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기록/고시/문화재청고시제2000-59호(문화재용어순화자료)

메이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10일 (화) 11:27 판 (→‎고시 본문: 가나다 목록을 수정.)


문서 안내

  • 관보 제14689호의 54쪽 부터 63쪽에 본 고시가 실려있습니다. 고시 내용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1999년 '문화재용어 순화안'을 기초로 합니다.
  • 본 문서는 참조를 위한 목적으로 고시 내용을 옮긴것으로, 내용의 정확성 문제로 위키 문헌의 문서로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한자 문(文·紋)이 혼용되어 있는데 그대로 옮겼습니다. 각주의 내용은 옮기는 과정에서 임의로 추가한 내용이며 오탈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제 고시와는 달리 가독성을 위하여 항목의 열에 맞추어 음영을 추가하였습니다.


고시 본문

⊙문화재청고시제2000-59호


문화재용어를 다음과 같이 순화하였으므로 문화예술진흥법 제7조2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를 고시합니다.

2000년12월 27일
문화재청장


문화재용어순화자료


1. 문화재 용어를 순화한 경위는 다음과 같다.

가. 문화재청이 1999년 12월 학술연구용역을 통해 문화재용어순화안을 마련하고 국립국어연구원 자문위원회의 자문(2000. 3-5)과 관련학회(민속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미술사학회)의 검토를 거친 후 2000년 9월에 문화관광부에 심의를 의뢰함.
나. 문화관광부는 국립국어연구원의 재검토를 거쳐 시안을 국어심의회(국어순화분과위원회)에 심의·상정하였으며, 국어심의회는 본회의 심의(2000.11.24.)를 통해 최종안을 의결함.


2. 문화재용어를 순화하기 위한 대상용어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문화재관련 고고학, 민속학, 건축사, 미술사 등 4개 분야의 용어를 선정함.
나. 현행 교과서 및 문화재관계 일반교과서 그리고 문화재안내표지판에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대상으로 삼음.
다. 어려운 한자어와 일본식어투로 남아있는 문화재용어를 대상으로 삼음.


3. 문화재용어 순화의 작성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순화함을 원칙으로 함.
나. 간결하면서도 뜻이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함.
다. 일본식 어투로 남아있는 용어는 가능한 한 모두 바꿈.
라. 필요한 경우 한글용어와 한자용어의 병용안을 제시함.


4. 전체 용어 수는 총 597단어이다.


