode:2007A&A...463..671R, doi:10.1051/0004-6361:20065224 
  12.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13.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9년 4월 28일에 확인함. 
  14. Morgan, William Wilson; Keenan, Philip Childs; Kellman, Edith (1943). “An atlas of stellar spectra, with an outline of spectral classification”. 《Chicago》. Bibcode:1943assw.book.....M. 
  15. Barry, Don C. (1970). “Spectral Classification of a and F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9: 281. Bibcode:1970ApJS...19..281B. doi:10.1086/190209. 
  16. Renson, P.; Manfroid, J. (2009). “Catalogue of Ap, HGMN and Am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8 (3): 961. Bibcode:2009A&A...498..961R. doi:10.1051/0004-6361/200810788. 
  17.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8. Rhee, Joseph H.; 외. (May 2007), “Characterization of Dusty Debris Disks: The IRAS and Hipparcos Catalogs”, 《The Astrophysical Journal》 660 (2): 1556–1571, arXiv:astro-ph/0609555, Bibcode:2007ApJ...660.1556R, doi:10.1086/509912 
  19. Shaya, Ed J.; Olling, Rob P. (January 2011), “Very Wide Binaries and Other Comoving Stellar Companions: A Bayesian Analysis of the Hipparcos Catalogu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92 (1): 2, arXiv:1007.0425, Bibcode:2011ApJS..192....2S, doi:10.1088/0067-0049/192/1/2 
  20.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21.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22.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Archived 2014년 11월 2일 - 웨이백 머신

좌표:   11h 01m 50.5s, +56° 22′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