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하타씨 (동음이의)

마지막 의견: 6년 전 (Yoyoma88님) - 주제: 일본 하타씨 의 어원적 유래해석

일본 하타씨 의 어원적 유래해석

편집

일본 하타씨 [はたうじ ]의 유래


[hata] 산스크리트 사전 의미 hata 1 Struck, hurt, killed. 2 Destroyed. 3 Departed, lost. 4 Ended. 5 Deprived of, devoid of. 6 Disappointed. 7 Multiplied, (in arithmetic.) n. (-taM)

1 Multiplication. 2 Hurting, killing. E. han to strike or hurt, aff. kta.


[秦]진 은 한해동안 추수한 곡식을 받쳐 제사를 지낸다는 의미입니다. 진은 지나 차리나 차이나 순으로 변화합니다. 진은 제사,차려상을 뜻하는 제례용어입니다.

하타씨가 신라계면 차리나 라는 어원과 비슷해야 하나

[하타]는 어원적으로 [아따]로 전라도 지역의 마한 사투리입니다.

하타는 일본의 원주민을 정복한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을 뜻하며 한[우두머리]을 위해 전쟁을 치르는 무사계급을 뜻합니다. 한의 우두머리 칭호는 마한의 칭호로 진한이 독립했다는 의미로 마립한의 칭호를 사용하나 이시기에 신라계가 대거 왜로 이동할 이유가 없습니다.

하타는 어원상 해태 와같으며 해의 자손을 뜻하며 바다에서 왔다는것 자체가 어머니 자궁에서 탄생한것으로 인식하기에 천손을 뜻합니다. 

[하타] 는 전라도 사투리 [아따] 와 어원이 같으며 해를 품은 자식궁전, 합궁을 뜻합니다.

현재 전라도 사투리는 백제어가 아닙니다.

백제어는 충청도 사투리이며 마한이 백제에 병합될 당시 나주평야에서 김해평야까지 마한이 출토유물을 근거해 마한이 존속했음을 알수있습니다.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면서 진한도 독립하였고 잔존 마한세력인 (바닷가)변한 병합시기에 나주와 김해 지역의 마한세력이 대거 왜로 도래한 시기로 보여집니다.

지금의 전라도 사투리가 산스크리트어 와 많이 일치하는 이유는 전라도 사투리가 마한의 사투리로 번한 , 기자 조선 ,상나라로 연결되며 상나라는 코끼리국을 정벌한 기록과 웅족신화 와 난생신화를 함께 가지고있는 정통 東夷계로 곰의 투구 등 출토물을 근거로 상나라가 [조선]인것입니다.

즉 서자한웅(배달한웅)의 군자국 시대 이후 고대한국 과 군자국을 모신다는 의미로 제사를 뜻하는 조선이라는 국호를 대부분 사용하였습니다.


홍사한은(鴻史桓殷)’에는 “김수로왕도 그의 아버지가 마한(馬韓)의 9세(世) 여왕의 아들 ‘이비가지’이며 본명은 문(文)이다”라고 기록 되어이습니다. 문은 거꾸로하면 곰으로 (문뎅이 =곰텡이) 글월문도 달을 뜻하는 녀자로 마고의 대변자 웅녀를 상징한다.

이비가지는 두번째 부인의 기지 즉 자식이란뜻으로 서자한웅(배달한웅)의 기록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난생,곰신화는 왕조의 혈통을 주장하기 위해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동이족의 소리문자는 태고적 글씨로《천지인》 삼신사상으로 창제 ㄱ 《천》ㅡ《지》 ㄴ《인》 = ㄹ

소리문자를 세종대왕시기에 창제하였다고 역사를 왜곡한다면 한민족이 미개하다고 스스로 외치는것이다.

훈민정음,동국정운은 소리문자 그림토 이후 역사기록을 위해 箕子께서 갑골문을 발전시켜 창제한 《 千字文》음운교정사전입니다.

그림토 천지인이 천자문에서 천인지로 나타납니다.


가림토는 《그림토》로 바닥에 그린게 글씨이며 산에서 스크레치내어 긁어 그린게 산스크리트어입니다.

상나라 시조 설은 곰을 뜻하며 슭곰은 큰곰을 뜻하며 천자문 창제 이전에는 의미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 동일 의미가 중복되어 표기되는게 소리문자의 특징입니다. 《곰탕=설농탕 , 닭=도리,슭=곰 , 쓸개 곰의 꿀벌집 》



  1. 한국사 #역사 #세계사 #고대사 #미국의역사 #japan

《삼가 차려 서와 드림 》

한택영 (토론) 2017년 12월 21일 (목) 09:09 (KST)답변
독자연구는 개인 연습장에서 하시길 Yoyoma88 (토론) 2017년 12월 21일 (목) 09:23 (KST)답변
"하타씨 (동음이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