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소셜 댓글

마지막 의견: 11개월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6월)

준보호 안내

편집

계속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고 계속 편집 분쟁이 발생하고, 토론 없이 문서 전체를 수정하고 되돌림이 반복되므로 1주일간 문서를 준보호합니다. -- Min's (토론) 2010년 10월 29일 (금) 21:32 (KST)답변

전혀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고 준보호 기간이 지난 뒤에도 계속 되돌림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다시 1주일간 문서를 준보호합니다. 편집 내용에 대해 이곳에서 토론해주세요. -- Min's (토론) 2010년 11월 9일 (화) 11:01 (KST)답변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

편집

위키 첫번째 주제에 대한 반박 'Fillthat'라는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티토크'와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그인 방식에 대한 차이는 국내판과 해외판에서 저희가 외부로 강조하는 기능상의 차이일 뿐입니다. 같은 회사에서 같은 특허, 같은 기술을 토대로 만든 것입니다. 게임엔진과의 비교는 상식적으로 말이 안된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수백가지가 넘는다고 하시는 게임엔진만큼 소셜 댓글 엔진이 외부로 공개되어 보편화되어있습니까. 하물며, 회사적으로 보았을 때도 소셜 댓글 엔진을 자체개발해놓고 국내용은 처음부터 다른 엔진으로 다시 개발하겠습니까. 상식적으로도 필댓 그대로 디자인과 몇 가지 기능을 바꾸어 런칭하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위키 두번째 주제에 대한 반박 'Fillthat'의 테크크런치 발표를 보셨다면 'Fillthat'이 디스커스 등의 해외 소셜 댓글 모델에 대항하여 만든 동일 서비스군이란 것을 이해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국내최초로 개발된 솔루션이라는 것에도 변함이 없습니다. 또한 시지온이라는 회사측에서 국내 언론사 최초로 소셜댓글을 도입한 것이 블로터닷넷이라고 주장하는데, 티토크만 보더라도 국내최초로 언론사(국내 최초도입은 스포츠서울입니다.)에 도입된 소셜댓글 엔진은 티토크라는 것도 언론기사를 검색해보셔도 쉽게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K2m2km (토론) 2010년 11월 11일 (목) 13:28 (KST)답변

무엇에 대한 반박이라는 것인지 알 수가 없네요. 현 소셜댓글은 대한민국 중심으로 서술된 부분이 있긴합니다만, 그래도 미국의 예도 있고 대한민국은 별도로 "대한민국" 문단에서 서술하는데, 이 편집은 그나마 특정 국가에 대해서'만' 국한되지 않은 서술을 대한민국 위주의 서술로 바꾸고, 기존 내용에 추가한 것도 아니고 기존 내용을 지운 후 심지어 대한민국을 '국내'로 일컫으며 특정 지역에 한해서만 편집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대한민국'의 위키백과가 아닌,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위키백과이기 때문에 모든편집 내용을 대한민국에 국한된 내용으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티토크는 토론:티토크에서 토론해주세요. -- Min's (토론) 2010년 11월 12일 (금) 02:29 (KST)답변

대한민국에 있는 내용이 라이브리에 있는 내용과 중복되는데 이 내용이 필요한지 의문입니다.

편집

유례에 있는 대한민국에 보면 첫번째 줄 '서비스에는 라이브리, 티토크, 스닉, 서브스토리 등이 있다.' 이후의 내용은 라이브리에 있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그 아래 미국의 경우에는 디스커스나 라이브파이어등의 문서가 만들어지지 않아 그 내용을 여기에 적는다고 할 지라도 라이브리 페이지가 있음에도 일부러 소셜 댓글에도 동일한 내용을 적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또한 이 내용은 대한민국 소셜 댓글의 발전상을 총괄하는 것이 아닌 라이브리에 편중된 서술을 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이 문서를 중립적으로 표현하려면 서비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정도와 서비스 현황과 같은 개요만 적고 나머지 상세 내용은 해당하는 페이지에 적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Azdh092 (토론) 2012년 11월 6일 (화) 15:23 (KST)답변

라이브리 설명의 중복되는 부분을 대거 제거했습니다. 국내에서 쓰이는 소셜 댓글 중 라이브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나요? 대부분 페이스북이고, 일부 미투데이 등이 보이긴 합니다만... 관련 자료를 가지고 보강해야 할듯 싶네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6일 (화) 16:0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소셜 댓글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6일 (금) 02:2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소셜 댓글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19일 (토) 03:02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6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소셜 댓글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6월 22일 (목) 07:06 (KST)답변

"소셜 댓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