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신장 위구르 자치구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6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표제어

편집

보통 중국 내에서 일컫는 지명보다는 전세계적으로 범용하는 지명을 사용했으면 합니다. 이미 다른 사전에도 그렇게 적용이 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웨이우얼'은 '위구르'로 바꿔야 하고, '카스'는 '카슈가르'로 '악수'는 '아커수'로 바궜으면 합니다. 또 '아러타이 지구'는 '알타이 지구'로 바꾸는 것이 좋겠네요. 이미 본문에는 그렇게 적용이 되어 있는데, 제목에만 굳이 이렇게 할 필요가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 강세임

'신장위구르'로 바꾸었으면 합니다. 국립국어원의 제40차 회의록에 따르면 '신장웨이우얼', '신장위구르' 둘 다 허용입니다. '웨이우얼'(维吾尔)은 '위구르'를 음차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위구르'로 쓰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는 생각입니다. 왠만하면 한자 그대로 따다 쓰는 일본어판 위키에서도, 그렇게 하지 않고 '위구르'(ウイグル)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음차한 부분까지 따다 쓸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참고로 위구르족, 위구르어 역시 중국식 표기를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언론에서도 '신장위구르' 표기가 '신장웨이우얼'보다 훨씬 많습니다. 티베트 자치구를 중국식 표기인 시짱(西藏) 자치구로 하지 않은 점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백두 (토론) 2009년 1월 1일 (목) 15:31 (KST)

당연한 주장입니다. '위구르'는 말은 우리나라도, 전세계도 같이 사용한다. 웨이우얼은 한족들의 한자식 발음이며, 현지인들 모두 위구르라고 발음을 합니다. 글자야 중국의 표준을 따를 수 밖에 없겠지만, 발음이야 당연히 전세계 표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Asfreeas (토론) 2009년 1월 23일 (금) 14:15 (KST)
반대의견이 없어서 일단 제목 바꿨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2월 16일 (월) 10:33 (KST)

개인적으로는 '신장'이라는 말도 별로 마음에 들진 않고요. 중국인들에게나 '신강'이겠죠. 동투르키스탄이 나은듯하지만 거기까지는 너무 나간 이야기고, 일단은 '위구르'에 찬성입니다. adidas (토론) 2009년 2월 21일 (토) 15:57 (KST)

 답변 신장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지역명입니다. 그래서 한국인들도 신장이라고 하죠. 영어라면 모르지만는 Xinjiang이라고 합니다. 그래도 신장이 중국인에게만 사용되는 단어가 아닙니다.--Kangseijoon (토론) 2017년 1월 7일 (토) 16:19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6일 (목) 01:2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6월)

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6월 4일 (화) 16:33 (KST)답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