용어 목록

No.  순 화 대 상 용 어 순 화 용 어 
1 伽藍(가람)
2 家廟(가묘) "사당, 가묘"
3 假山(가산) "가산, 석가산"
4 家神(가신) 집지킴이
5 加壓剝離(가압박리) 눌러떼기
6 加壓調整(가압조정) 눌러다듬기
7 角道里家(각도리가) 납도리질
8 角杯(각배) 뿔잔
9 角抵圖(각저도) 씨름도
10 角形土器(각형토기) 팽이형토기
11 間(간) 간살
12 竿頭鈴(간두령) 장대투겁방울
13 間接打擊(간접타격) 대고때리기
14 簡札(간찰) "간찰, 편지"
15 碣(갈) 비갈
16 褐色磨硏土器
(갈색마연토기)
갈색간그릇
17 渴筆(갈필) "갈필, 마른붓질"
18 龕(감) 감실
19 匣鉢(갑발) "갑발, 덮개"
20 甲胄(갑주) 갑옷
21 강강술래 강강술래, 강강수월래
22 蓋弓帽(개궁모) 일산살대투겁
23 蓋杯(개배) 뚜껑접시
24 蓋石(개석) 뚜껑돌
25 蓋瓦(개와) 기와
26 蓋瓦谷(개와곡) 기왓골
27 客館(객관) "객사, 객관"
28 車與具(거여구) 수레부속
29 車軸頭(거축두) (수레)굴대마개
30 車衡(거형) 멍에
31 巨刹(거찰) "큰절, 대찰"
32 鋸齒文(거치문) 톱날무늬
33 車衡銅器(거형동기) 수레굴대끝씌우개
34 車形土器(거형토기) "수레토기, 수레모양토기"
35 建物址(건물지) "집터, 집자리, 건물지"
36 劍身(검신) 검몸
37 劍심(검심) 검코
38 劍초金具(검초금구) 검집
39 劍초附屬具(검초부속구) 검집붙이
40 劍把(검파) 검자루
41 劍把頭飾(검파두식) 검자루끝장식
42 劍把形銅器
(검파형동기)
대쪽모양 청동기
43 格字文(격자문) 격자무늬
44 格子門(窓)
(격자문(창))
"살문(창), 격자문(창)"
45 "格天障, 藻井
(격천장, 조정)"
"우물반자, 격자천장"
46 肩部(견부) 어깨
47 結構(결구) 짜임새
48 脛甲(경갑) 목가리개
49 莖部(경부) 슴베
50 傾斜(경사) 물매
51 頸飾(경식) 목걸이
52 耕織圖(경직도) "농촌생활도, 경직도"
53 耕職圖(경직도) 농민생활도
54 鏡板 재갈멈추개
55 곁간 "곁채, 날개채"
56 階段狀剝離(계단상박리) 계단식떼기
57 鷄鳴占年(계명점년) 닭울음점
58 鷄子閣欄干(계자각난간) "닭볏난간, 계자각난간"
59 古家(고가) "옛집, 고가"
60 高閣(고각) "다락집, 고각"
61 庫間(고간) "광, 곳간"
62 高欄(고란) "높은난간, 고란"
63 高麗尺(고려척) "고구려자, 고구려척"
64 高杯(고배) "굽다리접시, 고배"
65 敲石(고석) 공이돌
66 高柱(고주) 높은기둥, 고주"
67 高塚(고총) 큰무덤
68 曲玉(곡옥) "곱은옥, 곡옥"
69 骨角器(골각기) 뼈뿔연모
70 骨鏃(골촉) 뼈활촉
71 骨針(골침) 뼈바늘
72 骨壺(골호) 뼈단지
73 空間包(공간포) "공간포, 주간포"
74 孔斧(공부) 주머니도끼
75 孔列土器(공열토기) 공렬토기
76 工匠(공장) 장인
77 戈(과) 꺽창
78 과帶(과대) 허리띠
79 槨(곽) 덧널
80 棺(관) "널, 관"
81 棺金具(관금구) 널장식
82 棺臺(관대) "널받침, 관대"
83 闕防(궐방) 관방
84 冠飾(관식) 관장식
85 官衙址(관아지) 관아터
86 管玉(관옥) 대롱옥
87 棺釘(관정) "널못, 관못"
88 廣口小壺(광구소호) 입큰귀때단지
89 掛佛(괘불) "걸개불화, 괘불"
90 怪雲紋(괴운문) 구름무늬
91 교구 띠고리
92 交互剝離(교호박리) 엇갈림떼기
93 口脣刻目土器
(구순각목토기)
골아가리토기
94 口脣部(구순부) 입술면
95 口緣部(구연부) 아가리
96 裙衣(군의) "속옷, 군의"
97 掘耕(굴경) 뒤지개농사
98 掘棒(굴봉) 뒤지개
99 屈身葬(굴신장) 굽혀묻기
100 宮闕址(궁궐지) "궁궐터, 궁터"
101 穹隆狀天井
(궁륭상천정)
반원통천장
