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탄문(高坦文, 900년 ~ 975년)은 고려의 승려이다.

대오
大悟
법명대오(大悟)
출생900년
통일신라국 광주(현재 경기도 광주시)
입적975년 (향년 76세)
속명고탄문(高坦文)
출가914년
직업고려의 승려
제자균여(均如)

생애

편집

속성(俗姓)은 씨(高氏), 어머니는 백씨(白氏)로 법명은 대오(大悟)이며, 경기도 광주(혹은 고봉(高峯, 경기도 고양))에서 출생하였다. 원효대사가 살았던 향성산의 옛 절터에 암자를 짓고 수도한 후, 장의사의 신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웠다. 914년 15세의 나이로 구족계(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를 받았다. 태조로부터 별화상이란 칭호를 받았으며, 926년 왕후가 임신을 하자 아들을 낳도록 기도드린 끝에 왕자를 낳게 되어 더욱 총애를 받았다. 그 후 구룡산사에서 《화엄경》을 강론하여 별대덕이 되었고, 942년 염주·배주 지방에 메뚜기로 인한 피해가 극심하자 《대반야경》을 읽어 이를 물리쳤다. 975년 광종 때 국사에 임명되었다. 그해 3월 가부좌한 채 입적하니 나이 76세, 법랍 61세였다. 시호는 법인(法印), 탑호는 보승(寶乘)이며, 충청남도 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에 탄문을 기리는 탑비가 있다.[1]

각주

편집
  1. “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