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유일사 소장 지장보살도 초본

태백 유일사 소장 지장보살도 초본(太白 柳一寺 所藏 地藏菩薩圖 草本)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유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4년 3월 7일 강원특별자치도의 문화재자료 제162호로 지정되었다.[1]

태백 유일사 소장 지장보살도 초본
(太白 柳一寺 所藏 地藏菩薩圖 草本)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162호
(2014년 3월 7일 지정)
수량1점
시대조선시대
소유유일사
위치
주소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산로 4246-167 유일사
좌표북위 37° 6′ 56″ 동경 128° 54′ 32″ / 북위 37.11556° 동경 128.90889°  / 37.11556; 128.9088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화면 구성을 보면, 화면 중앙에는 지장보살이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있으며, 머리는 두건을 쓰지 않은 민머리로 표현되었다. 가슴에는 화려한 목걸이를 걸치고 있으며, 수인은 오른손은 가슴까지 올려 엄지와 검지를 결하고 있고, 수정을 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다. 지장보살 양쪽 무릎에는 합장을 한 젊은 승려의 모습을 한 도명존자와 홀을 든 제왕의 모습을 한 무독귀왕이 협시하고 있다. 지장보살 뒤로는 보관에 화불이 있는 관음보살을 비롯하여 경책을 든 대세지보살, 합장을 한 보살, 연꽃을 든 보살, 금강저를 든 보살 등 육광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그리고 육광보살 사이에는 천자와 선인들이 좌우로 자리하고 있으며, 화면 좌우 가장자리에는 비파를 든 천왕, 검을 든 천왕, 용광 여의주를 쥔 천왕, 당과 탑을 든 천왕 등 사천왕이 배치되어 있다.

지정 사유

편집

지장보살도를 그리기 위한 밑그림인 이 초본(草本)은 유려한 필선으로 화면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였고, 그림의 묵서(墨書)를 통해 제작자와 제작시기(1889년)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희소가치가 크다는 점에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1]

각주

편집
  1. 강원도고시 제2014-66호, 《강원도 문화재자료 지정고시》, 강원도지사, 2014-03-07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