102 宮?天井(궁륭천정)[1] 반원통천장
103 卷(권) 두루말이
104 捲上法(권상법) 서리기
105 蕨手文(궐수문) 서린무늬
106 龜甲文(귀갑문) 거북등무늬
107 龜趺(귀부) "거북받침대, 귀부"
108 戟(극) 옆가지창
109 金剛鈴(금강령) "방울, 금강령"
110 金鼓(금고) "쇠북, 금고"
111 金泥(금니) "금물, 금니"
112 錦丹靑(금단청) "비단단청, 금단청"
113 基段式積石塚
(기단식적석총)
"돌기단무덤, 기단식적석총"
114 器臺(기대) 그릇받침
115 旗歲拜(기세배) 농기세배
116 祈子(기자) 아들빌기
117 吉祥紋(길상문) 길상무늬
118 螺髮(나발) "곱슬머리, 나발"
119 喇叭形銅器
(나팔형동기)
나팔형청동기
120 烙竹(낙죽) 인두그림
121 內堂(내당) 안채
122 內灣刃(내만인) 오목날
123 內陣(내진) 안두리
124 弩器(노기) 쇠뇌
125 爐址(노지) "불자리, 노지"
126 露天窯(노천요) 한데가마
127 鹿角形立飾
(녹각형입식)
사슴뿔장식
128 農謠(농요) 농사노래
129 雷紋(뇌문) 번개무늬
130 菱化板(능화판)[2] "마름꽃무늬판, 능화판"
131 多槨式(다곽식) 여러널식
132 多뉴鏡(다뉴경)[3] (두)꼭지거울
133 多室憤(다실분) 여러칸무덤
134 多包(다포) "두루두공, 다포"
135 端甲(단갑) 판갑옷
136 短頸壺(단경호) "짧은목단지, 짧은목항아리."
137 單槨式(단곽식) 외널식
138 丹塗磨硏土器
(단도마연토기)
적색간토기
139 短斜線文(단사선문) 빗금무늬
140 單室墳(단실분) 외칸무덤
141 單甕式甕棺(단옹식옹관) 외독무덤
142 單葬墓(단장묘) 홀로묻기무덤
143 鍛造(단조) "두드리기, 단조"
144 單瓣(단판) 홑꽃잎
145 達固(달고) 달구
146 淡墨(담묵) "엷은먹, 담묵"
147 唐家(당가) "닫집, 닷집"
148 幢竿支柱(당간지주) "당간버팀돌, 당간지주"
149 堂神本풀이
(당신본풀이)
당신본풍리[4]
150 唐草(당초) 당초무늬
151 帶鉤(대구) 허리띠패
152 帶金具(대금구) 허리띠장식
153 大樑(대량) 대들보
154 臺輪(대륜) 관테
155 臺附鉢(대부발)
156 臺附小壺(대부소호) 굽다리단지
157 臺附碗(대부완) 굽접시
158 臺附長頸壺
(대부장경호)
굽다리긴목항아리
159 臺附直口壺
(대부직구호)
굽다리곧선입항아리
160 臺附壺(대부호) 굽다리항아리
161 臺石(대석) "모루돌, 돌모루"
162 臺石技法(대석기법) 모루떼기
163 大廳(대청) "큰마루, 대청마루"
164 大壺(대호) 큰항아리
165 刀子(도자) 손칼
166 陶質土器(도질토기) 도기
167 陶車(도거) 물레
168 突帶文(돌대문) 돋을띠무늬
169 銅鏡(동경) "청동거울, 동경"
170 銅戈(동과) 청동꺽창
171 東來野遊(동래야류) 동래들놀음
172 銅鈴具(동령구) 청동방울
173 銅矛(동모) 청동창끝
174 銅斧(동부) 청동도끼
175 동사 청동조각칼
176 童子柱(동자주) 동자기둥
177 銅釣(동조) 청동낚시바늘
178 銅鏃(동촉) 청동활촉
179 同族部落(동족부락) 동족마을
180 銅鑿(동착) 청동끌
181 胴體部(동체부) 몸통
182 銅鐸(동탁) 청동말방울
183 銅포(동포)[5] 청동단추
184 頭光(두광) "머리광배, 두광"
185 豆形土器(두형토기) 굽다리접시토기
186 登窯(등요) 굴가마
187 등子(등자) 발걸이
188 梁(량) 들보
189 翎毛畵 (영모화) "날짐승 그림, 영모화"
190 爐形土器(노형토기) 화로형토기
191 雷文土器(뇌문토기) 번개무늬그릇
192 鏤金(누금) "금알갱이붙임, 루금"
193 馬甲(마갑) 말갑옷
194 馬具(마구) "마구, 말갖춤"
195 馬鈴(마령) 말방울
196 馬面(마면) 말얼굴가리개
197 馬上才(마상재) 말타기재주
