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Tropaeum Traiani)는 고대 로마키비타스 트로파이엔시움 (오늘날 루마니아 아담클리시 지역)에 있는 기념물이며, 서기 101-102년 겨울에 벌어진 아담클리시 전투에서 다키아인들에게 승리를 거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를 기념하기 위해 109년에 당시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에 설치됐다. 트로파에움 앞에는, 제단이 있었으며, 이 제단의 벽면에는 "로마 공화국을 위해 싸우다 사망한" 군단병보조군 3,000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1977년에 복원한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

트라야누스의 기념비는 아우구스투스 영묘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서기 107/108년경에 마르스 울토르에게 헌액되었다. 기념비에는 적군과 맞서 싸우는 군단병들을 묘사한 메토프 54개가 있으며, 이 메토프들 중 대부분은 근방 박물관에서 보관되고 있다. 이 기념비는 로마가 새롭게 정복한 지역 밖에 있는 부족들에 경고로 여겨졌을 것이다.[1]

20세기 무렵,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돌무더기와 모르타르로 된 더미가 돼버렸고, 기념비의 부조들도 그 주위로 흩어져 있었다. 현재 모습은 1977년에 복원한 것이다. 근방 박물관들에서 원래의 기념비의 조각들을 포함한 고고학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본래의 54개 메토프들 중에, 48개는 루마니아의 박물관에 있고 하나는 이스탄불에 있다.

트로파이온

편집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커다란 금석문과 함께 마르스 울토르(복수자 마르스)에게 헌정되었다. 금석문은 육각형으로 된 트로파이온 중 두 면에 부분적으로 남아 있으며, 남아 있는 부분들을 토대로 복원한 것은 다음과 같다:

MARTI ULTOR[I]
IM[P(erator)CAES]AR DIVI
NERVA[E] F(ILIUS) N[E]RVA
TRA]IANUS [AUG(USTUS) GERM(ANICUS)]
DAC]I[CU]S PONT(IFEX) MAX(IMUS)
TRIB(UNICIA) POTEST(ATE) XIII
IMP(ERATOR) VI CO(N)S(UL) V P(ater) P(atriae)
?VICTO EXERC]ITU D[ACORUM]
?---- ET SARMATA]RUM

----]E 31.[2]

트라야누스를 독일에서 수차례 승리를 거둔 것에서 ‘게르마니쿠스’라 칭하고 또한 다키아 정복 때문에 그를 ‘다키쿠스’라고 칭하는 비문은 다음처럼 해석된다:

마르스 울토르시여,
카이사르 로마 황제이며, 고귀한 네르바의 아들인,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이자, 게르마니쿠스,
다키쿠스, 폰티펙스 막시무스,
13번의 호민관,
[군대의 지지를 받은)여섯 번째의 황제,
다섯 번의 집정관, 조국의 아버지
다키아와 사르마티아의 군대를 제압하였나이다 ...

메토프

편집

메토프 54개로 이뤄진 프리즈가 기념물에 있었다. 이 중에 48개는 근방의 아담클리시 박물관에 있고, 하나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소실되었다(소실된 것들 중 두 개는 부쿠레슈티로 수송 중에 도나우강에 빠트렸다는 지우레스쿠의 언급이 있다).[3]

로마 장군의 묘

편집

1977년 복원

편집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977년에 이론상의 복원으로서 재건되었다.

고고학 연구

편집

1837년에, 도브루자의 전략적 지점을 탐사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에서 고용된 프로이센 장교 네 명이 최초의 발굴을 진행했다. 이 고문단은 하인리히 물바흐(Heinrich Muhlbach),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피셔(Friedrich Leopold Fischer), 카롤 빙케올벤도르프(Carol Wincke-Olbendorf), 헬무트 폰 몰트케로 이뤄졌다. 이들은 터널을 파 기념비 가운데에 도달하려 했고, 가운데에 도착했지만 발견된 것은 없었다.[4]

본 대학교의 C. W. Wutzer가 이 기념비를 방문하기도 했는데, 그는 이 기념비에 관한 짧은 묘사 및 지역 전설들을 기록했다.[4]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882–1895년 사이에 Grigore Tocilescu, O. Benford, G. Niemann이,[6] 1909년에는 George Murnu 등을 통해 연구되다가, Vasile Parvan가 1911년에 연구를 중단하기도 했으며, Paul Nicorescu는 1935–1945년 사이에 이 지역에 대한 연구를 다시 벌였고, Gheorghe Stefan와 Ioan Barnea는 1945년에 연구를 진행했다. 1968년부터 이 지역은 루마니아 아카데미 관할하에서 연구가 이뤄졌다.

키비타스 트로파엔시움

편집

각주

편집
  1. F.B Florescu Das Siegesdenksmal von Adamclisi: Tropaeum Traiani (1965)
  2. “Tropaeum Traiani”. 《cimec.ro》. 
  3. “1900 Years since the Inauguration of Tropaeum Trajani from Adamclisi - 10 lei silver 2009 - Romanian Coins”. 《romaniancoins.org》. 
  4. Vasile Barbu, Cristian Schuster Grigore G. Tocilescu si "Cestiunea Adamclisi" Pagini din Istoria Arheologiei Romanesti ISBN 7-379-25580-0
  5. https://archive.org/details/dastropaionvonad00furtuoft
  6. Cimec http://www.cimec.ro/scripts/muzee/id.asp?k=246 Archived 2021년 8월 27일 - 웨이백 머신

참고 문헌

편집
  • Das Tropaion von Adamklissi und provinzialrömische Kunst. Von Adolf Furtwängler ... (München, Verlag der K. Akademie, 1903), by Adolf Furtwängler Das Tropaion von Adamklissi und provinzialromische Kunst : Furtwängler, Adolf, 1853-1907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Florea Bobu Florescu, Das Siegesdenkmal von Adamklissi. Tropaeum Traiani. Akademieverlag, Bukarest 1965.
  • Wilhelm Jänecke, Die ursprüngliche Gestalt des Tropaion von Adamklissi. Winter, Heidelberg 1919.
  • Adrian V. Rădulescu, Das Siegesdenkmal von Adamklissi. Konstanza 1972 und öfter.
  • Ian A. Richmond: Adamklissi, en 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35, 1967, p. 29–39.
  • Lino Rossi, A Synoptic Outlook of Adamklissi Metopes and Trajan’s Column Frieze. Factual and Fanciful Topics Revisited, en Athenaeum 85, 1997, p. 471–486.
  • Luca Bianchi, Il trofeo di Adamclsi nel quadro dell'arte di stato romana, in Rivista dell'Istituto Nazionale d Archeologia e Storia dell'Arte 61, 2011, p. 9-61 Ahttp://arche-o.nolblog.hu/page/2/
  • Brian Turner. 2013. "War Losses and Worldview: Re-Viewing the Roman Funerary Altar at Adamclisi."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134.2:277-304. DOI: War Losses and Worldview: Re-Viewing the Roman Funerary Altar at Adamclisi.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