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과학

(통속 과학에서 넘어옴)

통속과학(popular science)은 일반 청중을 대상으로 한 과학의 해석이다. 과학 저널리즘이 최근 과학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통속과학은 좀 더 광범위하다. 전문 과학 저널리스트가 쓸 수도 있고 과학자들이 직접 쓸 수도 있다. 책, 영화, TV 다큐멘터리, 잡지 기사, 웹페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역사

편집

현대 과학의 전문화, 전문화 이전에는 '과학'과 '통속과학' 사이에 구분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과학 지식을 일반 독자와 공유하려는 의도의 저작물은 그리스와 로마 고대부터 존재했다. 이러한 대중적 작품이 없었다면 그 시대의 과학 지식 중 상당 부분이 사라졌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에우독소스(Eudoxus)의 원작은 하나도 살아남지 못했지만, 그의 기여는 1세기 후에 쓰여지고 히파르코스가 논평한 교훈적인 시 "현상"으로 인해 대부분 보존되었다. 과학을 시적 형식으로 설명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으며, 최근 1791년에 에라스무스 다윈(Erasmus Darwin)은 식물학에 대한 독자의 관심과 교육을 목적으로 두 편의 장시인 식물원(The Botanic Garden)을 썼다. 많은 그리스 및 로마 과학 핸드북이 평신도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이 "핸드북" 전통은 인쇄기가 발명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지암바티스타 델라 포르타(Giambattista Della Porta)의 1558년 "자연의 마법"(Magia Naturalis) 및 이사벨라 코르테세의 1561년 "비밀"(Secreti) 등 훨씬 이후의 예가 있다.

17세기에는 현대 과학 혁명이 시작되었고 그에 따라 명시적인 통속과학 저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1632년 "시금사"(Il Saggiatore) 및 로버트 훅의 1665년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와 같은 작품은 과학자와 대중 모두가 읽었지만 아이작 뉴턴의 1687년 원리(Principia)는 대부분의 독자가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곧 뉴턴의 아이디어가 대중화되었다. 베르나르 퐁트넬의 1686년 세계의 다원성에 관한 대화(Conversations on the Plurality of Worlds)와 같은 책이 베스트셀러였던 프랑스와 같은 국가에서는 통속과학 저술이 급증했다.

1830년에 천문학자 존 허셜(John Herschel)은 통속과학이라는 특정 장르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철학자 윌리엄 휴웰(William Whewell)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일반 대중이 "지금까지 수행된 작업과 앞으로 성취해야 할 작업에 대한 연결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 과학의 각 특정 분야에서 실제로 알려진 내용을 요약"해야 한다고 썼다. 실제로 영국인의 글을 읽을 줄 아는 수준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교육 수준도 높아짐에 따라 과학 관련 제목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메리 서머빌은 19세기 초에 매우 성공적인 과학 작가가 되었다. 대중을 대상으로 한 그녀의 물리과학과의 연관성에 대하여(On the Connexion of the Physical Sciences, 1834)는 꽤 잘 팔렸다. 현대 통속과학의 첫 번째 책 중 하나인 이 책에는 다이어그램과 수학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책은 10판이 있었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통속과학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통속과학 관련 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