198 磨硏土器(마연토기) 간그릇
199 磨製石劍(마제석검) "간돌검, 마제석검"
200 磨製石器(마제석기) "간석기, 마제석기, 간석기"
201 磨製石斧(마제석부) "간돌도끼, 마제석부"
202 磨製石鏃(마제석촉) "간돌활촉, 마제석촉"
203 馬胄(마주) 말머리가리개
204 馬鐸(마탁) 말종방울
205 馬形土器(마형토기) "말모양토기, 말토기"
206 抹角操井(말각조정) 모줄임천정
207 抹角操井式天井
(말각조정식천정)
"모고임천장, 모죽임천장"
208 "望瓦, 望斯
(망와, 망사)"
"망새, 바래기(기와)"
209 望窓(망창) 들창
210 矛(모) 투겁창
211 母子高杯(모자고배) 여러잔토기
212 母子曲玉(모자곡옥) 딸린곱은옥
213 木槨墓(목곽묘) "나무곽무덤, 목곽묘"
214 木棺墓(목관묘) "나무널무덤, 목관묘"
215 木刀(목도) "나무칵[6], 예새"
216 木理文(목리문) "나무결무늬, 목리문""
217 木雁(목안) "나무기러기
218 木柵(목책) 나무울(타리)
219 沒骨法(몰골법) "단붓질, 몰골법"
220 墓壙(묘광) "무덤구덩, 묘광"
221 墓道(묘도) 무덤길
222 墓城(묘성) "무덤구역, 묘역"
223 無蓋高杯(무개고배) 뚜껑없는고배
224 無莖鏃(무경촉) 뿌리없는활촉
225 무당노래 "무당노래, 무가"
226 無文土器(무문토기) 민무늬토기, 민그릇"
227 巫樂(무악) "무속음악, 무악"
228 門楣(문미) 문상방
229 文樣(문양) 무늬
230 楣石(미석) 이마돌
231 未完成石器
(미완성석기)
덜된돌연모
232 剝離(박리) 떼기
233 博山蘆(박산로) 박산향로
234 拍子(박자) "두들개, 박자"
235 剝片(박편) "격지, 박편"
236 飯備間(반비간) "찬간, 반빗간"
237 半圓卷文(반원권문) 활점무늬
238 半月形石刀
(반월형석도)
"반달돌칼, 반월형돌칼"
239 鉢盂(발우) 바리때
240 鉢形器臺(발형기대) 바리그릇받침
241 方格法(방격법) 바둑판식발굴
242 倣製鏡(방제경) 본뜬거울
243 紡錐車(방추차) 가락바퀴
244 方形墳(방형분) "네모무덤, 방형분"
245 陪塚(배총) 딸린무덤
246 白銅匠(백동장) 백통장[7]
247 벅수[8] 장승
248 褓負商(보부상) 등짐장수
249 寶相華紋(보상화문) 보상화무늬
250 步石(보석) "섬돌, 디딤돌"
251 卜骨(복골) "점뼈, 복골"
252 複辦[9](복판) 겹꽃잎
253 複合道具(복합도구) 조합연장
254 鳳頭(봉두) "봉황머리, 봉두"
255 鋒部(봉부) 검끝
256 부대기 화전
257 浮屠(부도) "부도, 사리탑"
258 斧劈준[10](부벽준) 도끼자국준법
259 敷石(부석) 깐돌
260 浮椽(부연) "뜬서까래, 덧서까래"
261 "浮椽, 府椽, 婦椽
(부연)"
"뜬서까래, 덧서까래"
262 副葬品(부장품) "꺄묻거리[11], 부장품"
263 浮彫(부조) 돋을새김
264 釜形土器(부형토기) 솥모양토기
265 墳墓(분묘) 무덤
266 粉靑彫花(분청조화) 분청음각
267 琵琶形銅矛
(비파형동모)
비파형창끝
268 寺(사)
269 "祠堂, 廟(사당, 묘)" 사당
270 四稜石斧(사릉석부) 네모도끼
271 蛇神信仰(사신신앙) 뱀신앙
272 使用痕(사용흔) 쓰인자국
273 四耳附壺(사이부호) 네귀달린단지
274 斜刃(사인) 빗날
275 獅子座(사자좌) 사자받침
276 寺址(사지) 절터
277 斜天障(사천장) 경사천장
278 削器(삭기) 밀개
279 山彌(산미) "살미, 산미"
280 三角鏃(삼각촉) 세나래활촉
281 三角形石刀
(삼각형석도)
삼각형돌칼
282 三菱鏃(삼릉촉) 세모촉
283 三葉環頭(삼엽환두) 세잎고리자루
284 三足器(삼족기) 세발그릇
285 三枝槍(삼지창) 가지창
286 三環頭(삼환두) 세고리자루
