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문법적 방법

칼빈500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9월 14일 (목) 23:09 판

역사적 문법적 해석(historical-grammatical method)이란 성경의 저자의 원래의도를 찾기 위한 방법이다. 르네상스헬라로마의 고전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고전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었다. 이런 영향을 받은 인문주의자들은 원전을 해석하는 학문적 방법까지 발전시켰다. 특히 헬라어 신약 성경 해석에 사용했다.

역사적 문법적 해석의 시작

에라스무스는 헬라어 신약 성경의 첫판을 출판함으로써 역사적이며 문법적 해석 방법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이 해석원리를 신약성경 (Novum Instrumentum)의 서문에서 말했는데, 그가 제안한 것은 해석자가 원어와 그 시대의 역사적, 지리적 그리고 사회적 상황과 함께 문법적인 사용에 의해서 본문의 참된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종교개혁가들의 사용

루터칼뱅과 같은 개신교 종교개혁가들은 성경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인문주의]자들의 언어적-역사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들은 이 방법을 통하여 중세기 해석가들의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반대하고 역사적이며 문자적 의미를 강조했다. 동시에 교부들의 전통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을 반대하고, 성경이 성경을 해석하는 원리를 주장했다.

영향

역사적 문접적 해석은 현대의 성경 해석학의 시초로 성경 저자의 의도를 바르게 전달하며, 독자들에게 학문적으로 성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같이 보기

출처

  • 안명준 (1997). 《칼빈의 성경해석학》. 기독교문서선교회. [쪽 번호 필요]