287 上石(상석) 윗돌
288 上底(상저) 들린굽
289 裳懸座(상현좌) "옷자락무늬대좌, 상현좌"
290 石鋸(석거) 돌톱
291 石鎌(석겸) 돌낫
292 石槨墓(석곽묘) "돌덧널무덤, 석곽묘"
293 石棺墓(석관묘) "돌무덤, 석관묘"
294 石橋(석교) 돌다리
295 石刀(석도) 돌칼
296 石燈(석동) "돌등, 석등"
297 石棒(석봉) 갈돌대
298 石斧(석부) 돌도끼
299 石扉(석비) 돌문
300 石屑(석설) 부스러기돌
301 石手(석수) 돌쟁이
302 石獸(석수) 돌짐승
303 石室墓(석실묘) "돌방무덤, 석실묘"
304 石室封土墳
(석실봉토분)
"돌칸흙무덤,
석실봉토분"
305 石刃(석인) 돌날
306 石刃技法(석인기법) 돌날떼기수법
307 石刃石器(석인석기) 돌날석기
308 石刃核(석인핵) 돌날몸돌
309 石墻(석장) 돌담
310 錫杖(석장) "지팡이, 석장"
311 石戰(석전) "팔매싸움
312 石鐘形浮屠
(석종형부도)
종모양부도
313 石柱(석주) 돌기둥
314 石鑿(석착) 돌끌
315 石釧(석천) 돌팔찌
316 石鎚(석추) 돌망치
317 石枕(석침) 돌베개
318 石核(석핵) 몸돌
319 石貨(석화) 돌돈
320 線刻(선각) "줄새김, 선새김"
321 渲染(선염) "번진법[12], 선염(법)"
322 扇形銅斧
(선형동부)
"부채모양도끼,
부채도끼"
323 設彩(설채) 색채우기
324 楔形石核(설형석핵) 쐐기형몸돌
325 星形石斧(성형석부) 별모양돌도끼
326 細文鏡(세문경) "잔줄무늬거울, 세문경"
327 細石器(세석기) "좀돌석기, 잔석기"
328 細石刃(세석인) "작은돌날, 세형돌날"
329 細形石核
(세형석핵)
"좀돌날몸돌,
세석인몸돌"
330 細環耳飾(세환이식) 가는귀걸이
331 搔器(소기) 긁개
332 素髮(소발) "민머리, 소발"
333 手捺法(수날법) 손빚기
334 手斧(수부) "손도끼, 자귀"
335 水營野遊(수영야류) "수영들놀음, 수영야류"
336 垂下飾(수하식) 드리개
337 竪穴式(수혈식) "구덩식, 수혈식"
338 竪穴式石槨墓
(수혈식석곽묘)
"구덩식돌곽무덤,
수혈식석곽묘"
339 竪穴住居址
(수혈주거지)
움집터
340 繩席紋土器
(승석문토기)
멍석무늬토기
341 柴門(시문) 사립문
342 施文具(시문구) 무늬새기개
343 飾履(식리) 장식신발
344 飾玉(식옥) "꾸밈옥, 장식옥"
345 身光(신광) "몸체광배, 신광"
346 伸展葬(신전장) "펴묻기"
347 室窯(실요) 실내가마
348 深鉢形土器
(심발형토기)
깊은바리토기
349 心礎(심초) 심초석
350 十王(십왕) 시왕
351 握斧(악부) 주먹도끼
352 鞍橋(안교) 안장틀
353 鞍金具(안금구) 안장꾸미개
354 鞍輪(안륜) 안장가리개
355 鞍褥(안욕) 안장깔개
356 岩陰遺蹟(암음유적) 바위집자리
357 押捺法(압날법) 눌러찍기
358 押出法(압출법) "누름기법, 압출법"
359 鴨形土器(압형토기) "오리모양토리[13],
오리토기"
360 仰臥葬(앙와장) 눕혀묻기
361 野營遺跡 막집터
362 兩極打擊法
(양극타격법)
모루망치떼기
363 兩面石器(양면석기) 안팎뗀석기
364 梁奉(양봉) 보아지
365 兩耳附壺(양이부호) 두귀달린항아리
366 兩翼鏃(양익촉) 날개촉
367 兩刃石斧(양인석부) 양날돌도끼
368 魚骨文(어골문) 생선뼈무늬
369 漁網錘(어망추) 그물추
370 역석기 자갈돌석기
371 燕口(연구) 연귀
372 연도 "무덤안길, 연도"
373 椽木(연목) 서까래
374 연문 널문
375 연석 갈판
376 蓮華座(연화좌) 연꽃대좌
377 瓔珞(영락) "목걸이, 영락"
378 鈴附杯(영부배) 방울잔
379 豫婦(예부) 민며느리
380 屋蓋石(옥개석) "지붕돌, 옥개석"
381 屋身石(옥신부)[14] "몸돌,

옥신석"

382 溫突(온돌) "구들, 온돌"
383 올베심리 올벼신미
384 甕棺墓(옹관묘) 독무덤
385 瓦當(와당) 막새기와
386 瓦墓(와묘) 기와널무덤
387 瓦窯(와요) 기와가마
388 瓦塼(와전) "기와와 전벽돌, 와전"
389 瓦質土器(와질토기) 연질도기
390 腕釧(완천) 팔찌
391 王太后宮(왕태후궁) "왕태후궁, 대비궁"
392 外灣刃(외만인) 볼록날
393 窯址(요지) 가마터
394 ?鐵(요철) [15] 들쇠
395 腰牌(요패) 띠드리개
396 龍頭(용두) "용머리, 용두"
397 鎔范(용원) 거푸집
398 龍屋脊(용옥척) 용마루
399 牛角形把手
(우각형파수)
쇠뿔잡이
400 牛角形把手附壺
(우각형파수부호)
쇠뿔손잡이단지
401 隅棟(우동) 귀마루
402 隅柱(우주) 모서리기둥
403 雲珠(운주) 말띠꾸미개
404 圓蓋形銅器
(원개형동기)
뚜껑모양청동기
405 願堂(원당) "소원풀이집, 원당"
406 圓底(원저) 둥근바닥
407 圓柱(원주 ) 원기둥
408 圓筒추타법
(원통추타법)
원통망치떼기
409 圓筒形器臺
(원통형기대)
원통형그릇받침
410 圍石墓(위석묘) "돌돌림무덤, 위석묘"
411 有蓋高杯(유개고배) 뚜껑달린굽접시
412 有蓋壺(유개호) 뚜껑항아리
413 有肩銅斧(유견동부) 어깨달린도끼
414 有莖兩翼鏃(유경양익촉) 뿌리나래활촉
415 有莖尖器(유경첨기) 슴베찌르개
416 有溝石斧(유구석부) "오목자귀, 홈자귀"
417 有段石斧(유단석부) 턱자귀
418 遺物組合(유물조합) 유물갖춤새
419 柳葉形鏃(유엽형촉) 버들잎형활촉
420 有刺利器(유자리기) 미늘쇠
421 油鞋(유혜) 진신
422 潤筆(윤필) "짙은붓질, 윤필"
423 隆起文土器
(융기문토기)
덧무늬토기
424 陰刻文(음각문) 새김무늬
425 鷹狩(응수) 매사냥
426 倚像(의상) 의자상
427 耳杯(이배) 귀잔
428 耳附鉢(이부발) 귀바리
429 耳附糊(이부호) 귀항아리
430 耳飾(이식) 귀걸이
431 二室憤(이실분) 두방무덤
432 二重口緣土器
이중구연토기)
겹아가리토기
433 二次加工(이차가공) 잔솔질
434 二次葬(이차장) "두벌묻기, 이차장"
435 "翼工, 立工, 入宮
(익공, 입공, 입궁)
익공
436 忍冬紋(인동문) 인동꽃무늬
437 刃部(인부)
438 印花文(인화문) "도장무늬, 인화문"
439 立石(입석) "선돌, 입석"
440 立飾(입식) 솟은장식
441 立春書帖(입춘서첩) 입춘서
442 笠形銅器(입형동기) 고깔수레장식
443 墻(장)
444 長頸壺(장경호) "긴목항아리, 긴목단지"
445 長臺石(장대석) "긴댓돌, 장대석"
446 장부
447 裝身具(장신구) "치레걸이, 장신구"
448 丈六像(장육상) 장육상
449 底部(저부) 바닥
450 貯藏孔(저장공) ""저장움, 저장공"
451 積石(적석) "돌무지, 적석"
452 積石木槨墳
(적석목곽묘)[16]
""돌무지덧널무덤,

목곽분"

453 積石木槨墓
(적석목관묘)
"돌무지널무덤,
적석목관묘"
454 積石塚(적석총) "돌무지무덤, 적석총"
455 積輪法(적륜법) 테쌓기
456 前輪(전륜) 앞가리개
457 前室(전실) "앞칸, 앞간"
458 塼築墳(전축분) 벽돌무덤
459 塼塔(전탑) "벽돌탑, 전탑"
460 粘土帶土器
(점토대토기)
점토띠토기
461 亭(정) 정자
462 鼎(정) 세발솥
463 正月 보름(정월보름) 대보름
464 幀畵(탱화) "걸개그림, 탱화"
465 製鍊窯(제련요) 제련가마
466 堤堰(제언)
467 爪文(조문) 손톱무늬
468 粗文鏡(조문경) "거친무늬거울, 조문경"
469 조王[17](조왕) "부엌신, 조왕"
470 調節剝離(조절박리) 겨냥떼기
471 釣針(조침) 낚시바늘
472 組合式釣針(조합식조침) 조합식낚시바늘
473 足座(족좌) 발받침
474 宗道里(종도리) "마루도리, 마룻도리"
475 座金具(좌금구) 밑동쇠
476 住居址(주거지) "집자리, 집터"
477 柱孔(주공) 기둥구멍
478 注口土器(주구토기) 귀때토기
479 柱心包(주심포) "기둥위두공, 주심포"
480 鑄造鐵斧(주조철부) 주철도끼
481 胄(주) 투구
482 柱(주) 기둥
483 竹管文(죽관문) 붓두껍무늬
484 준法[18](준법) "주름법, 준법"
485 中路보기(중로보기) "반보기, 중로보기"
486 櫛文土器(즐문토기) 빗살무늬토기
487 支石(지석) "굄돌, 고임돌"
488 砥石(지석) 숫돌
489 支石墓(지석묘) "고인돌, 지석묘"
490 指環(지환) 가락지
491 直口壺(직구호) 곧은입단지
492 直刃(직인) "곧은날, 곧날"
493 直接打法(직접타법) 직접떼기
494 茶禮(다례) 차례
495 車戰놀이(차전놀이) 동채싸움
496 錯何剝離(착하박리) 애벌떼기
497 찰갑(札甲) 비늘갑옷
498 擦切具(찰절구) 썰개
499 彩文土器(채문토기) 가지무늬토기
500 冊架圖(책가도) 책거리그림
501 天馬塚(천마총) 말그림무덤
502 天孫降臨神話
(천손강림신화)
천강신화
503 鐵鉗(철겸) 쇠집개
504 鐵戟(철극) 쇠갈래창
505 鐵鋤(철서) 쇠괭이
506 鐵釘(철정) 쇠못
507 鐵鋌(철정) "덩이쇠, 쇠덩이"
508 鐵釣(철조) 쇠낚시
509 鐵준[19](철준) 쇠창고달이
510 尖頭器(첨두기) 찌르개
511 尖底(첨저) 뾰족바닥
512 靑銅刀子(청동도자) 청동손칼
513 靑磁眞砂(청자진사) 청자동화
514 靑磁畵金(청자화금) 청자금화
515 초두 자루솥
516 蕉墨(초묵) "깡먹, 초묵"
517 錐(추) 송곳
518 推戶門(추호문) 미닫이
519 出字形立飾
(출자형입식)
맞가지장식
520 衝擊打擊法
(충격타격법)
던져떼기
521 側室(측실) 옆방
522 ?尾瓦[20] "치미와, 치미"
523 漆工藝(칠공예) 옻칠공예
524 打擊面(타격면) 다듬면
525 打捺文土器
(타날문토기)
눌러찍은무늬토기
526 打制石器(타제석기) 타제석기
527 塔身部(탑신부) "탑몸돌, 탑신불"
528 胎土(태토) 바탕흙
529 胎土(태토)[21] 바탕흙
530 胎壺(태호) 태항아리
531 太環耳飾(태환이식) 굵은귀걸이
532 撑石(탱석) 받침돌
533 撑柱(탱주) 중간기둥
534 土壙墓(토광묘) "움무덤, 토광묘"
535 土偶(토우) "흙인형, 토우"
536 筒形石斧(통형석부) 통모양석기
537 退間(퇴간) "퇴칸, 툇간"
538 透刻(투각) "뚫음무늬기법, 투각"
539 把杯(파배) 손잡이잔
540 波狀文(파상문) 물결무늬
541 把手(파수) 손잡이
542 把手附壺(파수부호) 손잡이항아리
543 板狀鐵斧(판상철부) 납짝쇠도끼
544 版築(판축) "켜쌓기, 판축"
545 八角圓堂形
(팔각원당형)
팔각원당형부도
546 八作(팔작) 팔작지붕
547 八珠鈴(팔주령) 여덟가지방울
548 佩玉(패옥) "드리개옥, 패옥"
549 貝塚(구총)[22] "조개무지, 패총"
550 扁甁(편병) 자라병
551 扁平石斧(편평석부) 대패날석기
552 平斜天障(평사천장) 꺽임천장
553 平瓦(평와) 평기와
554 平底(평저) 납작바닥
555 平底鉢(평저발) 납작밑바리
556 平天障(평천장) 납작천장
557 閉鎖石(패쇄석)[23] 막음돌
558 標石(표석) 푯돌
559 瓢形墳(표형분) 조롱박모양무덤
560 風鈴(풍령) 풍경
561 披麻준(피마준)[24] "베올주름법, 피마준"
562 下帶(하대) 아랫단
563 荷葉준(하엽준)[25] "연잎주름법, 하엽준"
564 割石(할석) 깬돌
565 銜(함) 말재갈
566 合刃石斧(합인석부) 조개날돌도끼
567 合葬墓(합장묘) 합장묘
568 行廊舍(행랑사) "행랑채, 행랑"
569 杏葉(행엽) 말띠드리개
570 玄室(현실) "무덤안칸, 현실"
571 血溝(혈구) 피홈
572 壺(호) "단지, 항아리"
573 護石(호석) 둘레돌
574 壺形土器(호형토기) "배부른단지, 불룩단지"
575 混入物(혼입물) 섞임
576 紅陶(홍도) "붉은간토기, 홍도"
577 紅霓門(홍예문) "무지개문, 홍예문"
578 華角工藝(화각공예) "소뿔공예, 화각공예"
579 火口(화구) 아궁이
580 花粉分析(화분분석) 꽃가루분석
581 花盆形土器
(화분형토기)
화분형토기
582 火炎文(화염문) "불꽃무늬, 화염무늬"
583 花蝶圖(화접도) "나비그림, 화접도"
584 花鳥圖(화조도) "새그림, 화조도"
585 環頭大刀(환두대도) 고리손잡이큰칼
586 環狀甁(환상병) 고리병
587 環狀石斧(환상석부) 달도끼
588 環狀把手(환상파수) 고리잡이
589 丸彫(환조) "두루새김, 환조"
590 環濠聚落(환호취락) 환호마을
591 灰靑色硬質土器
(회청색경질토기)
회청색도기
592 橫口式(횡구식) 앞트기식
593 橫穴式(횡혈식) "굴식, 횡혈식"
594 橫穴式石室墳
(횡혈식석실분)
횡혈식석실분
595 後輪(후륜) 뒤가리개
596 暈染[26](훈염) 바림질, 운염법"
597 黑陶(흑도) "검은간그릇, 흑도"
No.  순 화 대 상 용 어 순 화 용 어 

각주

  1. 宮?天井(궁륭천정) : 宮隆天井 ?
  2. 菱化板 :菱花板의 오타로 보임.
  3. 多뉴鏡 : 多紐鏡?
  4. 당신본풍리 : 당신본풀이의 오타로 보임.
  5. 銅포 : ?
  6. 나무칵 : 나무칼의 오타로 보임.
  7. 백통장 : 백동 통을 만드는 장인?
  8. 벅수 : 돌장승?
  9. 複辦 : 複瓣의 오타로 보임.
  10. 斧劈준 : 斧劈皴?
  11. 꺄묻거리 : 껴묻거리의 오타로 보임.
  12. 번진법 : 번짐법의 오타로 보임.
  13. 오리모양토리, 오리모양토기의 오타로 보임.
  14. 屋身石(옥신부) : 옥신석(屋身石) 또는 옥신부(屋身部) 중 하나로 보임.
  15. ?鐵(요철), ?
  16. 적석목곽묘 : 적석목곽분의 오타로 보임.
  17. 조王 : 竈王으로 보임.
  18. 皴法으로 보임.
  19. 鐵준 : 鐵鐏으로 보임.
  20. ?尾瓦 : 鴟尾瓦로 보임.
  21. 원 고시에 태토 항목이 둘 임. 이체자를 각각 기록한 것으로 추측되나 확인이 어려움.
  22. (구총) : 패총의 오타로 보임.
  23. 패쇄석 : 폐쇄석의 오타로 보임.
  24. 披麻준 : 披麻皴으로 보임.
  25. 荷葉준 : 荷葉皴으로 보임.
  26. 暈染 : 훈자가 자세히 보이지 않아 실제와 다를 수 있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